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필수 추경안에 산불 대응과 수출 기업 애로 해소 방안을 고려해달라고 건의 했다”고 밝혔다.
송 장관은 8일 서울 서초구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센터에서 농식품 수출 기업들을 만나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 부과 조치 발표에 따른 대미 수출 대응 방향을 논의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삼양식품·CJ제일제당·대상·희창물산 등 16개 기업 단체가 참여했다.
송 장관은 이날 간담회를 마친 뒤 기자들을 만나 “중소벤처기업부 장관님을 만나서도 중소기업 수출 바우처를 통해 중소 K푸드, K뷰티 회사들을 같이 지원해달라고 말씀 드렸고 오 장관님이 그렇게 하겠다고 답을 하셨다”면서 “산불 대책, 수출 기업 지원, 농산물 분야 민생 안정, 농업인 경영 부담 완화 방안 등을 필수 추경에 담을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도 경제관계장관 간담회에서 “다음 주 초 10조 원 규모의 추경안을 발표하겠다”며 “구체적인 추경의 내용은 이번 주 관계부처 협의 등을 거쳐 확정할 예정”고 밝힌 바 있다.
아울러 송 장관은 “아직 비관세 장벽에 대해서는 미국 측에서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며 “간담회에서 기업들은 주로 수출 단가를 낮출 수 있는 수출 바우처, 무역금융 확대 등을 요구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아직 (관세 부과) 초기 단계인 만큼 구체적인 피해에 대해서는 기업들도 검토해볼 대목이 있다고 한다”며 “기본적으로 소비자 가격이 올라 소비가 줄어들 수 있는 만큼 수출 단가를 낮추는 것이 공통적인 해결 방안인 것 같다”고 설명했다.
농식품부는 수출 기업들의 부담을 완화하고 리스크 대응을 강화하기 위해 원료구매 자금 추가 지원, 농식품 수출 바우처 및 수출보험 확대, 시장 다변화를 위한 유통업체 연계판촉 등 온·오프라인 마케팅을 강화할 방침이다.
정부는 올해 농식품과 농산업을 합친 케이푸드플러스(K-Food+) 수출 목표를 140억 달러로 잡고 있다. 송 장관은 “미국발 상호관세 25%의 영향이 상당히 있을 수 있다고 보고 있다”며 “아직은 수출 시장이 괜찮은 편이지만 미국 시장 수출이 축소될 수 있는 만큼 그 부분도 미국과 추가적인 협상의 여지가 남아 있다”고 덧붙였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