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국제일반최신순인기순

  • 日교도 "중·일 정상회담 31일 한국서 개최 조율중"
    日교도 "중·일 정상회담 31일 한국서 개최 조율중"
    국제일반 2025.10.29 16:58:45
    중국과 일본 정상이 한국에서 양자 회담을 여는 방향을 양국 정부가 조율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 교도통신은 29일 복수의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일본과 중국 양국 정부가 한국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 맞춰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첫 정상회담을 31일 개최하는 방향으로 조율에 들어갔다고 이날 밝혔다. 회담이 성사되면 시 주석과 지난 21일 취임한 다카이치 총리 간 첫 정상회담이 된다. 시 주석은 오는 30일부터 2박 3일간 국빈 방한하며 다카이치 총리도 같은 날 방한해 11월
  • "반도체 기술 털릴라" 日도시바, 中기업과 제휴 철회[글로벌 왓]
    "반도체 기술 털릴라" 日도시바, 中기업과 제휴 철회[글로벌 왓]
    국제일반 2025.10.29 16:35:20
    일본 반도체 기업 도시바가 중국 기업과 기술 제휴를 맺었다가 경제 안보를 이유로 한달 만에 이를 철회한 것으로 알려졌다. 반도체가 국가 경제를 좌우하는 핵심 산업으로 성장하면서 기업들의 글로벌 기술 협력에도 영향을 미치는 모양새다. 29일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도시바의 자회사인 도시바 디바이스&스토리지는 지난 8월 파워 반도체에 사용되는 웨이퍼인 차세대 탄화규소(SiC) 웨이퍼를 만드는 중국의 대기업 SICC와 기술협력을 발표하고 제휴를 위한 기본 합의를 맺었다. 반도체 품질 개선을 위한 고품질의 안정적인 웨이퍼 조달 확대를 위
  • 글로벌 대기업 7곳, 13조 투자 보따리…"韓의 AI 잠재력에 베팅"
    글로벌 대기업 7곳, 13조 투자 보따리…"韓의 AI 잠재력에 베팅"
    국제일반 2025.10.29 16:28:40
    아마존웹서비스(AWS) 등 글로벌 대기업 7개 사가 향후 5년간 한국에 90억 달러(약 12조 9000억 원)를 투자한다. 올해 상반기 우리나라에 대한 외국인직접투자(FDI) 신고액(약 131억 달러)의 70%에 달하는 대형 투자다.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를 계기로 글로벌 기업들의 한국 투자가 속도를 낼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이재명 대통령은 29일 경주 예술의전당에서 맷 가먼 AWS 대표를 비롯해 니콜라 파리 르노코리아 최고경영자(CEO), 이진안 앰코테크놀로지코리아 CEO, 반 홀 코닝 한국 CEO, 니콜라 푸아리앙
  • 中외교부 "30일 부산에서 미중 정상회담" 공식 발표
    中외교부 "30일 부산에서 미중 정상회담" 공식 발표
    국제일반 2025.10.29 16:21:20
    중국 외교부는 29일(현지시간)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중국과 미국의 합의에 따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오는 10월 30일 대한민국 부산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회담을 갖는다"고 밝혔다. 이어 "중·미 관계와 공동 관심사에 대해 의견을 나눌 예정이다”라고 덧붙였다. 앞서 24일(현지시간)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정례 기자회견을 통해 “중국과 한국은 서로의 가까운 이웃이자 협력 파트너”라며 “중국은 한국과의 관계를 매우 중시하고, 대한국 정책의 일관성과 연속성을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 "세계 최초로 이걸 만든다고?"…350m 상공 '사우디 월드컵 경기장' 계획 보니
    "세계 최초로 이걸 만든다고?"…350m 상공 '사우디 월드컵 경기장' 계획 보니
    국제일반 2025.10.29 15:58:21
    사우디아라비아가 오는 2034년 FIFA 월드컵 때 사용할 세계 최초의 '고공 월드컵 스타디움' 건설 계획을 야심 차게 발표해 전 세계 축구 팬뿐만 아니라 건축계의 관심을 집중시키고 있다. 28일(현지시간) 글로벌 건축 잡지 컨스트럭션위크 온라인판에 따르면 '네옴(NEOM) 스타디움'으로 명명된 이 월드컵 축구장은 2027년에 건설을 시작해 2032년에 완공될 예정이다. 이 경기장은 네옴의 선형 스마트 시티인 '더 라인'에 통합돼 설계될 계획이다. 네옴 스타디움은 해발 350m
  • 트럼프, 원자로 건설에 115조 투입 "AI 경쟁 승리"
    트럼프, 원자로 건설에 115조 투입 "AI 경쟁 승리"
    국제일반 2025.10.29 14:24:37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원자력 산업 육성에 속도를 내는 가운데 미 정부가 자국 신규 원자로 건설 사업에 약 115조 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28일(현지 시간)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는 웨스팅하우스를 공동 소유한 브룩필드 자산운용, 카메코와 이 같은 내용의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웨스팅하우스의 대형 원전 모델인 AP1000 원자로 건설 등을 위한 투자 약정이 핵심으로 미 행정부가 웨스팅하우스의 원자로 건설과 관련한 최소 800억 달러(약 114조 6000억원) 규모의 계약을 맺은 뒤 175억
  • "아베노믹스 계승" 다카이치 VS "언제적 얘기?" 美베선트…日금리 향방은?[송주희의 일본톡]
    "아베노믹스 계승" 다카이치 VS "언제적 얘기?" 美베선트…日금리 향방은?[송주희의 일본톡]
    국제일반 2025.10.29 10:37:41
    일본은행이 29~30일 금융정책결정회의를 열고 정책금리를 결정하는 가운데 동결 전망이 잇따르고 있다. 일본은행의 이번 회의는 엔화 약세(엔저)를 유도하는 ‘아베노믹스’의 계승자 다카이치 사나에 총리 취임 후 처음 열린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여기에 일본을 방문한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이 지난 28일 “아베노믹스 때와 상황이 바뀌었다”며 사실상 금리 인상을 요구해 일본은행 입장에선 ‘상반된 외부 압박’을 이중으로 받는 상황이 됐다. 시장선 “10월 회의선 동결” 우세 29일 니혼게이자이신문이 금융정책 전문가 26명을 대상으로
  • 전기차·폰 말고 '이것' 팔아 107조 떼돈…中 최고 갑부 정체는 [글로벌 왓]
    전기차·폰 말고 '이것' 팔아 107조 떼돈…中 최고 갑부 정체는 [글로벌 왓]
    국제일반 2025.10.29 09:29:00
    생수 업체 눙푸산취안(農夫山泉) 창업자 중산산이 재산 100조 원을 넘겨 중국 최고 갑부 자리를 1년 만에 탈환했다. 28일(현지 시간) 후룬연구원이 발표한 ‘중국판 포브스’ 후룬 갑부 리스트에 따르면 9월 1일 기준 중산산의 재산은 1년새 1900억 위안(약 38조 원) 늘어난 5300억 위안(약 107조원)을 기록했다. 이는 중국 최고 갑부 재산액 신기록이기도 하다. 중산산이 중국 최고 갑부 자리에 오른 건 지난 2021년~2023년에 이어 네 번째다. 지난해에는 친일 기업 루머 등에 휩싸이며 장이밍 바이트댄스(틱톡 모회사) 창
  • [글로벌 모닝 브리핑] 日 무역합의에 대못 박은 트럼프…韓 3500억弗도 강행하나
    [글로벌 모닝 브리핑] 日 무역합의에 대못 박은 트럼프…韓 3500억弗도 강행하나
    국제일반 2025.10.29 06:00:00
    ※[글로벌 모닝 브리핑]은 서울경제가 전하는 글로벌 소식을 요약해 드립니다. "日 위해 뭐든 하겠다"던 트럼프…무역합의엔 '대못'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7일 열린 다카이치 사나에 신임 일본 총리와의 첫 정상회담에서 미일 무역 합의에 대해 “매우 공정한 합의(deal)”라고 주장하며 합의 이행에 쐐기를 박았습니다. 앞서 다카이치 총리는 자민당 총재 선거 과정에서 미일 무역 합의를 재검토할 수 있다는 취지의 발언을 했습니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이 기존 합의는 공정했다고 강조하는 동시에 원안
  • 오픈AI, 지배구조 재편 완료‥MS가 영리법인 지분 27% 확보
    오픈AI, 지배구조 재편 완료‥MS가 영리법인 지분 27% 확보
    국제일반 2025.10.28 23:04:56
    오픈AI(OpenAI)가 28일(현지시간) 조직 재편을 마무리하며 비영리 재단 중심의 새로운 지배 구조를 확정했다. 이번 재편으로 오픈AI는 '비영리 재단이 영리회사를 지배하는 구조'를 공식화했다. 또 마이크로소프트(MS)는 오픈AI의 영리 부문에서 27%의 지분을 보유한 2대 주주로 자리매김했다. 오픈AI는 28일(현지 시간) 이 같은 내용의 성명을 발표했다. 회사는 비영리 법인 명칭을 ‘오픈AI 파운데이션’으로 변경했다. 새 지배구조 하에서 비영리 법인은 영리 법인의 지분 26%(1300억달러 규모)를 보유하게
  • 中 향후 5년 경제 키워드는 '내수'와 '기술자립'
    中 향후 5년 경제 키워드는 '내수'와 '기술자립'
    국제일반 2025.10.28 22:06:51
    중국이 내년 시작되는 5년간의 경제 계획에서 내수 진작 등을 통한 ‘합리적 성장 유지’와 ‘과학·기술 자립자강’을 전면에 내세우기로 했다. 중국공산당은 지난 20~23일 제20기 중앙위 제4차 전체회의(20기 4중전회)에서 확정한 ‘국민경제·사회 발전 제15차 5개년규획(계획) 제정에 관한 건의’ 전문을 28일 공개했다. 2만여자 분량의 건의는 제15차 5개년계획(2026~2030년) 기간 주요 목표에 대해 “경제 성장을 합리적 구간에서 유지하고, 총요소생산성을 안정적으로 제고한다”며 “주민 소비율을 명확히
  • 트럼프 "日 재계 든든한 지원군 될 것…필요하면 직접 전화해라"
    트럼프 "日 재계 든든한 지원군 될 것…필요하면 직접 전화해라"
    국제일반 2025.10.28 18:56:40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일본 방문 마지막 일정으로 재계 지도자들을 만나 든든한 지원군이 되겠다고 강조했다. 일본이 미국에 5500억 달러를 투자하기로 약속한 가운데 일본 기업들을 상대로 러브콜을 보내는 동시에 투자 압박 수위를 높이려는 의도를 드러냈다는 분석이 나온다. AP뉴스 등 외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28일 조지 글래스 주일 미국대사 관저에서 미국·일본 기업인들과 저녁 만찬 행사를 가졌다. 이날 만찬에는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를 비롯해 마크 베니오프 세일스포스 CEO, 손정의 소프트뱅크그룹 회장
  • 李, 관세·안보 난제 안고 릴레이회담…"외교 종합예술 선보여야"
    李, 관세·안보 난제 안고 릴레이회담…"외교 종합예술 선보여야"
    국제일반 2025.10.28 18:51:35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아세안) 정상회의로 예열을 마친 이재명 대통령이 사실상 메인 이벤트인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통해 국익 중심 실용 외교의 성과를 도출하기 위한 총력 태세에 돌입했다. 28일 대통령실에 따르면 이 대통령은 29일 APEC 최고경영자(CEO) 서밋 개막식에서 특별 연설을 하는 것으로 경주 일정을 시작한다. 이 기간에 29일 한미 정상회담과 11월 1일 한중 정상회담이 예정돼 있고, 한일 정상회담도 30일께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전 세계의 이목이 쏠리는 미중 정상회담도
  • [속보] 다카이치 "트럼프와 회담서 '완전한 北비핵화'에 美관여 확인"
    [속보] 다카이치 "트럼프와 회담서 '완전한 北비핵화'에 美관여 확인"
    국제일반 2025.10.28 18:25:05
    [속보] 다카이치 "트럼프와 회담서 '완전한 北비핵화'에 美관여 확인"
  • '북극굴기' 中, 북극해 해저산맥 첫 유인 탐사 성공
    '북극굴기' 中, 북극해 해저산맥 첫 유인 탐사 성공
    국제일반 2025.10.28 17:55:29
    중국 탐사대가 북극해 한가운데에 위치한 해저산맥인 ‘가켈 해령’을 세계 최초로 탐사했다. 28일 관영 영자지 차이나데일리 등에 따르면 중국 자연자원부와 중국과학원(CAS)이 이끄는 북극 탐사대가 98일간의 해상 임무를 마치고 전날 귀국했다. 이번 탐사는 올 9월 말 종료된 중국의 제15차 북극해 과학 탐사의 일환으로 진행됐다. 탐사대는 중국 최초의 국제 심해 탐사용 연구선인 ‘탄쒀 3호’를 타고 7월 22일 하이난성 싼야시에서 출발했다. 이후 북극해에 도착해 56일 동안 1989해리(약 3000㎞)를 항해하며 총 43회의 심해 잠수
서경스페셜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