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 선시험 후수련 허용… 정부, 전공의·의대생 문턱 낮췄다
    선시험 후수련 허용… 정부, 전공의·의대생 문턱 낮췄다
    바이오 2025.10.29 15:54:38
    정부가 전공의·의대생 복귀 이후 의료인력 수급 차질을 막기 위해 내년 전문의 시험과 레지던트 모집, 의사 국가시험 응시 자격을 대폭 완화한다. 그동안 일정상 응시가 불가능했던 수련생들도 시험에 도전할 수 있도록 문을 연 대신, ‘수련 완료’라는 조건을 엄격히 적용해 공정성과 수련의 질을 동시에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보건복지부는 29일 내년도 전문의 자격시험과 레지던트 1년차 선발, 의사 국가시험 시행방안을 발표하고 복귀한 전공의 및 의대생의 응시 자격 확대 방안을 발표했다. 이번 조치는 의정갈등으로 병원을 떠났다가 올해
  • 지씨셀, 중국 IASO사 CAR-T 치료제 국내 도입 계약 체결
    지씨셀, 중국 IASO사 CAR-T 치료제 국내 도입 계약 체결
    바이오 2025.10.29 15:28:16
    지씨셀(144510)은 중국 ‘난징 이아소 바이오 테크놀로지’와 다발성골수종 치료용 CAR-T 치료제 ‘푸카소’의 국내 도입 계약을 체결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계약은 국내 다발성골수종 환자들에게 새로운 치료 옵션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지씨셀은 Fucaso의 국내 허가 및 상용화를 단계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다발성골수종은 완치가 어려운 혈액암으로, 재발 위험이 높고 주로 고령층에서 발생한다. 국내에서도 고령화로 인해 환자 수가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기존 치료제에 대한 내성과 불응성으로 인해 치료 접근성이 제한적이다. 최근
  • 셀트리온, 포트래이와 1260억규모 신약 공동개발
    셀트리온, 포트래이와 1260억규모 신약 공동개발
    바이오 2025.10.29 15:25:45
    셀트리온(068270)이 공간전사체와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신약개발에 나선다. 셀트리온은 29일 국내 바이오테크 기업인 포트래이와 신약 탐색 공동연구개발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포트래이는 공간전사체를 포함한 멀티오믹스 분석을 통해 새로운 표적을 발굴하고, 셀트리온은 표적 최대 10종에 대한 독점권을 확보해 치료제 후보물질 발굴 및 이후 전 개발 과정을 맡게 된다. 양사의 계약 규모는최대 8775만 달러(약 1259억 원)이며, 제품이 상용화돼 판매될 경우 셀트리온이 포트래이에 별도의 로열티를 지급한다. 포트래이는 2021년
  • 백신 수요는 늘었는데…코로나19 백신 곳곳 ‘품절’
    백신 수요는 늘었는데…코로나19 백신 곳곳 ‘품절’
    바이오 2025.10.29 15:22:31
    코로나19와 인플루엔자(독감) 백신의 동시 접종이 시작된 지 2주도 지나지 않아 고령층 대상 코로나19 백신 수급에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 15일부터 65세 이상 고령층과 감염취약시설 입소자, 생후 6개월 이상 면역저하자를 대상으로 동시접종이 시작됐다. 정부는 변이 대응력이 향상된 백신을 활용해 고위험군의 중증화를 막겠다는 계획이었다. 그러나 일선 의료기관에서는 벌써 백신이 바닥났다. 서울 송파구의 한 의원 관계자는 “코로나19 백신이 조기 소진돼 어르신들이 접종을 못하고 돌아가는 일이 계속 발생 중”이라
  • 디앤디파마텍, 1주당 3주 배정 무상증자… 주가 6% ↑ [Why 바이오]
    디앤디파마텍, 1주당 3주 배정 무상증자… 주가 6% ↑ [Why 바이오]
    바이오 2025.10.29 15:01:23
    디앤디파마텍(347850)이 1주당 3주 비율로 무상증자를 결정하면서 주가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디앤디파마텍은 29일 1주당 3주의 신주를 배정한다는 내용의 무상증자 결정을 공시했다. 배정기준일 11월 14일 현재 주주명부에 등재된 주주에 대해 소유주식 1주당 3주의 비율로 신주를 배정하는 방식이다. 발행주식 총수는 증자 전 1085만 6319주에서 증자 후 4342만 5276주로 늘어난다. 신주 상장예정일은 올 12월 5일이다. 디앤디파마텍은 주식발행초과금 162억 8448만 원을 이번 무상증자의 재원으로 사용한다. 이에 한국거
  • “웃는게 왜 그래?” 알고보니…사망원인 4위 ‘이 병’ [헬시타임]
    “웃는게 왜 그래?” 알고보니…사망원인 4위 ‘이 병’ [헬시타임]
    바이오 2025.10.29 15:00:27
    매년 10월 29일은 세계뇌졸중기구(WSO)가 지정한 ‘세계 뇌졸중의 날(World Stroke Day)’이다. 우리나라에서는 대한뇌졸중학회가 1998년 창립 이후 진료·교육·연구·정책·홍보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뇌졸중 환자들이 표준화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노력해오고 있다. 학회 전문가들은 뇌졸중 의심 증상인 '이웃손발시선'을 기억하고 골든타임 내 신속히 치료 받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뇌졸중은 갑작스러운 뇌혈류장애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이다. 크
  • 동아쏘시오홀딩스, 자회사 매출·이익 증가로 3분기 실적 호조
    동아쏘시오홀딩스, 자회사 매출·이익 증가로 3분기 실적 호조
    바이오 2025.10.29 14:56:51
    동아쏘시오홀딩스(000640)가 동아제약, 에스티젠바이오 등 자회사들의 이익 증가로 올해 3분기 호실적을 달성했다. 에스티젠바이오의 외형 확대 등으로 내년에도 실적 성장이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다. 동아쏘시오홀딩스는 29일 올해 3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7.20% 증가한 3826억 300만원, 영업이익은 47.74% 증가한 333억 600만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증권사 전망치(컨센서스)였던 매출액 3803억원, 영업이익 297억원을 모두 웃돈 수치다. 세부적으로 동아제약의 박카스, 일반의약품 사업부문 성장이 매출을 주도
  • 한미약품, 표적항암 혁신신약 첫 선… 차세대 모달리티 대거 공개
    한미약품, 표적항암 혁신신약 첫 선… 차세대 모달리티 대거 공개
    바이오 2025.10.29 14:53:06
    한미약품(128940)은 22~26일 미국 보스턴에서 열린 국제 학회에서 신규 신약후보물질 ‘EP300 선택적 분해제’를 처음 공개하는 등 다양한 차세대 모달리티 연구 성과를 발표했다고 29일 밝혔다. 회사 측은 국제 암 학술대회 ‘AACR-NCI-EORTC 2025’에서 EP300 선택적 분해제, SOS1-KRAS 상호작용 저해제, STING 메신저 리보핵산(mRNA) 항암 신약, p53-mRNA 항암 신약, YAP/TAZ-TEAD 저해제 등에 관한 비임상 연구 결과 5건을 포스터 발표했다고 전했다. EP300 선택적 분해제는 한
  • “대기 없고 마주칠 걱정 끝” 차움, 1인 검진룸 ‘하이브’ 확충
    “대기 없고 마주칠 걱정 끝” 차움, 1인 검진룸 ‘하이브’ 확충
    바이오 2025.10.29 13:12:36
    차병원그룹 계열 차움은 개원 15주년을 맞아 고객 맞춤 검진 시스템을 강화하기 위해 1인 전용 프라이빗 검진실 '하이브'(HIVE)를 새 단장했다고 29일 밝혔다. 차움은 지난 2010년 국내 최초로 고객이 개인 룸에 누워 있으면 내시경, 초음파 기계 등과 함께 전문 의료진이 직접 찾아가 검진 서비스를 진행하는 '원스톱 검진 시스템'을 도입했다. 당시 고객 동선을 최적화하고 프라이버시 보호가 가능한 차별성을 앞세워 국내 뿐 아니라 해외 고객들에게도 각광을 받았다. 차움은 꾸준한 수요 증가에 따라
  • ‘케데헌’ 속 한약 먹어볼래?…APEC 기간 ‘K-한의 헬스케어관’ 운영
    ‘케데헌’ 속 한약 먹어볼래?…APEC 기간 ‘K-한의 헬스케어관’ 운영
    바이오 2025.10.29 12:46:07
    대한한의사협회(한의협)는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기간동안 한국을 방문하는 외빈들을 대상으로 한의학의 우수성을 알리고, 성공적인 개최를 돕고자 ‘K-한의 헬스케어관’을 운영한다고 29일 밝혔다. 한의협이 주최하고 대한스포츠한의학회와 경상북도한의사회, 경주시한의사회 공동 주관으로 마련된 ‘K-한의 헬스케어관’은 다음달 1일까지 엿새간 경주엑스포대공원 내 선덕광장에 마련된 야외 부스에서 운영된다. 부스에서는 홍보 영상을 포함해 다양한 콘텐츠를 통해 한의학을 널리 홍보하고, 각 국 정상을 비롯한 외빈과
  • 서울아산병원, 2031년 중입자 치료 가동 속도…日 QST와 협약
    서울아산병원, 2031년 중입자 치료 가동 속도…日 QST와 협약
    바이오 2025.10.29 12:25:50
    서울아산병원이 일본 QST(양자과학기술연구개발기구) 병원과 협약을 맺으며 최첨단 암 치료 장비인 '중입자 치료기' 도입에 속도를 낸다. 아산병원은 지난 27일(현지시간) 일본 치바현 QST 병원에서 중입자 치료 관련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날 협약식에는 송시열 서울아산병원 중입자도입추진단장(암병원장)과 이시카와 히토시 QST 병원장 등 양 기관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QST 병원은 1994년 세계 최초로 중입자 치료를 시작한 의료기관이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 기관은 중입자 치료 분야 인력
  • “창고형 약국, 약 오남용 유발”…정부, 약사법 개정 추진
    “창고형 약국, 약 오남용 유발”…정부, 약사법 개정 추진
    바이오 2025.10.29 11:39:36
    정부가 이른바 ‘창고형 약국’의 확산에 제동을 걸고 나섰다. 일반의약품을 대형마트처럼 대량 진열·판매하는 방식이 소비자 오인과 의약품 오남용을 유발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보건복지부는 약국 명칭과 광고 표현에 제한을 두는 내용의 약사법 시행규칙 개정을 올해 안에 추진한다고 29일 밝혔다. 복지부 관계자는 “구체적인 일정이 정해지지 않았지만 연내 약사법 시행규칙 개정을 추진할 예정이다”고 말했다. 최근 등장한 창고형 약국이 국민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사전 차단하겠다는 정책 의지를 드러낸 것으로 풀이된다. 창고형 약국은
  • CDMO 이어 유전체까지…美 생물보안법에 기회 잡은 '이 기업'
    CDMO 이어 유전체까지…美 생물보안법에 기회 잡은 '이 기업'
    바이오 2025.10.29 09:53:00
    미국 정부가 중국을 겨냥해 추진 중인 ‘생물보안법’이 연내 시행될 가능성이 커지면서 국내 유전체 분석 기업들이 미소 짓고 있다. 유전체 정보를 국가 안보로 보는 기조가 강해지면서 중국 기업 대신 미국 현지에 법인을 둔 한국 기업이 선택받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상원은 최근 중국 바이오기업과 거래를 제한하는 생물보안법을 국방수권법 개정안에 포함해 통과시켰다. 생물보안법은 지난해 처음 발의됐지만 규제 기준이 모호하다는 이유로 의회 문턱을 넘지 못했다. 상·하원 조정 절차를 거쳐
  • 분할 앞둔 삼성바이오로직스, 목표가 150만원 상향 배경은?[Why 바이오]
    분할 앞둔 삼성바이오로직스, 목표가 150만원 상향 배경은?[Why 바이오]
    바이오 2025.10.29 08:59:35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가 3분기 시장기대치를 26.4% 상회하며 상상인증권이 목표주가를 기존 130만원에서 150만원으로 상향 조정했다. 29일 상상인증권은 “삼성바이오로직스의 3분기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115.2% 증가한 7288억원으로 시장기대치를 26.4% 상회했다”며 “4공장 18만리터(L) 풀가동에 따른 레버리지 효과가 가장 컸으며 2분기에 인식돼야 할 일부 수주가 3분기에 인식된 점, 환율상승 효과, 에피스 솔리리스 바이오시밀러 출시에 따른 마일스톤 490억원 유입 등이 호실적을 견인했다”고 분석했다. 상상
  • 에이비엘바이오 BBB셔틀, CNS 넘어 근육·심장으로 확대되나[Why 바이오]
    에이비엘바이오 BBB셔틀, CNS 넘어 근육·심장으로 확대되나[Why 바이오]
    바이오 2025.10.29 08:56:27
    에이비엘바이오(298380)가 연말 예정된 아이오니스와의 공동 연구 논문 발표를 앞두고 혈뇌장벽(BBB) 셔틀 플랫폼의 확장성을 입증할 것으로 기대된다. 해당 연구를 통해 중추신경계(CNS)를 넘어 근육·심장 등 다양한 장기로의 약물전달 가능성이 확인될 경우,플랫폼 가치 재평가가 본격화될 전망이다. 29일 SK증권은 “BBB 셔틀은 RNA 분야에서 핵심 딜리버리 툴로 주목받고 있으며, 에이비엘바이오는 이 기술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했다”며 “연말 아이오니스와의 공동 연구 논문을 통해 CNS 외 장기 확장 가능성을
서경스페셜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