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정치·사회최신순인기순

  • 트럼프 車 관세에… '아부의 예술' 日 총리도 표정 바꿨다[글로벌 왓]
    트럼프 車 관세에… '아부의 예술' 日 총리도 표정 바꿨다[글로벌 왓]
    정치·사회 2025.03.27 17:07:28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의 자동차 25% 관세에 보복하는 국가에 대해 관세율을 더욱 키우는 재보복을 시사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27일(현지 시간) 소셜미디어(SNS) 트루스소셜에 "만약 유럽연합(EU)이 미국에 경제적 해를 입히기 위해 캐나다와 협력한다면, 두 국가가 여태껏 가진 가장 친한 친구(미국)를 보호하기 위해 현재 계획된 것보다 훨씬 더 큰 대규모 관세가 둘 모두에 부과될 것"이라고 적었다. 이 같은 게시물은 트럼프 행정부가 전날 공식화한 자동차 관세에 대해 한국을 포함해 EU·캐나
  • 무역확장법 앞세워…'6년 벼른 칼' 꺼낸 트럼프
    무역확장법 앞세워…'6년 벼른 칼' 꺼낸 트럼프
    정치·사회 2025.03.27 16:46:03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26일(현지 시간) 자동차 25% 관세를 공식화하며 근거로 삼은 것은 무역확장법 232조다. 이 조항은 외국산 수입 제품이 미국 국가 안보에 위협을 끼칠 경우 세이프가드(수입 제한) 또는 관세 등 긴급한 조치를 취할 수 있는 권한을 규정하고 있다. 1962년 제정됐지만 트럼프 1기 정부 이전에는 사실상 사문화됐다는 평가가 나왔을 정도로 많이 사용되지 않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무역확장법 232조를 집권 1기와 이달 12일 철강 등에 관세(25%)를 부과하면서 활용했으며 이번 자동차 관세까지 총 세 차례
  • 러 노골적 휴전 지연에…젤렌스키 "美, 푸틴 압박해달라"
    러 노골적 휴전 지연에…젤렌스키 "美, 푸틴 압박해달라"
    정치·사회 2025.03.27 16:32:33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미국을 대상으로 휴전 협정을 노골적으로 지연시키고 있는 러시아를 압박해달라고 촉구했다. 러시아는 최근 미국의 중재로 우크라이나와 전쟁을 부분 휴전하는 방안에 대해 합의했지만 여러 조건을 내세우며 이행을 늦추고 있다. 26일(현지 시간) BBC는 프랑스 파리 엘리제궁에서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과 회동한 뒤 기자들과 만난 젤렌스키 대통령이 "미국이 러시아의 요구에 저항할 것으로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그러기를 바란다, 지켜보자"고 답했다고 보도했다. 전날
  • '장사꾼 본색' 트럼프, 관세 전쟁 협상 카드로 틱톡 꺼냈다
    '장사꾼 본색' 트럼프, 관세 전쟁 협상 카드로 틱톡 꺼냈다
    정치·사회 2025.03.27 16:29:46
    다음 달 전 세계를 대상으로 상호관세 부과를 예고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계 숏폼(길이가 짧은 동영상) 플랫폼 ‘틱톡’의 미국 사업권을 자국 기업에 넘기면 중국에 대한 관세를 깎아줄 수 있다고 제안했다. 미국 기업이 사업권을 인수하지 않으면 다음 달 ‘틱톡금지법’이 시행된다는 점을 앞세워 협상 카드를 던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은 26일(현지 시간) 백악관에서 25% 자동차 관세를 발표하면서 “틱톡에 관해 중국이 아마도 (미국 내 사업권 매각 관련) 승인 형태의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한다”며 “그것이 성사되면
  • MS, 대형 데이터센터 프로젝트 중단…"공급 과잉 원인"
    MS, 대형 데이터센터 프로젝트 중단…"공급 과잉 원인"
    정치·사회 2025.03.27 15:49:40
    마이크로소프트(MS)가 공급 과잉 우려로 대형 데이터센터 프로젝트를 중단했다. 블룸버그통신은 26일(현지 시간) MS가 미국과 유럽에서 약 2기가와트(GW) 용량에 해당하는 새로운 데이터센터 사업을 중단했다고 보도했다. 2기가와트는 150만~200만 가구가 연간 사용하는 전력량과 맞먹는 수준이다. 블룸버그가 인용한 TD코헨에 따르면 MS가 사업을 중단한 배경으로 인공지능(AI)을 지원하는 클라우드의 과잉 공급이 지목됐다. 특히 MS가 130억 달러를 투자해 AI모델을 위한 클라우드 인프라를 지원하기로 한 오픈AI와의 계약이 변경된
  • 겔싱어 "TSMC의 R&D도 미국으로 옮겨와야"
    겔싱어 "TSMC의 R&D도 미국으로 옮겨와야"
    정치·사회 2025.03.27 15:47:22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 생산) 업체인 대만 TSMC가 미국에 1000억 달러(약 146조 원)를 투자하기로 한 것과 관련해 “미국 반도체 산업 부활에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미국이 반도체 패권을 되찾기 위해서는 공장 등 제조 시설을 추가하는 것보다 TSMC의 연구개발(R&D) 기능을 옮겨오는 것이 중요하다는 이유에서다. 26일(현지 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팻 겔싱어 전 인텔 최고경영자(CEO)는 “미국에 R&D 시설이 없다면 미국은 반도체 산업에서 리더십을 가질 수 없다”며 “TSMC의
  • 러에 '트럼프 협상' 들은 北김정은…"美대화 극도로 환영"
    러에 '트럼프 협상' 들은 北김정은…"美대화 극도로 환영"
    정치·사회 2025.03.27 15:43:28
    미국과 우크라이나 휴전 협상을 진행하는 러시아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게 그 내용을 상세히 설명했다. 러시아처럼 서방의 제재를 받으면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다시 만날 날을 기대하고 있는 김정은은 미국과 러시아 간 접촉 재개 사실을 크게 환영했다. 러시아 관영 리아 노보스티 통신은 27일(현지 시간) 러시아가 김정은에게 미국과의 접촉 관련 세부사항을 자세히 알렸다고 보도했다. 알렉산드르 마체고라 주북한 러시아 대사는 리아 노보스티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최근 방북한 세르게이 쇼이구 러시아 국가안보회의 서기의 북한 방문을 거론
  • 냉탕 온탕 오간 환율…트럼프 車 관세 타격에도 金가치 상승이 원화 방어 [김혜란의 FX]
    냉탕 온탕 오간 환율…트럼프 車 관세 타격에도 金가치 상승이 원화 방어 [김혜란의 FX]
    정치·사회 2025.03.27 15:34:16
    27일 원·달러 환율은 급등락이 한꺼번에 나타난 장이었다. 미국발 자동차 관세 소식에 장 초반부터 환율은 1470원을 넘겼다. 그러나 이후에는 금 가격이 오르면서 달러화 강세가 꺾이자 환율도 안정세를 되찾았다. 이날 서울 외환 시장에서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은 전날 보다 2.7원 오른 1469.0원에서 출발해 개장 직후 1471.5원까지 올랐다. 이후에는 점차 소강 상태를 보였고 결국 1.0원 내린 1465.3원에 오후 장을 마감했다. 위재현 NH선물 연구원은 “전날 새벽에 미국의 관세 관련 뉴스는 장 초반에 소화됐고,
  • 트럼프 "中 관세, 美에 '틱톡' 팔면 깎아줄 수 있다"
    트럼프 "中 관세, 美에 '틱톡' 팔면 깎아줄 수 있다"
    정치·사회 2025.03.27 10:59:05
    다음 달 2일 상호관세 부과가 코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계 숏폼(길이가 짧은 동영상) 플랫폼 ‘틱톡’의 미국 사업권을 자국 기업에 넘기면 중국에 대한 관세를 깎아줄 수 있다고 주장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올 상반기 미중 정상회담을 조율하는 과정에서 본격적으로 협상에 운을 뗐다는 평가가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은 26일(현지 시간) 백악관에서 자동차 관세를 발표하면서 틱톡의 미국 내 사업권을 두고 이 같이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틱톡에 관해 중국이 아마도 (미국 내 사업권 매각 관련)
  • 日 전설의 350승 투수, 슈퍼서 '3000원 어치' 술 훔치다 덜미
    日 전설의 350승 투수, 슈퍼서 '3000원 어치' 술 훔치다 덜미
    정치·사회 2025.03.27 09:40:15
    일본 프로야구에서 통산 350승을 거둔 전설적인 투수가 슈퍼에서 술을 훔치다 붙잡혔다. 그가 훔친 술의 가격은 단돈 3000원어치에 불과했다. 26일 요미우리신문 등에 따르면 요네다 데츠야는 전날 오전 10시 40분께 집 근처 슈퍼에서 술 두 캔을 훔친 혐의를 받는다. 요네다가 훔치려고 했던 술의 가격은 총 303엔(한화 약 3000원)인 것으로 알려졌다. 술을 주머니에 넣은 요네다가 계산하지 않은 채 가게를 나가려고 하자 이를 발견한 점원이 경찰에 신고했다. 요네다는 자신의 혐의를 인정했다. 1956년 한큐 브레이브스에 입단한 뒤
  • “당장 도망가세요” 日 서부도 산불 확산…주민 1만명 피난 지시 [지금 일본에선]
    “당장 도망가세요” 日 서부도 산불 확산…주민 1만명 피난 지시 [지금 일본에선]
    정치·사회 2025.03.27 09:32:44
    경북 북부 지역에서 산불이 이어지는 가운데 일본 서부 각지에서도 산불이 발생해 주민 1만여 명에게 피난 지시가 내려졌다. 교도통신과 NHK에 따르면 26일까지 산불이 이어지고 있는 지역은 시코쿠 에히메현 이마바리시, 혼슈 오카야마현 오카야마시 등이다. 이마바리시는 산불로 소실된 면적이 약 410㏊에 달하고 건물 9동이 피해를 봤다. 이마바리시 당국은 주민 약 7500명에게 피난 지시를 내렸다. 나카무라 도키히로 에히메현 지사는 “목숨이 가장 중요하다"며 "헛걸음하더라도 피난해달라"고 당부했다. 이마바리시와
  • 백악관 “USMCA 적용 자동차 부품은 관세 면세 유지”
    백악관 “USMCA 적용 자동차 부품은 관세 면세 유지”
    정치·사회 2025.03.27 07:21:24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6일(현지 시간) 수입 자동차에 25%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한 가운데 백악관이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USMCA) 기준을 충족하는 자동차 부품은 예외라고 밝혔다. 관세 25% 부과 대상은 세단, SUV, 경트럭 및 주요 자동차 부품 등이다. 해리슨 필즈 백악관 수석 부대변인은 "필요시 추가 부품에 대한 관세 확대 절차가 진행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USMCA) 기준을 충족하는 자동차 부품은
  • 트럼프 "내달 2일 상호관세, 모든 나라 대상으로 부과"
    트럼프 "내달 2일 상호관세, 모든 나라 대상으로 부과"
    정치·사회 2025.03.27 07:16:06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내달 2일 발표 예정인 상호관세에 대해 “매우 관대하게 할 것”이라고 밝혔다. 26일(현지 시간) 트럼프는 모든 외국산 자동차에 25%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하는 자리에서 상호관세가 모든 나라 대상인지 아니면 최악의 국가만 대상으로 하는지에 대한 질문에 대해 “모든 국가”라며 이같이 답했다. 트럼프는 “많은 경우에 다른 나라가 수십년간 미국에 부과했던 것보다 낮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우리는 매우 공정할 것”이라며 “사람들이 매우 즐겁게 놀랄 것”이라는 전망도 내놓았다.
  • 미·중, AI 규제 난타전… 中 "우리가 美 앞질렀다" 도발[글로벌 왓]
    미·중, AI 규제 난타전… 中 "우리가 美 앞질렀다" 도발[글로벌 왓]
    정치·사회 2025.03.27 06:30:00
    인공지능(AI) 기술 경쟁을 벌이고 있는 미국과 중국이 서로를 겨냥한 기술 규제에 나섰다. AI 패권을 놓고 한치 양보 없는 다툼에 돌입한 것이다. ‘딥시크 쇼크’로 자신감을 얻은 중국 측은 “일부 AI 기술은 중국이 이미 미국을 넘어섰다”며 도발에 나서기도 했다. 미국, 중국 AI·컴퓨팅 업체 ‘블랙리스트’ 올려… 中은 엔비디아 겨냥 규제 25일(현지 시간) CNBC에 따르면 미국 상무부는 이날 50개 이상 중국 기술 업체들을 대거 수출통제 목록, 이른바 블랙리스트에 추가했다. 조 바이든 전임 행정부가 도입한 중국 기
  • 딥시크 기술 혁신에 중국行 '오일머니'도 급증했다 [글로벌 왓]
    딥시크 기술 혁신에 중국行 '오일머니'도 급증했다 [글로벌 왓]
    정치·사회 2025.03.27 06:00:00
    중국을 찾는 글로벌 기관투자자들의 발길이 빨라지고 있다. 인공지능 스타트업 딥시크의 기술 혁신에 힘입어 중동 지역을 중심으로 한 국부펀드와 사모펀드의 투자가 가속화되는 모양새다. 25일(현지 시간)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중동 자본의 증가에 힘입어 중국 시장이 강력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고 보도했다. 중국은 2020년까지만 해도 아시아·태평양 지역 전체 거래 금액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지만 지난해 27%로 비중이 감소하며 쪼그라들었다. 정부의 규제와 자본 통제, 미·중 갈등에 따른 디커플링(탈동조화
서경스페셜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경 마켓시그널

헬로홈즈

미미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