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
은행 상반기 이자이익 30조 '역대 최대'
경제·금융금융정책 2024.08.22 16:50:37은행권이 올 상반기에만 30조 원에 달하는 이자이익을 거두면서 반기 기준 역대 최대 기록을 세웠다. 금융감독원이 22일 발표한 ‘2024년 상반기 국내은행 영업실적’에 따르면 올 상반기 국내 은행(일반은행·특수은행)의 당기순이익은 12조 5000억 원으로 지난해 동기(14조 1000억 원) 대비 11%(1조 5000억 원) 감소했다. 지난해 상반기 한화오션 경영 정상화로 일회성 순이익이 크게 늘었던 특수은행 순이익이 1조 6000억 원이나 감소한 영향이 컸다. 항목별로 살펴보면 국내 은행의 이자이익은 전년 동기(29조 4000억 원) 대비 1.4%(4000억 원) 증가한 29조 8000억 원을 기록했다. 반기 기준 역대 최대 규모다. 금감원은 “이자수익자산이 4.1% 증가한 영향”이라며 “금리 하락에 따른 순이자마진(NIM) 축소 영향으로 이자이익 증가세는 둔화했다”고 설명했다. 비이자이익은 3조 4000억 원으로 전년 동기(3조 8000억 원) 대비 11.4%(4000억 원)나 줄었다. 수수료 이익과 유가증권 관련 이익은 지난해 상반기 대비 각 2000억 원씩 늘었지만 외환·파생 관련 이익이 6000억 원 감소한 영향이 컸다. 판매비와 관리비는 12조 800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3%(3000억 원) 증가했다. 상반기 대손비용은 2조 6000억 원으로 전년 동기(3조 1000억 원) 대비 15.9%(5000억 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상반기 특수은행의 한화오션 관련 충당금 환입에도 불구하고 대손충당금 산정 방식 개선 등에 따라 국내 은행 대손비용이 큰 폭으로 증가한 데 따른 기저 효과의 영향으로 분석됐다. 영업외손익은 1조 4000억 원 적자로 집계됐다. 전년 동기(1조 원) 대비 2조 3000억 원 감소했다. 지난해 상반기는 한화오션 투자 지분 손상차손 환입으로 영업외손익이 증가한 반면 올 상반기에는 주가연계증권(ELS) 관련 충당부채(1조 4000억 원)가 적립된 영향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주요국 통화정책 불확실성, 지정학적 리스크 등에 따라 금융시장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며 "위기 시에도 은행이 본연의 자금 중개 기능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충분한 손실 흡수 능력 확충을 지속적으로 유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미래에셋증권도 '밸류업' 시동…"2030년까지 1억주 소각"
증권국내증시 2024.08.22 16:50:01미래에셋증권(006800)이 올해 자기자본이익률(ROE) 10% 이상, 주주환원성향 35% 이상을 달성하겠다는 내용의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22일 발표했다. 미래에셋증권은 이와 함께 중장기적으로 글로벌 사업에서 세전이익 5000억 원 이상을 창출하고, 2030년까지 자기주식 1억 주 이상을 소각겠다는 계획이다. 미래에셋증권은 우선 이론적 주주자본비용(CostofEquity)을 기반으로 ROE 목표를 설정했다. 국내외 사업의 ROE 성과를 분석하고, 국내 사업과 더불어 자기자본의 40%를 배분한 해외 사업의 수익성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당장 인도 쉐어칸 증권사 인수가 마무리되면, 글로벌 사업에서 연간 1000억 원 이상 이익이 증가할 전망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혁신 자산 투자와 주주환원 정책도 실행 계획에 담았다. 2030년까지 자기주식 1억 주 이상을 소각해 주당순자산(BPS) 제고를 추진하기로 했다. 미래에셋증권은 이미 2019~2023년 주주환원성향을 30% 이상으로 실행했고, 올해 3월 2024~2026년 주주환원성향을 5%포인트(p) 상향한 35% 이상으로 설정한 바 있다. 특히 증권업계 최초로 매년 최소 보통주 1500만주, 2우선주 100만주 이상 소각하기로 했다. 향후 1억 주를 소각하면, 최대주주 지분을 제외한 실질 유통주식수는 4억 1000만 주에서 3억1000만 주로 24%나 줄어들 예정이다. C-level이 참여하는 분기 어닝스 콜을 정례화하는 등 주주·시장 소통 강화 방안도 기업가치 제고 계획에 포함됐다. 이 외에도 고객자산 규모를 확대하고, 인공지능(AI) 기반의 비즈니스 전환(AI Transformation)도 가속화한다. 미래에셋증권 관계자는 “이번 발표를 계기로 시장에서 국내를 넘어 글로벌 투자은행(IB) 수준에서 기업가치를 평가받을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
빌리 문수아, 다시 돌아온 밝은 미소 [SE★포토]
서경스타포토 2024.08.22 16:49:53그룹 빌리(Billie) 문수아가 22일 오후 서울 송파구 서울 잠실실내체육관에서 진행된 ‘2024 케이 월드 드림 어워즈(2024 K-WORLD DREAM AWARDS)’ 레드카펫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
트리플에스 김유연, 이대 여신 [SE★포토]
서경스타포토 2024.08.22 16:49:29그룹 트리플에스(tripleS) 김유연이 22일 오후 서울 송파구 서울 잠실실내체육관에서 진행된 ‘2024 케이 월드 드림 어워즈(2024 K-WORLD DREAM AWARDS)’ 레드카펫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
넷마블 버추얼 아이돌 '메이브', 첫 유튜브 라이브 진행
산업IT 2024.08.22 16:48:10넷마블(251270)은 자회사 메타버스엔터테인먼트가 제작한 버추얼 아이돌 그룹 '메이브(MAVE:)'가 22일 오후 7시 첫 유튜브 라이브 방송을 한다고 밝혔다. 메이브는 카카오(035720)엔터테인먼트와 협업을 통해 지난해 1월 제작한 4인조 버추얼 아이돌 그룹이다. 메이브의 데뷔곡 '판도라'는 음원 플랫폼 스포티파이서 약 4500만 회 스트리밍되기도 했다. 공식 뮤직비디오도 유튜브 기준 통합 조회수 3000만 회를 넘었다. 지난해 11월에는 첫 번째 EP '왓츠 마이 네임’을 발매했다. 메이브는 팬들이 제안한 다양한 챌린지에 도전하거나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받은 질문에 답하는 등 소통할 예정이다. 메타버스엔터테인먼트는 정기적으로 라이브 방송을 진행할 계획이다. -
김병환 "티메프 계기로 2차 PG사 규율체계 마련할 것"
경제·금융금융정책 2024.08.22 16:47:53김병환 금융위원장이 “티몬·위메프 사태를 계기로 전자상거래 안전성 확보 방안을 마련하고 티몬·위메프와 같은 전자지급결제대행(PG)사에 대한 규율 체계를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22일 서울 중구 여신금융협회에서 여신금융협회장 및 15개 여전사 최고경영자(CEO)들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여신전문금융업권 간담회’에서 이같이 말했다. 김 위원장은 최근 티몬·위메프 사태와 관련해 “전자상거래(e커머스) 등 새로운 산업 영역의 복잡한 지급결제 구조하에서 발생한 문제”라며 “이번 사태를 계기로 전자상거래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방안을 마련하고 2차 이하 PG에 대한 규율 체계도 마련해나갈 계획”이라고 했다. 티몬·위메프는 1차 PG사와 계약을 맺고 있는 2차 PG사로 여신전문금융업법상 규율 대상에서 제외돼 있다. 그는 “최근 지급결제 환경이 유통·금융 간 융합에 따른 비대면·다단계 결제 구조 확산, 비금융사업자 진출 등으로 이전과는 다른 형태로 빠르고 복잡하게 변화하고 있다”면서 “현재 당면한 문제에 대한 제도 개선과 함께 보다 근본적 제도 재설계 필요성도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카드업권은 국내 지급결제 시스템의 핵심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만큼 안정성 확보를 위해 보다 책임감 있는 역할을 해줘야 한다”고 덧붙였다. 캐피탈업권에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연체 채권 등 건전성 관리를 철저히 해달라고 주문했다. 김 위원장은 “PF 사업성 평가에 따른 부실채권 정리를 원활히 하고 자본 확충을 통한 충분한 손실 흡수 능력도 갖춰주기 바란다”고 강조했다. 특히 필요시 정부도 원활한 부실채권 정리를 위한 추가적인 방안도 적극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신기술사업자에 대해서는 “벤처투자 시장의 선진화를 위해 원활한 민간 자금 공급·중개 역할을 더욱 적극적으로 수행해나갈 필요가 있다”며 자본 중심의 경제구조 전환 측면에서 적극적인 역할을 해줄 것을 요청했다. 아울러 여전업권의 해외 진출을 적극 지원에 나서겠다는 뜻을 밝혔다. 김 위원장은 “여전업권은 금융업권 내에서도 소액 대출 및 물적 금융 경험, 결제 시스템 구축 등을 토대로 성장성이 높은 신흥 해외시장 진출에 큰 장점을 갖고 있다”며 “앞으로 철저한 현지 시장 분석, 리스크 관리를 바탕으로 업무 영역을 확대해나감에 있어 불합리한 규제 개선이나 해외 당국과의 협조 등이 필요하다면 적극적으로 지원해나가겠다”고 강조했다. -
울산 '4차산업혁명 U포럼' 종합 성과보고…국비 610억 확보
사회전국 2024.08.22 16:46:51울산시와 울산정보산업진흥원은 22일 울산정보산업진흥원에서 ‘2024년 4차산업혁명 U포럼 종합 성과보고회’를 개최했다. 행사에는 이동구 U포럼 위원장(한국화학연구원 명예연구원)을 비롯해 이은숙 시 신산업추진과장, 장병태 울산정보산업진흥원장 등 U포럼 위원과 산학연관 관계자 50여 명이 참석했다. 이날 보고회에서는 지난 2017년부터 2023년까지의 U포럼 활동에 대한 종합 성과보고에 이어, 9월에 새롭게 출범할 ‘디지털 혁신 U포럼’의 운영계획에 대해 발표하는 시간을 가졌다. 4차산업혁명 U포럼 초대 위원장은 김동섭 한국석유공사 사장에 이어, 2대 위원장은 2021년 8월부터 이동구 한국화학연구원 RUPI사업단장이 맡아왔다. 4차산업혁명 U포럼은 대한민국 산업수도 울산광역시의 4차산업혁명 대응 역량 강화를 목표로 2017년 12월에 발족했다. ICT융합을 통한 제조업 고도화와 신산업 육성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고, 그동안 총 64건의 발굴 과제 중 ‘울산미포 스마트그린산단 통합관제센터 구축사업(화학ICT융합 분과)’과 ‘ICT융합 스마트선박 건조 및 실증사업(조선해양ICT융합 분과)’ 등 4건의 사업화를 통해 국비 610억 원의 사업비를 확보하는 등의 성과를 창출한 바 있다. 또한, 이날 행사에서는 7년간 ‘4차산업혁명 U포럼’의 발전과 성과에 크게 기여한 울산대 조강현 교수와 김병우 교수, UNIST 이세민 교수, 정재욱 심지 대표 등 4명의 분과 위원장에게 감사패가 전달됐다. 이동구 U포럼 위원장은 “울산경제 발전을 위해 7년간 배려와 봉사의 정신으로 헌신해 온 8개 분과 위원장과 99명의 위원들에게 진심으로 감사드린다”면서 “앞으로도 ‘디지털 혁신 U포럼’을 중심으로 대한민국의 심장인 울산의 주력산업 고도화와 미래 신산업 육성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장병태 울산정보산업진흥원 원장은 “지난 7년간 ‘4차산업혁명 U포럼’을 통해 제조업 ICT융합과 신산업 분야에서 큰 성과를 이룰 수 있었다”며 “울산이 향후 디지털 전환 선도도시로 도약할 수 있도록 U포럼을 통해 쌓은 경험을 바탕으로, 시와 함께 더욱 적극적인 지원과 투자를 이어가겠다”고 약속했다. 한편, ‘4차산업혁명 U포럼’은 주력산업의 첨단화와 미래 신산업 육성과 가속화되고 있는 디지털 전환 대응을 위해 ‘디지털 혁신 U포럼’으로 재구성해 9월에 출범식을 개최할 예정이다. -
키스오브라이프 나띠, 당신에게 첫눈에 반했어요 [SE★포토]
서경스타포토 2024.08.22 16:45:45그룹 키스오브라이프(KISS OF LIFE) 나띠가 22일 오후 서울 송파구 서울 잠실실내체육관에서 진행된 ‘2024 케이 월드 드림 어워즈(2024 K-WORLD DREAM AWARDS)’ 레드카펫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
QWER 쵸단, 하트 중독 [SE★포토]
서경스타포토 2024.08.22 16:44:29그룹 QWER 쵸단이 22일 오후 서울 송파구 서울 잠실실내체육관에서 진행된 ‘2024 케이 월드 드림 어워즈(2024 K-WORLD DREAM AWARDS)’ 레드카펫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
배드빌런 엠마, 입장부터 힙하게 [SE★포토]
서경스타포토 2024.08.22 16:42:35그룹 배드빌런(BADVILLAIN) 엠마가 22일 오후 서울 송파구 서울 잠실실내체육관에서 진행된 ‘2024 케이 월드 드림 어워즈(2024 K-WORLD DREAM AWARDS)’ 레드카펫에 입장하고 있다. -
유니스 임서원, 한도 초과 깜찍 [SE★포토]
서경스타포토 2024.08.22 16:42:16그룹 유니스(UNIS) 임서원이 22일 오후 서울 송파구 서울 잠실실내체육관에서 진행된 ‘2024 케이 월드 드림 어워즈(2024 K-WORLD DREAM AWARDS)’ 레드카펫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
정동원, 하트 총동원! [SE★포토]
서경스타포토 2024.08.22 16:41:11가수 정동원이 22일 오후 서울 송파구 서울 잠실실내체육관에서 진행된 ‘2024 케이 월드 드림 어워즈(2024 K-WORLD DREAM AWARDS)’ 레드카펫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
아일릿 모카, 귀염둥이 강아지 [SE★포토]
서경스타포토 2024.08.22 16:40:55그룹 아일릿(ILLIT) 모카가 22일 오후 서울 송파구 서울 잠실실내체육관에서 진행된 ‘2024 케이 월드 드림 어워즈(2024 K-WORLD DREAM AWARDS)’ 레드카펫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
엔시티 위시 시온, 하트 배달부 [SE★포토]
서경스타포토 2024.08.22 16:40:36그룹 엔시티 위시(NCT WISH) 시온이 22일 오후 서울 송파구 서울 잠실실내체육관에서 진행된 ‘2024 케이 월드 드림 어워즈(2024 K-WORLD DREAM AWARDS)’ 레드카펫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
코스피, 美 금리인하 가능성에도 오름폭 제한…2700대 횡보[마감 시황]
증권국내증시 2024.08.22 16:39:40코스피가 22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하 시그널에도 불구하고 잭슨홀 미팅 등 주요 이벤트 경계감이 유입되면서 제한적인 상승세를 보였다. 이날 코스피는 전장보다 6.54포인트(0.24%) 오른 2707.67에 거래를 마쳤다. 지수는 전장보다 9.82포인트(0.36%) 오른 2710.95로 출발한 뒤 등락을 거듭하다 소폭의 오름세를 유지했다. 이날 오후 3시 30분 기준 서울 외환시장에서 달러 대비 원화 환율은 전날보다 1.9원 내린 1334.7원을 나타냈다.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670억 원, 424억 원 순매수했으며 개인은 1113억 원 매도 우위를 보였다. 국내 증시는 7월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당시 위원 대다수가 9월 금리 인하를 지지했다는 소식에 투자 심리가 개선됐지만, 오는 23일 저녁 예정된 제롬 파월 미국 Fed 의장의 잭슨홀 연례 경제심포지엄 연설을 앞두고 경계감이 산재한 흐름을 보였다. 아울러 이날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시장 예상대로 기준금리를 동결한 가운데 향후 금리 인하를 둘러싼 불확실성이 해소되지 않은 점도 영향을 줬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3개월 내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을 시사한 위원 수는 기존보다 늘었지만, 가계부채와 부동산 가격 상승 우려가 발목을 잡으며 선뜻 금리인하 카드가 제시되지 못했다"고 평가했다. 이어 "한국과 미국 금리인하 가능성은 열렸지만 구체적인 경로와 정도가 의문점으로 남은 가운데 시장의 시선은 잭슨홀 미팅을 향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재원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9월 금리 인하를 확신하긴 했지만 그 이유가 연착륙인지 경착륙인지에 대한 의구심이 있다"며 "이 의구심은 잭슨홀 미팅 후 파월 의장의 발언에서 해소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 중 삼성전자(005930)가 전장과 동일한 가격에 장을 마친 가운데 LG에너지솔루션(373220)(3.71%), POSCO홀딩스(005490)(4.99%) 등 이차전지주와 삼성바이오로직스(0.74%), 셀트리온(068270)(1.35%) 등이 올랐다. SK하이닉스(000660)(-0.78%), 현대차(005380)(-1.78%), 기아(000270)(-0.58%), KB금융(105560)(-0.80%) 등은 내렸다. 업종별로 보면 철강 및 금속(2.63%), 서비스업(1.66%), 화학(1.33%) 등이 올랐으며 의료정밀(-2.68%), 운수장비(-1.77%) 등은 내렸다. 코스닥지수는 전장보다 6.40포인트(0.82%) 내린 773.47에 거래를 마쳤다. 지수는 전장보다 2.72포인트(0.35%) 오른 782.59로 출발해 강보합세를 보이다 하락 전환했다. 코스닥시장에서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875억원, 765억원 순매도하며 지수를 끌어내렸다. 개인은 1814억원 순매수했다. HLB(028300)(-1.08%), 휴젤(145020)(-1.57%), 삼천당제약(000250)(-1.51%), 리가켐바이오(141080)(-2.19%), 클래시스(214150)(-2.37%) 등이 내렸다. 에코프로비엠(247540)(2.61%), 에코프로(086520)(1.36%) 등 이차전지주와 알테오젠(196170)(0.17%), 레인보우로보틱스(277810)(0.26%), 펄어비스(263750)(4.08%) 등은 올랐다. 이날 하루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의 거래대금은 각각 8조8680억원, 9조111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시간 주요 뉴스
영상 뉴스
서경스페셜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