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 알리바바 공세에 딥시크는 속도전… 中 AI '내전' 격화 [글로벌 왓]
    알리바바 공세에 딥시크는 속도전… 中 AI '내전' 격화 [글로벌 왓]
    기업 2025.02.26 13:16:04
    갑작스러운 사용량 폭주에 신규 기업 고객의 가입을 제한했던 중국 생성형 인공지능(AI) 딥시크가 기업 대상 서비스를 3주 만에 재개했다. 알리바바 등 경쟁 업체들이 속속 신규 AI 모델을 출시하면서 대규모 투자를 예고하자 맞대응에 나선 것이다. 딥시크는 차기 추론 모델 ‘R2’의 공개 시점도 앞당겨 속도전을 펼친다는 구상이다. 14억 명의 인구를 배후에 둔 중국 테크 기업 간 AI 내전이 격화하며 중국 AI의 발전 속도도 더욱 빨라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25일(현지 시간) 딥시크는 지난 3주간 중단했던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
  • 'K-푸드테크' 에니아이, 버추얼트윈 타고 햄버거 본고장 美 공략
    'K-푸드테크' 에니아이, 버추얼트윈 타고 햄버거 본고장 美 공략
    기업 2025.02.26 10:11:34
    “다쏘시스템 버추얼트윈 솔루션은 자원이 부족한 스타트업에도 효율적입니다.” 이강규 에니아이 기술리드는 25일(현지시간) 미국 텍사스주 휴스턴에서 열린 다쏘시스템 연례 기술 콘퍼런스 '3D익스피리언스 월드 2025’ 기자간담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 리드는 이날 콘퍼런스의 대표 행사인 기조강연 무대에도 섰다. 에니아이는 다쏘시스템의 3차원(3D) 설계 시뮬레이션 솔루션인 솔리드웍스를 이용해 국내 최초로 햄버거 패티를 굽는 로봇인 알파 그릴을 개발했다. 버추얼 트윈을 통해 가상 공간에서 로봇을 설계하고 여러 번의 시뮬레이션을
  • 애플 AI가 '인종차별주의자'를 '트럼프'로 적었다고? [윤민혁의 실리콘밸리View]
    애플 AI가 '인종차별주의자'를 '트럼프'로 적었다고? [윤민혁의 실리콘밸리View]
    기업 2025.02.26 08:44:43
    아이폰 음성인식 인공지능(AI)이 ‘인종차별주의자(Racist)’ 등 단어를 ‘트럼프(Trump)’로 받아적는 현상이 벌어져 애플이 긴급 수정했다. 애플은 주총에서 보수 싱크탱크가 제안한 다양성·형평성·포용성(DEI) 프로그램 폐지 안건도 부결시켰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에게 약속한 4년 5000억 달러 투자가 ‘맹탕’이라는 지적이 나오는 가운데 애플이 정권 ‘눈밖’에 날 수 있다는 우려도 이어진다. 25일(현지 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아이폰 음성 인식 소프트웨어가 인종차별주의자, 광란(
  • 또 빛난 '팀 코리아'…현대로템, 모로코 철도 2.2조 수주 잭팟
    또 빛난 '팀 코리아'…현대로템, 모로코 철도 2.2조 수주 잭팟
    기업 2025.02.26 08:29:51
    현대로템(064350)이 모로코에서 2조 2000억 원에 달하는 역대 최대 규모의 전동차 사업 수주에 성공했다. 현대로템은 25일(현지 시간) 모로코 철도청과 2조 2027억 원에 2층 전동차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26일 밝혔다. 수주 물량은 440량으로 알려졌다. 모로코는 2030년 스페인·포르투갈과 FIFA 월드컵 공동 개최를 앞두고 이번 사업을 추진했다. 현대로템의 전동차는 160㎞/h급으로 모로코 최대 도시인 카사블랑카를 중심으로 주요 지역들을 연결하며 현지 대중교통 강화에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전동차 공
  • 애플 비전프로 착용하며 설계…다쏘시스템 '3D라이브' 출격
    애플 비전프로 착용하며 설계…다쏘시스템 '3D라이브' 출격
    기업 2025.02.26 07:52:14
    다쏘시스템이 애플의 복합 현실(MR) 헤드셋 ‘비전프로’를 착용한 상태로 3차원(3D) 설계 및 시뮬레이션을 할 수 있는 실시간 협업 애플리케이션(앱) ‘3D라이브’를 출시한다. 다쏘시스템은 25일(현지시간) 미국 텍사스주 휴스턴에서 연례 기술 콘퍼런스인 '3D익스피리언스 월드 2025’에서 3D라이브를 올해 여름 출시한다고 밝혔다. 3D라이브를 활용하면 애플 비전프로를 착용하고 실제 현실과 다쏘시스템의 솔리드웍스·카티아·델미아 등 13개 솔루션을 통합한 플랫폼 ‘3D익스피리언스’에서 생성한 ‘버추
  • 삼성전자, 日 미쓰이와 EUV 펠리클 맞손…파운드리 수율 개선 사활 [biz-플러스]
    삼성전자, 日 미쓰이와 EUV 펠리클 맞손…파운드리 수율 개선 사활 [biz-플러스]
    기업 2025.02.26 07:41:06
    삼성전자(005930)가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생산) 초미세공정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일본 미쓰이화학의 ‘극자외선(EUV) 펠리클(노광공정용 오염 방지 덮개)’을 도입한다. 아울러 차세대 ‘탄소나노튜브(CNT) 펠리클’ 상용화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 파운드리는 일본 미쓰이화학에서 수십억 원 규모 EUV 펠리클을 구매하기로 했다. 최종 시험을 거친 뒤 경기도 화성 3나노(㎚·10억 분의 1m) 파운드리 라인 'S3'에 적용해 양산에 활용할 전망이다. 펠리클은 오염 방지용 덮개로
  • 삼성에피스 '스텔라라' 시밀러 美출시에… 소송 딴지 건 얀센
    삼성에피스 '스텔라라' 시밀러 美출시에… 소송 딴지 건 얀센
    기업 2025.02.26 05:30:00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스텔라라’의 바이오시밀러 ‘피즈치바’를 마케팅 파트너사인 산도스를 통해 미국에 출시했다고 25일 밝혔다. 다만 스텔라라 오리지널 개발사인 얀센과 모회사 존슨앤드존슨(J&J)은 이날 삼성바이오에피스에 계약 위반으로 가처분 신청을 했다. 미국 내 스텔라라 복제약 출시를 지연시키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스텔라라는 판상 건선, 건선성 관절염,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등의 자가면역질환 치료제다. 연간 글로벌 매출 규모는 103억 6100만 달러(약 15조 원)에 달하고 미국 매출 규모는 67억 2
  • 美 트럼프 통제 전 사들이자?…“中 기업들, 엔비디아칩 주문 늘려”
    美 트럼프 통제 전 사들이자?…“中 기업들, 엔비디아칩 주문 늘려”
    기업 2025.02.25 21:06:35
    중국에서 딥시크 인공지능(AI) 모델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는 가운데 중국 기업들이 엔비디아 저사양 칩 주문을 늘리고 있다는 외신 보도가 나왔다. 25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은 소식통을 인용해 딥시크의 ‘가성비’ AI 모델이 전 세계적인 주목을 받은 이후 텐센트, 알리바바, 바이트댄스 등 중국 빅테크(거대기술기업)들이 엔비디아의 H20 칩 주문을 “상당히 늘렸다”고 보도했다. H20은 엔비디아가 미국 정부의 대중국 수출 통제로 출시한 저사양으로 제품이다. 다른 소식통은 헬스케어·교육 분야의 비교적 작은 기업들도 딥시크
  • "日스미토모화학, 한국서 반도체 소재 포토레지스트 생산"
    "日스미토모화학, 한국서 반도체 소재 포토레지스트 생산"
    기업 2025.02.25 20:48:47
    일본 스미토모화학이 오사카 공장에서만 생산해 왔던 반도체 핵심 소재 포토레지스트를 한국에서도 제조하기로 했다. 포토레지스트는 일본 기업의 세계 시장 점유율이 매우 높은 소재다. 25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 보도에 따르면 스미토모화학은 향후 한국에서 극자외선(EUV) 포토레지스트와 불화아르곤(ArF) 포토레지스트를 생산할 방침이다. 이 회사는 포토레지스트 생산 확대를 위해 한국과 일본에 약 300억엔(약 2875억 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다만 한국 생산과 관련한 구체적 장소, 시점은 알려지지 않았다. 닛케이는 “한국에는 최첨단
  • ‘신의 눈’ 장착 예고한 BYD에 도전장 던지는 테슬라
    ‘신의 눈’ 장착 예고한 BYD에 도전장 던지는 테슬라
    기업 2025.02.25 17:45:10
    일론 머스크의 테슬라가 중국에서 자율주행 지원 소프트웨어 ‘FSD’와 유사한 기능의 첨단 주행 보조 소프트웨어를 선보였다. 비야디(BYD) 등 현지 업체들의 부상으로 중국 전기차 시장에서의 경쟁이 치열해진 가운데 첨단 기능을 앞세운 테슬라가 가시적인 성과를 낼지 주목된다. 25일 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테슬라는 이날 소셜미디어 위챗 계정을 통해 주행 보조 시스템인 오토파일럿을 업데이트해 ‘오토파일럿 자동 보조 운전’ 기능을 제공하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가격은 6만 4000위안(8800달러, 약 1260만 원)으로 책정됐다. 이번
  • [여명] 트럼프의 관세는 무엇인가
    [여명] 트럼프의 관세는 무엇인가
    기업 2025.02.25 17:43:31
    관세가 세계 경제의 화두다. 2차 세계대전 후 1947년 출범한 가트(GATT·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 협정) 체제를 대체한 세계무역기구(WTO)가 1995년 닻을 올렸을 때 관세는 시나브로 사라질 운명으로 여겨졌다. 자유무역의 기수인 WTO에 관세는 각국의 보조금과 함께 제1의 적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8년 전 예상을 깨고 백악관에 입성하면서 다시 관세가 스포트라이트를 받더니 트럼프 2기를 맞아 세계 경제를 뒤집어놓을 태세다. 트럼프의 폭풍 관세에 올해 30돌을 맞은 WTO는 사망 선고
  • 속도 내는 트럼프 중국 포위전…"동맹에도 반도체 규제 압박"
    속도 내는 트럼프 중국 포위전…"동맹에도 반도체 규제 압박"
    기업 2025.02.25 14:28:39
    최근 잇따른 무역 제재로 중국을 둘러싼 포위망을 좁히고 있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번에는 동맹국에 대(對)중국 반도체 수출 규제를 요구하고 나섰다. 외교가에서는 한국도 이 같은 조치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진단하면서 추후 미중 협상 과정에서 중국의 대미 투자가 후순위로 밀릴 수도 있다는 관측이 나왔다. 블룸버그통신은 24일(현지 시간) 복수의 익명 소식통을 인용해 트럼프 정부 인사들이 최근 일본·네덜란드 당국자들과 만나 도쿄일렉트론·ASML 등 반도체 장비 업체가 중국에서 유지·보수
  • [단독] 삼성전자, 日 미쓰이 손잡고 3나노 수율 개선 사활
    [단독] 삼성전자, 日 미쓰이 손잡고 3나노 수율 개선 사활
    기업 2025.02.25 11:15:47
    삼성전자(005930)가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생산) 초미세공정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일본 미쓰이화학의 ‘극자외선(EUV) 펠리클(노광공정용 오염 방지 덮개)’을 도입한다. 아울러 차세대 ‘탄소나노튜브(CNT) 펠리클’ 상용화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 파운드리는 일본 미쓰이화학에서 수십억 원 규모 EUV 펠리클을 구매하기로 했다. 최종 시험을 거친 뒤 경기도 화성 3나노(㎚·10억 분의 1m) 파운드리 라인 'S3'에 적용해 양산에 활용할 전망이다. 펠리클은 오염 방지용 덮개로
  • 애플, 역대 최대 투자 계획에도…美 언론 “새로 내용 없어”
    애플, 역대 최대 투자 계획에도…美 언론 “새로 내용 없어”
    기업 2025.02.25 10:43:14
    애플이 향후 4년간 미국에서 5000억 달러(약 714조 원)를 투자하겠다는 계획에 새로운 것이 없다는 분석이 나왔다. 전 세계 시가총액 1위 기업 애플 입장에서도 막대한 규모의 자본 지출이지만 기존에 예상되던 투자 흐름에서 크게 벗어날 것이 없다는 진단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4일(현지시간) 애플의 이번 투자 계획과 관련해 “계획된 지출 중 실제로 새로운 지출이 얼마나 되는지는 분명하지 않다”며 “애플과 같은 규모 기업이 얻을 수 있는 큰 이점 중 하나는 일상적인 업무 과정에서 엄청난 숫자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는 것
  • 트럼프 "푸틴도 유럽군 파병 찬성"…마크롱 "美는 안보 안 도와주나"
    트럼프 "푸틴도 유럽군 파병 찬성"…마크롱 "美는 안보 안 도와주나"
    기업 2025.02.25 10:37:19
    최근 우크라이나 종전 문제로 큰 이견을 보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정상회담에서 서로 다른 유럽 질서 구상을 다시 한 번 표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러시아와의 협상을 밀어붙일 뜻을 굽히지 않은 반면 마크롱 대통령은 “안전 보장 없는 휴전은 안 된다”며 강한 우려를 드러냈다. 트럼프 대통령은 24일(현지 시간) 백악관에서 마크롱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고 “유럽은 우크라이나에 돈을 빌려주고 돌려받는다”며 미국도 그간 우크라이나에 지원한 금액에 대한 대가로 광물 자원을 확보해야 한다는 취지의 주장
서경스페셜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경 마켓시그널

헬로홈즈

미미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