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현지시간) 미국 조지아주 포크스턴에 위치한 이민세관단속국(ICE) 소속 디레이 제임스 교정시설(D. Ray James Correction Facility)에는 한국 기업 관계자들의 발길이 이어졌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이곳은 지난 4일 조지아주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 건설 현장에서 불법 체류와 불법 근로 혐의로 체포된 직원 상당수가 구금된 장소다. 당시 단속으로 체포된 인원은 총 475명이며, 이 중 300명 이상이 한국인으로 확인됐다.
앞서 ICE가 공개한 영상에는 체포된 이들이 손발에 체인을 찬 상태로 움직임이 제한된 채 버스에 오르는 모습이 담겼다. 현대차-LG엔솔 공장 건설 현장이 있는 브라이언 카운티에서 이 시설까지는 약 170km 떨어져 있으며, 차량으로 2시간가량 소요된다.
구금시설은 교정시설과 프로세싱 센터 등 세 구역으로 나뉘며, 낮은 건물 여러 동이 늘어서 있고 건물 주변은 철조망으로 둘러싸여 있어 긴장된 분위기를 자아냈다. 주변에는 상업 시설이 전혀 없이 도로와 녹지만 이어져 있고 경찰차가 순찰을 이어가고 있었다.
LG엔솔 협력사 현지 법인의 한 관계자는 이날 오후 변호사와 함께 시설을 찾아 구금된 직원의 상황을 확인했다. 그는 "오늘 아침에 구금된 직원 한 명과 통화가 됐다. 외부에서 전화를 걸 순 없지만, 안에서는 허가받아 전화를 걸 수 있다고 한다"라며 "직원 말로는 밥도 주고 샤워도 할 수 있지만, 열악하다고 하더라. 수갑은 차지 않고 있다고 한다"고 설명했다.
또 “(구금된 한국 직원들은) B1·B2(단기 방문비자), ESTA(전자여행허가제·비자면제프로그램의 일종)로 온 경우가 대부분이었다”고 전했다. 미국 당국은 이러한 비자로 입국해 단순 출장 활동을 넘어선 현지 근로 활동을 하는 행위를 불법으로 간주한다.
협력사들은 구금된 직원들의 조속한 석방을 위해 회사 차원에서 변호사를 고용하고 대책을 논의 중이다. 이 관계자는 "직원들에게는 즉각 추방, 아니면 이민법원 재판을 통한 이의 제기 등 선택지가 있는데, 시간·비용·개인 의사 등을 고려해 결정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또 다른 협력사 직원 3명도 ICE 시설을 방문했다. 그중 한 명은 "구금된 직원 중 일부만 A넘버(이민세관단속국이 부여하는 외국인 번호)가 나오고, 아직 A넘버가 없는 직원들도 많아 면회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한국인은 아니지만 LG 협력사에서 근무하는 현지 직원의 가족이 수감된 가족의 얼굴이라도 보기 위해 시설을 찾았다가 허탕을 치는 사례도 있었다. ICE는 토요일과 일요일로 면회 시간을 제한하고 있으며, 토요일의 경우 오전 8시∼11시, 오전 11시∼오후 2시 15분으로 나눠 구금자 그룹별 면회를 진행한다.
콜롬비아 출신의 마리아 토레즈(35) 씨는 "남편은 LG 협력사 매니저로 두 달 전부터 일을 시작했다. 우리는 공장에서 차로 45분 떨어진 사우스캐롤라이나에 살고 있어 남편은 매일 출퇴근했었다"며 "혹시라도 남편을 볼 수 있을까 싶어서 왔는데, 아직 면담을 허용하지 않는다고 해서 그냥 나왔다"고 했다.
토레즈 씨는 자신과 남편 모두 어린 시절 미국으로 이주해 현재 영주권을 갖고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영주권자임에도 남편이 어떤 혐의로 구금됐는지 알 수 없다며 답답한 심정을 토로했다. 그는 전날 남편과의 통화를 언급하며 "구금이 장기화할지 몰라 차라리 추방을 원한다고 했는데, 당국은 남편이 영주권자여서 이민 법원의 판단을 기다려야 한다며 거절했다고 한다. 남편은 9월 30일에 법원에 갈 예정"이라고 전했다.
또 "아이가 셋 있는데, 어떤 상황인지 확실해질 때까지 아빠 일을 이야기하지 않으려고 한다. 모두의 기도가 필요한 때"라며 울먹였다. 그는 남편의 신원이 공개될 경우 불이익이 우려된다며 익명을 요청했다.
한국 정부는 구금된 직원 300여명의 건강 상태 등을 확인하기 위해 영사 면담을 이날 오전부터 시작했다. 외교부는 서배너에 조기중 워싱턴 총영사를 반장으로 하는 현장대책반을 설치하고 대응을 강화하고 있다.
현지에서는 미국 정부가 비자 규정을 엄격히 적용할 경우 장기 구금 사태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하지만 이날 ICE 당국자와 면담을 마치고 나온 최영돈 이민 전문 변호사는 취재진에게 다소 긍정적인 소식을 전했다.
최 변호사는 “ICE 관계자로부터 지금 들은 이야기로는 수요일(10일)까지 모든 한국 분을 본국으로 돌아가게 하려는 계획을 가지고 협상 중이라고 한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