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외국인 1.6조 매도폭탄 쏟아내…"단기 변동성 확대 불가피"
국내증시2025.01.3117:39:47
딥시크발(發) 충격에 31일 국내 증시가 새파랗게 질렸다. 저비용·고효율 인공지능(AI) 모델을 중국이 내놓자 AI칩에 들어가는 고대역폭메모리(HBM)를 만드는 SK하이닉스·삼성전자 등 반도체 대장주뿐만 아니라 소부장(소재·부품·장비), 전력설비주도 모두 하락세를 피하지 못했다. 구글·메타 등 미국의 빅테크들이 딥시크 출현으로 대규모 AI 투자에 신중한 입장을 보일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우려감이 직격탄이 됐다. 반면 AI 후발 주자도 저비용으로 고성능의 검색 도구를 만들
주식 초고수는 지금
저가매수 타이밍? '딥시크 타격' HD현대일렉트릭 순매수 1위
국내증시 2025.01.31 11:52:43
미래에셋증권(006800)에서 거래하는 고수익 투자자들이 24일 오전 가장 많이 순매수한 종목은 HD현대일렉트릭(267260)으로 나타났다. 2위와 3위는 하이브(352820), 삼성전자(005930)였다. 이날 미래에셋증권에 따르면 미래에셋증권 주식 거래 고객 중 최근 1개월 간 투자수익률 상위 1%에 해당하는 ‘주식 초고수’들이 오전 11시까지 가장 많이 사들인 종목은 HD현대일렉트릭이다. HD현대일렉트릭은 최근 중국의 AI 스타트업 딥시
글로벌 핫스톡
로보택시·3만달러 신차…AI 시대 대장주 테슬라 [글로벌 핫스톡]
해외증시 2025.01.31 07:30:00
삼성증권 리서치는 세계가전전시회(CES 2025) 참석 전 LA에 들려 완전자율주행(FSD) 13.2버전이 활성화돼 있는 테슬라 사이버 트럭을 이틀 간 경험했다. 운전석에 탑승한 5분 만에 평균적인 운전실력을 훨씬 뛰어넘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인공지능(AI) 기술이 세상을 이해하고, 사람의 노동을 대체한다는 미래는 이미 현실화되고 있었다. 테슬라 주가는 대선 이후 100% 이상 상승했고 1월 초에 발표된 4분기 판매 대수가 시장
  • "기부신탁하면 생전에 최대 30% 세액공제 혜택"
    국내증시 2025.01.22 17:43:10
    “기부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면서 상속과 함께 기부 신탁을 찾는 고객들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기부자가 최대 30%까지 세액공제 혜택을 볼 수 있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입니다.” 오영표(사진) 신영증권(001720) 헤리티지솔루션본부장(전무)은 22일 서울 여의도 신영증권 본사 회의실에서 서울경제신문과 만나 이렇게 말했다. 오 전무는 “자산 승계와 기부 신탁을 연계해서 상담하는 경우가 많다”며 “개인들의 가치관이 다양해지다 보니 희소 질환을 겪는 고객은 그 질환을 연구하는 곳에 기부하기도 하는 등 상속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부들이 이뤄지
  • HMM "1년내 2.5조 주주환원"
    국내증시 2025.01.22 17:42:39
    HMM(011200)이 향후 1년 안에 2조 5000억 원 이상 규모의 주주 환원에 나서기로 했다. 22일 회사에 따르면 HMM은 △연평균 매출 성장률 9% △3년 평균 자기자본이익률(ROE) 4% △ESG 경영 확대 △주주 등 이해관계자와의 소통 확대 등 5개 항목을 주요 내용으로 한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발표했다. 우선 지속적인 수익 달성을 위해 지난해 9월 발표한 ‘2030 중장기전략’을 중심으로 2030년까지 23조 5000억 원을 투자해 컨테이너 155만 TEU(TEU=20피트짜리 컨테이너 1개), 벌크 1256DWT(재화
  • 시들해진 메타버스…ETF도 줄줄이 상폐
    국내증시 2025.01.22 17:42:37
    코로나19 팬데믹 직후 비대면 환경 속에서 주목을 받았던 메타버스 테마 인기가 급격히 사그라지자 관련 종목에 투자하는 상장지수펀드(ETF)도 줄줄이 상장폐지되고 있다. 22일 한국거래소 상장공시시스템(KIND)에 따르면 이달 15일 신한자산운용의 ‘SOL 한국형글로벌플랫폼&메타버스액티브 ETF’에 이어 20일 KB자산운용의 ‘RISE 글로벌메타버스 ETF’가 상장폐지됐다. ETF는 순자산총액이 50억 원 미만인 상태가 한 달 이상 지속되면 상장폐지 대상이 된다. 다만 주식과 달리 ETF 투자자는 상장폐지일 기준으로 순자산가치에서 보
  • [로터리] 사모펀드와 파트너
    증권일반 2025.01.22 17:40:05
    ‘파트너십’이라는 단어는 여러 가지 의미로 쓰인다. 협력 회사 간 상생을 도모하는 의미로 쓰이기도 하고 서로 다른 정당 간 정치적 결속을 뜻하기도 하며 인생의 동반자인 배우자와의 관계를 표현하기도 한다. 자본시장의 파트너십은 주로 사모펀드 업계에서 사용된다. 사모펀드는 단순히 자금을 투자하는 유동성공급자(LP)와 모집된 자금을 책임 있게 운용하는 업무집행사원(GP)으로 구성된 파트너십이다. 엄밀히 말하면 LP와 GP 간의 사적인 계약이므로 제3자가 끼어들 여지는 없다고 말할 수 있다. 하지만 최근 들어 여러가지 사례들이 등장하면서
  • LG CNS에 21조 뭉칫돈…경쟁률 123대1 [시그널]
    IB&Deal 2025.01.22 17:38:54
    올 코스피 기업공개(IPO) 시장의 ‘최대어’로 꼽히는 LG CNS 공모주 청약이 세 자릿수 경쟁률로 흥행 마감했다. 22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국내 증권사 6곳(KB증권·미래에셋증권·신한투자증권·대신증권·NH투자증권·하나증권)이 전날부터 이틀 동안 일반 투자자 대상 LG CNS 공모주 청약을 마친 결과 총 청약 건수는 79만 5470건으로 잠정 집계됐다. 최종 경쟁률은 약 123대1이었다. 주문액의 절반을 미리 납부하는 청약 증거금은 약 21조 1400억 원
  • CJ ENM, 라이브시티에 2000억 원 더 붓는다 [시그널]
    국내증시 2025.01.22 17:34:20
    CJ ENM(035760)이 K-컬처밸리 복합개발사업이 좌초된 CJ라이브시티에 2000억 원을 추가로 수혈한다. 22일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CJ라이브시티는 이날 2000억 원 규모의 제3자배정 유사증자를 결정했다고 공시했다. 최대주주인 CJ ENM이 발행 신주를 100% 취득하는 방식이다. 지난해 9월 같은 방식으로 980원을 CJ ENM으로부터 지원받은 지 4개월 만이다. CJ라이브시티는 조달한 자금을 운영 자금으로 사용하겠다고 밝혔다. CJ ENM은 2015년 말 지분 90%를 출자해 CJ라이브시티를 설립했다. 경기도와 함께
  • 케이알엠 대주주 지분 처분…고스트로보틱스 판권 연장 불발되나 [시그널]
    증권일반 2025.01.22 17:20:00
    LIG넥스원(079550)이 인수한 미국 사족 보행 로봇 업체 고스트로보틱스의 국내 판권을 가진 케이알엠(093640)(KRM·Korea Robot Manufacturing)의 주요 주주가 잇달아 이탈하고 있다. 시장에서는 이를 두고 2026년까지로 알려진 케이알엠의 국내 판권 계약 연장이 불발될 가능성이 높아진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주가도 LIG넥스원의 고스트로보틱스 인수 소식이 전해졌던 2023년 1만 2000원대에서 4000원 수준까지 빠졌다. 22일 금융투자 업계에 따르면 케이알엠 주요주주였던 제모피아인베
  • HD현대重, 지난해 영업이익 7052억…전년比 294% ‘급증’
    국내증시 2025.01.22 17:02:44
    HD현대중공업(329180)이 지난해 7052억 원의 영업이익을 벌어들였다. HD현대미포(010620)도 지난해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HD현대(267250)중공업은 지난해 매출 14조 4865억 원, 영업이익 7052억 원을 기록했다고 22일 공시했다. 매출은 전년비 21.1%, 영업이익은 294.8%나 증가했다. HD현대미포는 지난해 매출 4조 6300억 원, 영업이익 885억 원의 성적을 거둬들였다. 전년 대비 매출은 14.6% 증가하고 영업이익은 흑자 전환했다. HD현대마린솔루션(443060)도 지난해 1조 7455억 원,
  • 삼성물산 패션부문, 3년 연속 '2조 클럽'…소비심리 위축에 실적은 소폭 ↓
    종목·투자전략 2025.01.22 16:59:55
    삼성물산(028260) 패션부문이 3년 연속 2조원대 연매출을 기록했다. 다만 소비심리 위축에 매출과 영업이익은 소폭 줄었다. 삼성물산 패션부문은 지난해 매출과 영업이익이 2조40억원, 17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3%, 12.4% 줄었다고 22일 공시했다. 삼성물산 패션부문의 실적이 소폭 줄어든 것은 소비 심리 하락에 이어 기후 영향 등에 따른 결과다. 지난해 4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은 5410억원, 430억 원으로 직전해 같은 기간 대비 0.73%, 6.52%씩 줄었다. 삼성물산 패션부문은 수입 브랜드의 유통 물량을 늘리
  • “세뱃돈으로 테슬라 사자”…신한투자證, 설 연휴 글로벌 데스크 24시간 운영
    국내증시 2025.01.22 16:50:00
    신한투자증권이 설 연휴 기간에 해외 주식 글로벌 데스크를 24시간 운영한다고 22일 밝혔다. 설 연휴 기간에도 글로벌 데스크를 통해 매매가 가능한 지역은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와 홈트레이딩시스템(HTS) 등 온라인 매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국가(미국, 중국, 홍콩, 일본, 베트남, 인도네시아)를 비롯해 오프라인 매매가 가능한 국가 등이다. 단 연휴 기간 중 국가별로 휴장일이 있는 경우 매매할 수 없다. 구체적으로 인도네시아가 1월 27일부터 29일까지, 홍콩은 1월 28일(반장)부터 30일까지, 중국은 1월 28일부터 30일까지
  • 美 S&P500보다 수익률 높은 디딤펀드…"수십억 원 대 자금 꾸준히 유입 중"
    국내증시 2025.01.22 16:04:00
    서유석 금융투자협회장의 숙원 사업인 디딤펀드가 국내외 주요 증시 대비 우수한 수익률을 거두며 출시 초기 양호한 성과를 올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디딤펀드는 지난해 9월 25일 금투협 주도 하에 25개 자산운용사가 함께 시장에 내놓은 자산 배분형 밸런스드펀드(BF)이다. 퇴직연금 수익률을 제고해 국민들의 노후 자산 증식에 기여하고 은행 예·적금에 묶여 있는 퇴직금을 금투업계로 가져오겠다는 목적으로 출시됐다. 22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9월 25일부터 지난해 말까지 25개 디딤펀드의 평균 수익률은 3.29%다.
  • 삼성물산 상사부문 지난해 영업이익 3000억…전년比 16.7%↓
    국내증시 2025.01.22 15:58:41
    삼성물산(028260) 상사부분이 지난해 3000억 원의 영업이익을 벌여들였다. 삼성물산 상사부문은 지난해 매출 12조 9970억 원, 영업이익 3000억 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0%, 16.7%씩 감소했다. 지난해 4분기에는 매출 3조 5050억 원, 영업이익 730억 원으로 집계됐다. 삼성물산 관계자는 “비료, 구리 등 트레이딩 물량 확대 및 미국 태양광 개발사업 호조에 힘입어 전분기, 전년동기 대비 매출과 영업이익이 모두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연간 태양광 개발사업 연간 매각이익은 7700만
  • 기업공시[1월 22일]
    증권일반 2025.01.22 15:49:12
    <코스피 공시> ▲HD현대마린엔진(071970)=삼성중공업(010140)에 372억 원 규모 선박엔진 공급 계약 체결 ▲GS피앤엘(499790)=지주회사 전환 통보 ▲현대건설(000720)=지난해 잠정 영업손실 1조 2209억 원으로 적자전환 ▲신성이엔지(011930)=무인 이송 대차 및 무인 이송 대차 시스템 특허취득 ▲HMM(011200)=1년 내 2조 5000억 원 이상 주주환원 포함한 기업가치 제고 계획 발표 ▲영보화학(014440)=68억 원 규모 주당 350원 현금배당 결정(배당율 9.7%) ▲현대제철(004020)=98
  • 벤츠, 럭셔리카 공략 시동…고성능 등 9종 띄운다
    증권일반 2025.01.22 15:47:36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가 올해 새로운 최상위 드림카 2종과 고성능 등 신규 트림 7종을 출시하며 제품 포트폴리오를 강화한다. 폭넓은 선택지 제공을 통해 럭셔리 자동차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겠다는 전략이다. 벤츠코리아는 고성능 AMG 브랜드 2도어 쿠페 차량인 ‘메르세데스 AMG GT’의 2세대 완전 변경 모델을 올해 상반기 출시한다고 22일 밝혔다. 하반기에는 지난해 8월 공개된 ‘디 올 뉴 메르세데스 마이바흐 SL’을 공개할 예정이다. 두 모델 모두 메르세데스벤츠의 혁신 기술과 디자인을 집약한 상징적인 차량이다. AMG GT는 스포
  • 상장협·한경협 “상법 개정시 상장사 비용 부담 12.8% 증가”
    국내증시 2025.01.22 15:03:54
    이사의 충실의무 확대를 골자로 한 상법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하면 향후 상장기업의 상장유지비용이 평균 12.8% 증가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상장유지비용 절감을 위해 코스피 상장사 10곳 중 3곳 이상은 상법 개정을 중단해야 한다고 답변했다. 상법 논의를 중단하고 기업 경쟁력 강화와 민생경제 회복에 힘써야 한다는 지적이다. 22일 한국상장회사협의회(이하 상장협)은 한국경제인협회(이하 한경협)과 공동으로 매출 상위 600대 상장사를 대상으로 시장조사 전문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실시한 ‘국내 주요기업의 상장유지비용 조사’ 결과를 발표를
서경스페셜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경 마켓시그널

헬로홈즈

미미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