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경제·마켓최신순인기순

  • 나스닥, 'AI 거품론'에 이틀째 빅테크 투매'…장중 1.2% 급락
    나스닥, 'AI 거품론'에 이틀째 빅테크 투매'…장중 1.2% 급락
    경제·마켓 2025.08.21 01:26:31
    미국 인공지능(AI) 투자 과열론이 불거지면서 관련 거대 기술 기업(빅테크)의 주가가 이틀째 급락한 탓에 뉴욕 3대 지수가 일제히 하락하고 있다. 20일 오후 12시 현재(현지 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80.33포인트(0.18%) 하락한 4만 4841.94에 거래되고 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40.31포인트(0.63%) 떨어진 6371.06에, 나스닥종합지수는 253.33포인트(1.19%) 내린 2만 1061.62에 움직이고 있다. 특히 이날 증시에서는 시가총액 상위 기술
  • [목요일 아침에] 중국발 감산 쇼크 '反네이쥐안'에 대비해야
    [목요일 아침에] 중국발 감산 쇼크 '反네이쥐안'에 대비해야
    경제·마켓 2025.08.20 18:03:18
    지난 수년 사이 중국 항저우·광저우 등 주요 대도시 외곽에는 이른바 ‘전기차 무덤’들이 생겨났다. 폐차장이 아니다. 멀쩡한 자동차들이 많게는 수백 대 이상씩 공터나 수풀 사이에 방치돼 있다. 중국 정부는 2000년대 후반부터 보조금을 주며 국산 전기차 생산을 독려했다. 그 결과 2018년 100만 대를 돌파한 중국 전기차 생산량은 2024년 1000만 대를 넘어 약 1290만 대에 달할 정도로 공급과잉 수준에 이르렀다. 이 같은 생산 물량을 적극 구입해온 중국 내 자동차 공유 플랫폼 업체들마저 내수 침체 속 신규 구매를
  • 中·印, 5년만에 국경무역 재개…더 공고해진 브릭스
    中·印, 5년만에 국경무역 재개…더 공고해진 브릭스
    경제·마켓 2025.08.20 17:52:36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위협 등에 맞선 브릭스(BRICS, 브라질·러시아·인도·중국 등 신흥경제국 협의체) 국가들의 결속이 갈수록 강해지는 양상이다. 미국과의 패권 경쟁을 벌이는 중국은 브릭스 국가들과의 교역 확대 및 자금 지원 등을 이어가며 반미 연대를 공고히 하고 있다. 중국 관영 영자지 글로벌타임스는 20일 왕이 중국공산당 중앙외사판공실 주임 겸 외교부장의 인도 방문이 이날 마무리됐다고 알리며 양국이 국경무역을 재개하는 내용 등의 국경 관련 10개 합의를 이뤘다고 밝혔다. 202
  • "9000억弗로 반도체·원전 인프라 구축"…한일 투자금, 중국 견제에 쓰겠다는 美
    "9000억弗로 반도체·원전 인프라 구축"…한일 투자금, 중국 견제에 쓰겠다는 美
    경제·마켓 2025.08.20 17:44:34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한국과 일본이 미국에 투자하기로 약속한 총 9000억 달러(약 1258조 원)를 반도체·원전 등 핵심 인프라에 집중 투입하겠다고 밝혔다. 관세를 지렛대로 확보한 우방국의 자금과 기술력을 활용해 중국과의 기술 패권 경쟁에서 확실한 우위를 차지하겠다는 의도를 드러냈다는 분석이 나온다.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은 19일(현지 시간) CNBC와의 인터뷰에서 “일본에 대한 상호관세를 25%에서 15%로 낮춰주는 대신 일본이 5500억 달러(약 760조 원)의 투자를 제공하기로 했고 한국이 그 위에
  • 칩 패권 탈환 나선 美…삼성 지분도 노린다
    칩 패권 탈환 나선 美…삼성 지분도 노린다
    경제·마켓 2025.08.20 17:35:43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반도체 보조금을 지급하는 대가로 해당 기업의 지분을 취득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반도체 업계에서는 이미 현지 시설 공사가 상당 부분 진행 중인 상황에서 계약을 뒤엎는 결정이라며 당혹해하는 분위기다. 다음 주 한미 정상회담에 맞춰 대규모 투자 보따리를 준비한 우리 기업들로서는 예기치 못한 변수에 직면하게 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19일(현지 시간) 로이터통신은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이 반도체지원법(칩스법)에 근거한 보조금 지급 대가로 삼성전자·마이크론
  • 中 "전승절 열병식서 차세대 무기 집중 공개"
    中 "전승절 열병식서 차세대 무기 집중 공개"
    경제·마켓 2025.08.20 17:30:51
    중국군이 2주 앞으로 다가온 전승절(항일 전쟁 및 반파시스트 전쟁 승리 대회) 80주년 열병식에서 차세대 무기를 대거 공개하겠다고 예고했다. 우쩌커 열병영도소조판공실 부주임(소장)은 20일(현지 시간) 열병식 준비 상황 관련 기자회견에서 “이번 열병식의 모든 무기 장비는 국산 현역 주력 장비”라면서 “2019년 건국 70주년 열병식에 이어 우리 군의 차세대 무기 장비를 집중적으로 공개하겠다”고 밝혔다. 중국군은 신형 전차, 함재기, 전투기 등 4세대 장비를 중심으로 작전 모듈을 편성해 체계적인 작전 능력을 드러내겠다는 목표다. 육&
  • 이차전지·핵심광물 등 공급망 안정에 50조 정책자금 공급
    이차전지·핵심광물 등 공급망 안정에 50조 정책자금 공급
    경제·마켓 2025.08.20 16:00:00
    정부가 올해 이차전지·반도체 등 첨단산업의 공급망 안정을 위해 50조원 규모의 정책금융을 공급한다. 희토류·흑연 등 핵심 부품의 특정국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대체 수입처의 수입단가 차액을 보조하고, 생산 기반이 취약한 고위험 경제 안보 품목의 국내 생산 지원도 확대하기로 했다.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제5차 공급망안정화위원회를 열고 이같은 내용의 ‘공금방안정화 전주기 금융지원 방향’을 발표했다. 이번 방안은 국민 경제에 파급력이 큰 산업을 선정해 핵심 광물 탐사부터 연구개
  • 남미 몰려가는 中 전기차… BYD, 아르헨티나서도 차 만드나[글로벌 왓]
    남미 몰려가는 中 전기차… BYD, 아르헨티나서도 차 만드나[글로벌 왓]
    경제·마켓 2025.08.20 14:15:53
    중국 전기차 1위 기업 비야디(BYD)가 브라질에 이어 아르헨티나 공장 건립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최대 SUV 제조사인 장성자동차(GWM) 역시 최근 브라질에서 첫 공장을 가동하며 남미 시장 공략에 나섰다. 관세 전쟁을 계기로 남미와 밀착하고 있는 중국이 현지 자동차 시장에서도 영향력을 키우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20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BYD는 최근 아르헨티나 법무부에 현지 법인 ‘BYD 오토 아르헨티나 SAU’를 자동차 제조업체로 등록했다. SCMP는 이를 두고 “BYD가 남미에
  • 트럼프 행정부, 이민자 SNS 뒤져 ‘反美’ 성향 살핀다[글로벌 왓]
    트럼프 행정부, 이민자 SNS 뒤져 ‘反美’ 성향 살핀다[글로벌 왓]
    경제·마켓 2025.08.20 10:44:45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이민 규제 강도를 강화하고 있는 가운데 장기 체류 신청자들의 소셜미디어(SNS) 활동을 뒤져 반미(反美) 성향을 가려낸다는 방침을 세웠다. 19일(현지 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미 국토안보부 산하 이민국(USCIS)은 최근 개정한 ‘USCIS 정책 매뉴얼’에 이 같은 내용을 담았다. 이에 따라 이민 심사관들은 거주·취업·시민권 신청자들을 대상으로 SNS 게시물에 “미국에 반하는(anti-American)” 견해가 있는지를 찾아내는데 주력하게 된다. 이민국 측은
  • 중국, 사실상 기준금리 LPR 3개월째 동결
    중국, 사실상 기준금리 LPR 3개월째 동결
    경제·마켓 2025.08.20 10:20:15
    중국이 사실상의 기준금리 역할을 하는 대출우대금리(LPR)를 3개월째 동결했다.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LPR 1년물을 3.0%, 5년물을 3.5%로 유지한다고 20일 밝혔다. 중국은 지난해 10월 LPR 1년물과 5년물을 각각 0.25%포인트(p) 씩 인하했으며, 올해 5월 추가로 각각 0.1%p 내렸다. 매월 20개 주요 상업은행의 금리를 취합해 산출하는 LPR은 1년물이 신용대출, 5년물이 주택담보대출 금리 산정의 기준이 되기 때문에 사실상 기준금리로 불린다.
  • 中, 전승절 열병식에 틸트로더 항공기도 선보이나
    中, 전승절 열병식에 틸트로더 항공기도 선보이나
    경제·마켓 2025.08.20 10:01:11
    중국이 차세대 항공기로 불리는 ‘틸트로터’ 항공기의 시험비행에 성공한 것으로 알려졌다. 내달 전승절 80주년 행사를 앞두고 첨단 무기를 잇따라 공개하고 있는 중국이 열병식에 신형 항공기를 선보일지 주목된다. 20일 중국 관영 영자지 글로벌타임스에 따르면 최근 유럽 군사전문업체 디펜스 블로그는 중국이 중국항공공업집단공사(AVIC)에서 개발 중인 틸트로터 항공기의 첫 시제기를 비행시켰다고 보도했다. 틸트로터 항공기는 헬리콥터와 비행기의 장점을 결합해 수직 이·착륙이 가능하도록 만든 항공기이다. 날개 양쪽에 달린 프로펠러가
  • "美, 반도체 보조금 대가로 기업 지분취득 검토" 삼성 포함
    "美, 반도체 보조금 대가로 기업 지분취득 검토" 삼성 포함
    경제·마켓 2025.08.20 09:08:42
    미국 정부가 반도체법 보조금을 받는 기업의 지분을 인수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두 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로이터통신이 19일(현지 시간) 보도했다. 이에 따르면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은 반도체법에 근거한 보조금 지급의 대가로 마이크론, TSMC, 삼성전자와 같은 기업의 지분을 취득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앞서 러트닉 장관은 이날 CNBC인터뷰에서 경영권에는 개입하지 않겠다면서도 인텔에 반도체 보조금을 지급하는 대신 인텔의 지분을 얻을 것이라고 말했다. 미 정부가 인텔 지분 10%를 인수하겠다는 뜻을 공식화한 셈이다. 이날
  • 3년 반 전쟁 끝낼까…푸틴·젤렌스키 첫 회담, 트럼프가 무대 올렸다 [글로벌 모닝 브리핑]
    3년 반 전쟁 끝낼까…푸틴·젤렌스키 첫 회담, 트럼프가 무대 올렸다 [글로벌 모닝 브리핑]
    경제·마켓 2025.08.20 08:49:00
    ※[글로벌 모닝 브리핑]은 서울경제가 전하는 글로벌 소식을 요약해 드립니다. 푸틴·젤렌스키, 2주 내 '종전 담판'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후 처음으로 정상회담을 추진합니다. 양국 정상이 마주하는 ‘세기의 담판’이 성사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3년 6개월째 끌어온 전쟁이 마침표를 찍을지 주목됩니다. 18일(현지 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백악관에서 젤렌스키 대통령과의 양자 회담, 유럽 정상들을 포함한 다자 회담을 연달아 주재한
  • "올 잭슨홀미팅 주제는 '고용시장'"…파월, 韓시간 22일 저녁 11시 연설
    "올 잭슨홀미팅 주제는 '고용시장'"…파월, 韓시간 22일 저녁 11시 연설
    경제·마켓 2025.08.20 07:58:35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최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영향으로 급격히 악화하고 있는 고용시장을 오는 21~23일 연례 경제정책 심포지엄(잭슨홀미팅) 주제로 잡았다. 연준이 최근 고용과 물가 사이에서 9월 금리 인하 여부를 고민하는 가운데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22일 오전 8시(한국 시간 22일 오후 11시)에 연설을 시작하기로 했다. 19일(현지 시간) 잭슨홀미팅을 주관하는 캔자스시티 연방준비은행(연은)은 21~23일 미국 와이오밍주 잭슨홀에서 인구, 생산성, 거시경제 정책 등 ‘변화하는 고용시장’을 주제로
  • 美 "韓무역협상, 몇주 뒤 이행…투자금으로 반도체·원전 인프라 구축"
    美 "韓무역협상, 몇주 뒤 이행…투자금으로 반도체·원전 인프라 구축"
    경제·마켓 2025.08.20 07:27:35
    도널드 트럼트 행정부가 지난달 30일 한국과 체결한 한미 무역 협정을 몇 주 뒤에 이행하겠다고 밝혔다. 한국과 일본이 미국에 투자하기로 약속한 총 9000억 달러(약 1258조 원)에 대해서는 중국과 경쟁하기 위한 반도체, 원자력발전 기반시설 구축 비용으로 쓰겠다고 공언했다.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은 19일(현지 시간) CNBC와의 인터뷰에서 한국·일본과의 체결한 무역협상 이행 시점에 대한 질문을 받고 “몇 주 정도 남았다”고 말했다. 한미 정상회담이 25일로 예정된 점을 감안하면 회담을 계기로 추가 요구 사항을
서경스페셜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