전체메뉴

검색

경제·마켓최신순인기순

  • 美 상무 "車관세, 韓 포함 모든 국가 부과가 공평"
    美 상무 "車관세, 韓 포함 모든 국가 부과가 공평"
    경제·마켓 2025.03.15 02:07:09
    하워드 러트닉(사진) 미 상무부 장관이 다음달 2일로 예정된 미국의 상호 관세와 관련, 한국과 일본, 독일 등 국적에 상관없이 모든 수입차에 상호관세가 부과될 수 있다고 시사했다. 러트닉 장관은 14일(현지 시간) 폭스 비즈니스와의 인터뷰에서 상호관세가 한국과 일본, 독일 등 국가에서 들어오는 자동차에도 부과되느냐는 질문에 "그것이 공평하지 않겠느냐"고 답했다. 그는 "(가령) 일본이 한국이나 독일에 비해 불공정한 이점을 갖도록 만들면 안된다"라면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공평함에 초점
  • 헤그세스 美국방 방한 무산…또 ‘韓 패싱’
    헤그세스 美국방 방한 무산…또 ‘韓 패싱’
    경제·마켓 2025.03.15 01:52:57
    피트 헤그세스(사진) 미 국방장관의 취임 후 첫 인도·태평양 순방에서 한국이 제외됐다. 14일 정부 관계자에 따르면 애초 이달 하순께로 예상됐던 헤그세스 장관의 방한이 무산됐다. 헤그세스 장관은 조만간 괌, 하와이, 일본, 필리핀 등 인도·태평양 역내의 주요 미군 기지와 동맹국을 방문할 예정인 것으로 전해졌다. 미국은 한국도 방문지에 포함하는 방안을 검토했지만 결국 포함시키지 않았다. 헤그세스 장관의 카운트파트인 한국 국방부 장관이 대행 체제로 유지되고 있는 점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또 윤석열 대통
  • 美 3월 소비자심리 스태그플레이션 우려…‘경기 식고 물가 상승’
    美 3월 소비자심리 스태그플레이션 우려…‘경기 식고 물가 상승’
    경제·마켓 2025.03.14 23:39:56
    미국 소비자들의 1년 뒤 인플레이션 전망이 4.9%로 높아졌다. 경제에 대한 자신감은 3년 전 인플레이션이 정점에 달했을 당시 수준으로 쪼그라 들었다. 경제가 스태그플레이션을 향할 가능성을 우려하는 모습이다. 미시간대 소비자 심리지수 3월 예비치가 전월 64.7에서 57.9로 하락했다. 석달 연속 하락이며 2022년 11월 이후 최저치다. 블룸버그가 집계한 시장 전망치 63.0을 하회했다. 현재 경제에 대한 판단인 경기현황지수는 전월 65.7에서 63.5로 줄어들었다. 전망치 64.4를 밑돌았으며 2022년 7월 이후 가장 낮은 수
  • OS 독립 나선 화웨이 "PC에도 윈도 안쓴다"
    OS 독립 나선 화웨이 "PC에도 윈도 안쓴다"
    경제·마켓 2025.03.14 18:20:42
    운영체제(OS) 독립에 나선 중국 대표 정보기술(IT) 기업 화웨이가 마이크로소프트(MS)의 윈도 사용을 중단한다. 미중 기술 패권 경쟁이 격화하는 가운데 하드웨어는 물론 소프트웨어까지 모든 분야에서 기술 자립이 가속화되는 양상이다. 중국 경제매체 차이렌서에 따르면 화웨이의 한 핵심 관계자는 14일 “미국 상무부에서 발급한 (MS 윈도 사용에 대한) 화웨이 라이선스가 만료됐다”며 “연장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MS의 화웨이에 대한 윈도 OS 공급은 이달 말 완료된다. 화웨이는 앞으로 100% 자체 OS만을 사용한다는 방침이다
  • "달걀, 한 알에 1000원꼴" 사상 최고가 기록에…美, 조류독감 백신 개발 착수
    "달걀, 한 알에 1000원꼴" 사상 최고가 기록에…美, 조류독감 백신 개발 착수
    경제·마켓 2025.03.14 17:45:01
    미국의 달걀 가격이 폭등하며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가운데 미국 정부가 고병원성 조류독감 유행을 막기 위한 백신 개발에 착수했다. 지난 12일(현지시간) AP통신은 미국이 달걀값 폭등 속에서 닭 백신 연구 본격화에 돌입했다고 보도했다. 앞서 미국은 지난해 12월 이후 조류독감으로 인해 1300만 마리가 넘는 산란계를 폐사하거나 살처분했다. 이로 인해 미국 내 달걀 생산량 감소로 가격이 급상승했으며 미국 내 달걀 12개의 평균 가격은 2021년 1월 1.47달러(한화 약 2100원)에서 지난달 4.95달러(한화 약 7200원)로 237
  • 관세 전쟁 우려에 금값 3000달러 찍었다
    관세 전쟁 우려에 금값 3000달러 찍었다
    경제·마켓 2025.03.14 17:43:10
    국제 금 선물 가격이 사상 처음으로 트로이온스당 3000달러를 돌파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촉발한 관세 전쟁이 격화하자 시장에서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커진 영향으로 풀이된다. 13일(현지 시간) 뉴욕상품거래소에서 거래되는 4월 인도분 금 선물 가격은 전 거래일 대비 1.51% 오른 온스당 2991.30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특히 이날 장중 3001.50달러까지 찍어 사상 처음으로 3000달러 선을 넘어섰다. 금값 상승의 촉발 원인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전쟁이라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연일 주요국을 상대로
  • "유연성" 언급 하루 만에 "굽히지 않겠다"…트럼프, 관세 전면전 불사
    "유연성" 언급 하루 만에 "굽히지 않겠다"…트럼프, 관세 전면전 불사
    경제·마켓 2025.03.14 17:38:45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관세정책에서 유연성을 보이겠다는 입장을 하루 만에 뒤집고 “굽히지 않겠다”며 강공 방침을 밝히면서 통상 마찰이 확대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의 테슬라조차 관세정책에 우려를 드러내는 상황에서도 유럽산 주류 제품에 20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엄포를 놓는 등 전면전을 불사할 태세다. 트럼프 대통령은 13일(현지 시간) 백악관에서 마르크 뤼터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사무총장과 만나 “미국은 여러 해 동안 갈취당했고 더 이상 당하지 않을 것”
  • R&D서 제조까지 인프라 '탄탄'…량원펑도 DJI서 창업 꿈 키워
    R&D서 제조까지 인프라 '탄탄'…량원펑도 DJI서 창업 꿈 키워
    경제·마켓 2025.03.14 17:38:28
    중국의 개혁·개방을 이끈 덩샤오핑은 1980년 선전을 중국 최초의 경제특구로 지정했다. 인구 3만여 명의 어촌 마을은 이후 중국 제조업의 전진 기지로 자리 잡았고 중국의 고속 성장을 견인했다. 세계 최대 통신장비 업체인 화웨이와 ZTE, 인터넷과 게임 최강자 텐센트, 전기차 세계 1위 BYD(비야디), 전 세계 민간 드론 시장의 70% 이상을 장악한 DJI 등은 선전에 둥지를 틀고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해 차이나테크를 이끌고 있다. 최근 딥시크·유니트리 등 ‘육소룡(여섯 마리의 작은 용)’을 배출한 항저우가
  • '넥스트 딥시크 찾자' 中스타트업 투자 봇물
    '넥스트 딥시크 찾자' 中스타트업 투자 봇물
    경제·마켓 2025.03.14 17:36:22
    생성형 인공지능(AI) 딥시크가 급부상하면서 중국 기술 기업들에 대한 관심이 뜨거워지고 있다. 그간 정부 규제와 미중 갈등 등으로 투자자 기피가 이어지던 중국 시장에 볕이 드는 분위기다. 13일(현지 시간) CNBC에 따르면 AI 약물 개발 회사인 인실리코 메디슨은 최근 홍콩 자산운용사 밸류파트너스 주도로 1억 1000만 달러 규모의 시리즈E에 대한 투자 유치를 마무리했다. AI 스타트업 지푸AI도 이달 항저우와 알리바바그룹으로부터 약 1억 3768만 달러 규모의 자금을 조달했다. 로보틱스 회사인 림스 다이내믹스는 알리바바를 필두로
  • 허페이·난징·닝보 '제2의 선전' 도약 노린다
    허페이·난징·닝보 '제2의 선전' 도약 노린다
    경제·마켓 2025.03.14 17:35:04
    중국 당국은 최근 막을 내린 양회에서 바이오 소재 제조, 양자 과학·기술, 체화 지능, 6세대(6G) 이동통신 등 미래산업 육성에 힘을 쏟겠다고 강조했다. 허페이·난징·쑤저우·닝보 등 ‘신(新) 1선 도시’는 미래산업에 강점을 지닌 만큼 정부의 지원을 등에 업고 차세대 기술 리더로 도약하겠다는 각오다. 중국의 1세대 테크 기업이 태동한 선전에 이어 제2, 제3의 선전이 출격 대기에 나서는 양상이다. 14일 중국 경제 매체 제일재경은 최근 전국인민대표대회 업무보고에서 중국이 밝힌 바이
  • 日이시바 '상품권 스캔들'…야당 "퇴임 불가피"
    日이시바 '상품권 스캔들'…야당 "퇴임 불가피"
    경제·마켓 2025.03.14 16:32:53
    자신이 총재로 있는 자민당 초선 의원들에게 100만 원 상당 상품권을 제공한 것으로 알려진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정치 인생 최대 위기에 몰렸다. 총리 측은 법적으로 문제가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지만 당 안팎에서 퇴진 요구가 분출하고 있다. 14일 일본 주요 매체에 따르면 이시바 총리 사무소 관계자는 이달 3일 초선 중의원(하원) 의원 15명에게 인당 10만 엔(약 100만 원) 상당의 상품권을 전달했다. 이시바 총리는 상품권을 제공한 사실을 인정하면서도 '기념품'이었을 뿐이라며 위법성이 없다는 주장을 거듭
  • 美·EU 갈등에 꽉 막힌 환율…"獨대규모 부양책 성패 지켜봐야" [김혜란의 FX]
    美·EU 갈등에 꽉 막힌 환율…"獨대규모 부양책 성패 지켜봐야" [김혜란의 FX]
    경제·마켓 2025.03.14 15:42:03
    미국과 유럽에서 촉발한 ‘주류 관세전쟁' 여파에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강화하면서 글로벌 달러화가 반등했다. 전문가들은 앞으로 남은 대내외 정치 일정에 원·달러 환율 향방이 갈렸다는 평가다. 14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과 같은 1453.8원에 오후 장을 마감했다. 이날 환율은 0.2원 오른 1454원에 개장했다. 장중 환율은 1453~1457원의 범위 내에서 등락을 거듭했다. 전날 트럼프 대통령은 유럽연합(EU)이 보복관세 부과 방침을 밝힘에 따라 미국산 위스키에 대한 50%
  • 트럼프 "그린란드 반드시 합병할 것…나토도 도와라"
    트럼프 "그린란드 반드시 합병할 것…나토도 도와라"
    경제·마켓 2025.03.14 15:38:58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NATO) 사무총장을 만난 자리에서 그린란드를 임기 내에 반드시 병합하겠다고 호언장담했다. 캐나다를 미국의 51번째 주로 만들겠다는 입장을 반복하는 가운데 그린란드에 대한 영토 확장 의지도 점점 더 구체화하는 분위기다. 로이터·AFP 통신 등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13일(현지 시간) 백악관 집무실에서 마르크 뤼터 나토 사무총장을 만나 “국제 안보를 위해 덴마크령 그린란드가 필요하다”며 “그린란드 합병은 반드시 이뤄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뤼터 사무총
  • 중국계, 美 4대 반도체사 CEO '그랜드슬램'…中 '집중 주시' [글로벌 왓]
    중국계, 美 4대 반도체사 CEO '그랜드슬램'…中 '집중 주시' [글로벌 왓]
    경제·마켓 2025.03.14 14:51:39
    최근 인텔이 립부 탄(중국명 천리우·65) 전 케이던스 최고경영자(CEO)를 신임 수장으로 임명하면서 미국 4대 반도체 기업 지도자가 모두 중국계로 채워지자 중국 매체들이 이를 집중 조명하고 나섰다. 미국과 중국이 최근 인공지능(AI), 양자컴퓨터 등의 첨단 기술 분야에서 치열한 패권 경쟁을 벌이는 가운데 중국계 CEO들이 일종의 변수가 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14일 커촹반르바오, 재련사 등 중국 현지 매체들은 “미국 4대 반도체 제조사인 인텔, 엔비디아, AMD, 브로드컴의 CEO가 모두 중국계가 됐다”며
  • 트럼프 "김정은 핵무기 많다" 또 인정…'北비핵화' 포기하나
    트럼프 "김정은 핵무기 많다" 또 인정…'北비핵화' 포기하나
    경제·마켓 2025.03.14 14:11:18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적대국인 북한을 또 다시 ‘핵 보유국’으로 인정하면서 ‘비핵화’가 아닌 ‘핵군축’ 협상에 나설 가능성을 시사했다. 외교가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 지도자를 거치지 않고 곧바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담판을 지을 가능성을 높게 점쳤다. 트럼프 대통령은 13일(현지 시간) 백악관 집무실에서 마르크 뤼터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사무총장을 만나 ‘첫 임기 때처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관계를 다시 구축할 계획이냐’는 질문을 받고 “그럴 것(I would)”이라고 답했다. 트럼프 대
서경스페셜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경 마켓시그널

헬로홈즈

미미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