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 ‘면역 브레이크’ 밝힌 日과학자 노벨상 수상…韓의사들 평가는
    ‘면역 브레이크’ 밝힌 日과학자 노벨상 수상…韓의사들 평가는
    바이오 2025.10.06 21:40:24
    올해 노벨 생리의학상은 체내 면역 기능을 조율해 일종의 '브레이크' 역할을 하는 조절 T 세포(Treg) 존재를 규명한 미국과 일본 과학자 3명에게 돌아갔다. 의료계에서는 자가면역질환과 암 면역치료, 장기이식 등 다양한 분야의 치료 전략을 바꿀만한 업적으로 난치병 극복의 기반이 될 것이란 평가를 내놨다. 이들의 기초의학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국내에서도 관련 신약의 연구 개발이 이뤄지고 있다. 스웨덴 카롤린스카 연구소 노벨위원회는 2025년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로 메리 브렁코(Mary E. Brunkow) 미국 시애틀
  • 추석연휴, 술 먹는 양도 조심… 음주량 늘면 위암 위험도 늘어
    추석연휴, 술 먹는 양도 조심… 음주량 늘면 위암 위험도 늘어
    바이오 2025.10.06 17:00:00
    명절 연휴 오랜만에 가족과 친척, 지인들과 모인 자리에 으레 술이 빠지지 않는다. 술은 모임을 즐겁게 만드는 역할을 하지만 그만큼 위암 등 발병 위험도 높인다. 술과 위암 발병 사이 상관관계는 대체로 음주 자체를 두고 이야기되지만, 이제는 음주량이 변화하는 것도 신경을 써야 할 것으로 보인다. 비음주자가 술을 새로이 마시기 시작하거나, 술을 마시던 사람도 음주량을 늘리는 것만으로도 위암 발생이 높아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6일 분당서울대병원에 따르면 김나영 소화기내과 교수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검진 자료를 토대로
  • 다가오는 유럽 최대 암학회… 주목할 K바이오 기업은?
    다가오는 유럽 최대 암학회… 주목할 K바이오 기업은?
    바이오 2025.10.06 13:00:00
    국내 바이오 기업들이 유럽 최대 암학회인 ‘유럽종양학회(ESMO) 2025’에 참가해 신약 개발 성과를 공개한다. 5일 업계에 따르면 유럽종양학회는 이달 17~21일(현지시간) 독일 베를린에서 개최된다. 리가켐바이오(141080)사이언스(리가켐바이오)는 4건의 포스터 발표를 진행한다. △HER2 타깃 항체약물접합체 후보물질인 ‘LCB14’의 글로벌 임상 1상 중간 결과 △LCB14의 중국 위암 임상 2상 단독 투여 중간 결과 △LCB14의 중국 위암 임상 2상 병용 투여 중간 결과 △넥틴4 타깃 ADC 후보물질 ‘LN-4305/L
  • 상장 후 주가 3.8배… ‘폭풍 성장’ 바이오 기업들의 공통점 [Why 바이오]
    상장 후 주가 3.8배… ‘폭풍 성장’ 바이오 기업들의 공통점 [Why 바이오]
    바이오 2025.10.06 07:16:00
    씨어스테크놀로지(458870)와 온코닉테라퓨틱스(476060)의 주가가 상장 당일의 3.8배 수준까지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대다수 바이오 기업과 달리 이들 기업이 매출은 물론 영업이익까지 내고 있는 점이 시장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는 것으로 풀이된다. 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씨어스테크놀로지의 주가는 상장 당일인 지난해 6월 19일 1만 8500원에서 이달 2일 종가 기준 6만 9600원까지 상승했다. 상장한 지 1년 4개월 만에 주가가 약 3.8배 수준으로 오른 셈이다. 특히 올 5월부터 주가가 급등하기 시작해 5월 51.6%,
  • “추석에 갑자기 아프면?"… 문 여는 병원·약국 이렇게 찾는다
    “추석에 갑자기 아프면?"… 문 여는 병원·약국 이렇게 찾는다
    바이오 2025.10.06 07:00:00
    추석 연휴는 대부분의 병원과 약국 문을 닫기 때문에 명절 음식을 먹다 배탈이 나거나 아이가 열이 나는 등 갑작스러운 상황이 생기면 당황하기 쉽다. 하지만 정부와 지자체가 운영하는 여러 온라인·전화 서비스를 이용하면 연휴 중에도 문을 연 병원과 약국을 빠르게 찾을 수 있다. 보건복지부와 중앙응급의료센터는 연휴 기간 동안 ‘응급의료포털(www.e-gen.or.kr)’을 통해 실시간 진료 가능한 병원과 약국 정보를 제공한다. 해당 포털에서는 △지역 △진료과목 △운영시간 △응급실 보유 여부를 기준으로 검색할 수 있고 지도 기반
  • '칼로리 폭탄' 추석 음식 살 안 찌게 먹는 방법은? “나물 먼저 송편은 나중에”
    '칼로리 폭탄' 추석 음식 살 안 찌게 먹는 방법은? “나물 먼저 송편은 나중에”
    바이오 2025.10.06 07:00:00
    추석 음식은 달고 기름진 것이 많아 혈당이 급격히 치솟는 '혈당 스파이크' 현상을 일으키기 쉽다. 혈당이 급격히 오르면 체중이 증가하고 당뇨 위험이 커진다는 점에서 주의가 필요하다. 음식 섭취 순서와 조리법만 달리해도 혈당 상승 속도를 늦춰 건강하게 추석 음식을 즐길 수 있다. 통상적으로 음식을 먹으면 혈중 당 수치가 오른다. 적절히 오른 혈당은 에너지원으로 사용되고 간이나 근육 등에 저장된다. 하지만 고열량 음식을 한꺼번에 섭취하면 혈당이 급격히 치솟는 혈당 스파이크가 발생한다. 이런 현상이 반복되면 인슐린 저항
  • “키 크는 주사, 잘못 맞으면 독”…30년 외길 성장의학 권위자의 일침
    “키 크는 주사, 잘못 맞으면 독”…30년 외길 성장의학 권위자의 일침
    바이오 2025.10.06 05:30:00
    "성장호르몬 주사가 나쁘다는 게 아닙니다. 성장호르몬 결핍, 터너증후군, 부당경량아와 같이 저신장증 유발 요인이 명확하다면 반드시 필요한 치료법이죠. 다만 무분별한 성장호르몬 치료는 오히려 독이 될 수도 있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합니다. " 황진순 닥터황성장클리닉 원장은 최근 서울경제신문과 만나 "성장의 결과는 평균적으로 2년 남짓에 불과한 사춘기를 어떻게 보내느냐에 달려있다"며 이 같이 말했다. 전문가가 골 연령과 성장판을 정확하게 판독한 다음, 꼭 필요한 치료를 제때 받아야 최종 신장이 커질 가
  • 식약처, GMP 실사결과 공개 전면 개선…'알 권리' 높이는 규제기관들
    식약처, GMP 실사결과 공개 전면 개선…'알 권리' 높이는 규제기관들
    바이오 2025.10.05 17:00:00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의약품 제조소 의약품 제조·품질관리기준(GMP) 정기 실태조사 결과의 공개 방식을 대폭 손질한다. 원칙적으로 모든 결과를 공개하되 기업의 정당한 비공개 사유만 제한적으로 인정하겠다는 방침이다. 미국식품의약국(FDA)도 최근 기업들의 의약품 허가신청서에 대한 보완점을 대중에게 공개키로 하는 등 규제기관들이 잇따라 ‘알 권리’ 강화에 나서는 모양새다. 5일 제약바이오업계에 따르면 식약처는 GMP 적합판정서부터 지적사항을 보고서 작성 단계부터 경영상·영업상 비밀에 해당하는 부분만 제외하고 공개하
  • 트럼프 "자폐증 답 찾았다"…치료제 언급된 류코보린 뭐길래
    트럼프 "자폐증 답 찾았다"…치료제 언급된 류코보린 뭐길래
    바이오 2025.10.04 17:00:00
    미국 행정부가 항암 보조제 '류코보린'을 자폐증 치료 대안으로 제시한 가운데 의료계·과학계가 반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소규모 연구에서 언어·사회성 개선 효과를 보였을 뿐 과학적 근거로 삼기에는 표본이 너무 작고 자폐증의 유전적 요인을 간과할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4일 제약바이오업계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는 항암제 독성 완화에 쓰이는 엽산제 류코보린을 잠재적 자폐증 치료제로 제시했다. 대뇌 엽산결핍이 자폐 성향을 동반한 발달지연, 발작, 운동 및 협응문제 등을 나타낸다고 본 것이다. 이
  • 명절 효도 꿀팁… “부모님 약 복용·중복 처방 이렇게 확인하세요”
    명절 효도 꿀팁… “부모님 약 복용·중복 처방 이렇게 확인하세요”
    바이오 2025.10.04 13:00:00
    고령층은 여러 약을 동시에 복용하는 경우가 많아 누락이나 중복 처방으로 인한 부작용이 우려되는 가운데 전문가들은 “추석 연휴 본가에 내려갔다면 30분만 투자해 부모님 약 복용 상황을 정리하는 것만으로도 큰 도움이 된다”고 조언한다. 업계 관계자는 본가에 방문한 자녀가 가장 먼저 할 일은 집에 있는 약을 한데 모으는 것이고 3일 밝혔다. 병원에서 받은 처방약뿐 아니라 약국에서 구입한 일반의약품, 건강기능식품까지 모두 포함해야 한다. 약 봉투나 약통을 앞뒤로 사진 찍어두면 성분과 용량, 복용법을 한눈에 정리할 수 있어 의료진 상담 시에
  • '반값' 중국산 비만약 등장…위고비·마운자로 아성 흔들리나
    '반값' 중국산 비만약 등장…위고비·마운자로 아성 흔들리나
    바이오 2025.10.04 07:17:00
    중국산 비만치료제가 등장하면서 글로벌 제약사 노보 노디스크와 일라이 릴리의 비만약이 중국 내 입지를 위협받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왔다. 중국 이노벤트 바이오로직스(이노벤트)는 저렴한 가격과 현지 맞춤형 마케팅을 무기로 글로벌 기업이 장악한 시장 공략에 나섰다. 4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 제약바이오기업 이노벤트는 최근 글루카곤(GCG)·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1(GLP-1) 비만 치료제 ‘신얼메이(Xinermei)’를 중국에 출시헀다. 노보 노디스크의 '위고비'와 일라이 릴리의 '마운자로'
  • 명절이 두렵다? 추석 연휴 ‘관절 건강’ 지키는 꿀팁 [건강 팁]
    명절이 두렵다? 추석 연휴 ‘관절 건강’ 지키는 꿀팁 [건강 팁]
    바이오 2025.10.04 06:24:00
    최장 열흘 간 이어지는 추석 황금연휴가 시작됐다. 추석 명절은 온 가족이 모여 풍성한 음식을 나누고 정을 나누는 즐거운 시기다. 그러나 관절염 환자들에게는 명절이 마냥 반갑지만은 않다. 장거리 운전이 불가피한 데다 제수 준비에 무거운 짐을 들고 나르는 일 등 명절 특유의 활동들이 관절에 큰 부담을 주기 때문이다. 추석은 여름과 가을이 맞닿는 시기라 일교차가 크고, 대기압과 습도의 변화가 잦아 관절염 증상을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관절염은 크게 염증이 원인인 류마티스관절염과 노화로 인해 발생하는 퇴행성관절염으로 나뉜다.
  • 코로나19 입원비, 독감의 3배…“동시접종 고려해야”
    코로나19 입원비, 독감의 3배…“동시접종 고려해야”
    바이오 2025.10.03 17:00:00
    코로나19의 질병부담이 독감보다 훨씬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추석 연휴를 전후해 코로나19와 독감이 유행할 가능성이 커지면서 전문가들은 고위험군을 중심으로 두 백신을 함께 맞는 ‘동시접종’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2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보건의료 빅데이터에 따르면 2024년 코로나19 입원 환자 수는 11만 4181명으로 독감 입원 환자(6만 3166명)의 두 배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입원 요양급여비는 코로나19가 2050억 원으로 독감(630억 원)의 세 배를 넘어선 것으로 집계되면서 개인 의료비 부담을 넘어 국가 건강보험
  • “심장 나이 31세네요” 심혈관 건강의 ‘인바디’ 노리는 뷰노
    “심장 나이 31세네요” 심혈관 건강의 ‘인바디’ 노리는 뷰노
    바이오 2025.10.03 13:00:00
    뷰노(338220)가 만성질환 관리 의료기기 브랜드 ‘하티브’ 사업에 무게를 싣는다. 체성분 측정의 대명사로 굳어진 ‘인바디’처럼 어디서나 손쉽게 심혈관 건강을 체크할 수 있도록 기업 간 거래(B2B), 기업-소비자 간 거래(B2C)로 의료기기를 공급하는 사업 모델이다. 3일 뷰노에 따르면 회사는 지난해 하티브 제품군으로 약 20억 원의 매출을 올렸다. 하티브는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심전도 데이터를 분석해 정상동리듬, 심방세동, 서맥, 빈맥 등 분석 결과를 제공하는 기기다. 현재 출시된 제품으로는 개인용 심전도 측정 의료기기
  • MSD, ‘키트루다SC’ 병용 임상 확장
    MSD, ‘키트루다SC’ 병용 임상 확장
    바이오 2025.10.03 08:56:38
    MSD가 면역항암제 피하주사(SC) 제형 키트루다 큐렉스와 비소세포폐암 치료제(MK-1084) 병용 임상3상에 돌입한다. 3일 제약바이오업계에 따르면 MSD는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MK-1084와 키트루다 큐렉스 병용 임상 3상을 이달 27일부터 시작한다. KRAS G12C 변이를 가진 진행성·전이성 비편평 NSCLC 환자 675명을 대상으로 ‘MK-1084+키트루다SC’와 ‘화학요법(카보플라틴·시스플라틴)+키트루다SC’를 비교하며 무진행 생존기간과 장기 생존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 목적이다. 임상은 2032년
서경스페셜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