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 코오롱생명과학, ‘2025 ESMO’서 전립선암 전임상 결과 첫 공개
    코오롱생명과학, ‘2025 ESMO’서 전립선암 전임상 결과 첫 공개
    바이오 2025.10.17 15:25:49
    코오롱생명과학(102940)은 17~21일(현지시간) 독일 베를린에서 열리는 ‘2025 유럽종양학회(ESMO)’에서 차세대 항암 유전자 치료제 후보물질 KLS-3021의 전립선암 대상 전임상 연구 결과를 포스터 발표한다고 17일 밝혔다. KLS-3021의 전립선암 대상 연구 결과가 공개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KLS-3021은 암세포 선택성을 높인 재조합 백시니아 바이러스에 치료 유전자(PH-20, IL-12 및 sPD1-Fc)를 탑재한 차세대 유전자 치료제다. 바이러스의 직접적인 살상 능력에 면역세포 활성화를 통한 암 제어
  • 李 "줄기세포 규제 완화"… 네이처셀·메디포스트 8% 이상 상승 [Why 바이오]
    李 "줄기세포 규제 완화"… 네이처셀·메디포스트 8% 이상 상승 [Why 바이오]
    바이오 2025.10.17 14:57:48
    이재명 대통령의 줄기세포 규제 완화 발언에 네이처셀(007390)과 메디포스트(078160) 등 줄기세포 관련 기업의 주가가 강세다. 1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현재 네이처셀은 전일 대비 1900원(+9.13%) 오른 2만 3250원에 거래되고 있다. 메디포스트(+8.80%), 지씨셀(144510)(+6.93%), 파미셀(005690)(+5.80%) 등 줄기세포 관련 기업의 주가도 강세다. 줄기세포는 다양한 조직 세포로 분화할 수 있어 손상된 조직을 재생하거나 기능을 회복시키는 치료에 쓰인다. 이재명 대통령이 전날 줄기세포 치료 규
  • ‘성분명처방’ 갈등 커지더니…의협 "'불법 대체조제' 약국 2곳 고발"
    ‘성분명처방’ 갈등 커지더니…의협 "'불법 대체조제' 약국 2곳 고발"
    바이오 2025.10.17 14:28:16
    의약품 성분명처방을 둘러싼 의사약사간 갈등이 소송전으로 번지는 모양새다. 대한의사협회(의협)는 최근 의협 내부에 신설된 불법 대체조제 신고센터를 통해 접수된 사례 중 명백한 위법 정황이 확인된 약국 2곳에 대해 17일 서울경찰청에 고발장을 제출했다고 밝혔다. 의협에 따르면 서울 소재 A약국은 의사가 처방한 '파라마셋이알서방정, 동아가스터정20㎎, 록스펜정'을 각각 '울트라셋이알서방정, 파모텐정20㎎, 제뉴원록소프로펜나트륨정'으로 대체조제하면서도 해당 사실을 환자와 처방 의사 모두에게 통보하지 않았
  • “방광 들어내도, 2년 안돼 癌 재발”…막을 길 있다는데 [메디컬 인사이드]
    “방광 들어내도, 2년 안돼 癌 재발”…막을 길 있다는데 [메디컬 인사이드]
    바이오 2025.10.17 14:00:00
    “아무리 완벽하게 수술해도 재발하는 것이 방광암입니다. 일단 재발하면 10명 중 7명은 원격 전이로 나타나기 때문에 항암제의 역할이 매우 중요합니다.” 조정민 이대목동병원 종양내과 교수는 방광암 환자의 치료 여정을 ‘재발과의 싸움’이라고 표현한다. 방광암은 한국인 남성에서 열 번째로 흔한 암이다. 국가암등록통계에 따르면 2022년 방광암 진단을 받은 5261명 중 남성은 4197명으로 약 79.8%를 차지했다. 2018년 4683명에 그쳤던 방광암 환자는 5년새 약 12.3% 늘었다. 방광암 환자의 약 25%는 이미 종양이 방광벽의
  • 앱티스,  AI 기반 차세대 ADC 개발 국책과제 선정… 온코크로스와 공동
    앱티스, AI 기반 차세대 ADC 개발 국책과제 선정… 온코크로스와 공동
    바이오 2025.10.17 11:28:37
    동아에스티(170900)의 자회사 앱티스는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주관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사업 수출지향형 사업에 선정돼 차세대 항체약물접합체(ADC) 개발에 나선다고 17일 밝혔다. 앱티스 측은 이번 사업에 공동으로 선정된 온코크로스(382150)와 인공지능(AI) 기반 다중오믹스 분석 기술 ‘랩터 AI’를 활용해 ADC 항암제 ‘엔허투’ 내성을 극복하는 차세대 ADC 개발 과제를 수행한다. 최동규 경북대 교수 연구팀이 위탁 받아서 올 9월부터 과제를 시작했으며 2029년 8월까지 총 52개월에 걸쳐 진행된다. ADC 연구개발(R&D
  • “의료대란 1년 8개월 만에 마침표”… 정부, 보건의료 ‘심각단계’ 해제
    “의료대란 1년 8개월 만에 마침표”… 정부, 보건의료 ‘심각단계’ 해제
    바이오 2025.10.17 10:20:17
    보건의료 위기경보가 1년 8개월 만에 해제되며 정부가 사실상 ‘의료대란 종료’를 선언했다.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의대 정원 확대를 둘러싼 의정 갈등으로 의료체계가 흔들린 지 600여 일 만이다.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1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전공의 복귀 이후 의료체계가 비교적 안정적으로 운영되고 있다”며 “보건의료 위기경보 ‘심각’ 단계를 오는 20일 0시를 기해 해제한다”고 밝혔다. 보건복지부는 지난해 2월 의대 증원에 반발한 전공의들의 집단 사직으로 진료 공백이 심화되자 2월
  • 삼성바이오로직스, 인적분할안 주총 통과… '순수 CDMO'로 글로벌 경쟁력 강화
    삼성바이오로직스, 인적분할안 주총 통과… '순수 CDMO'로 글로벌 경쟁력 강화
    바이오 2025.10.17 10:09:52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는 17일 개최된 임시주주총회에서 인적분할 안건이 가결됐다고 밝혔다. 인천 연수구 송도컨벤시아에서 열린 이날 임시주총에서는 단일 의안인 '분할계획서 승인의 건'이 상정됐다. 의결권 있는 전체 주식의 93.0%(1286명)가 출석한 가운데 출석 주주의 99.9%가 찬성했다. 회사의 분할은 주주총회 특별결의 사안으로 출석 주주의 3분의 2 이상 및 발행주식 총수의 3분의 1 이상이 찬성해야 통과된다. 안건 통과에 따라 삼성바이오로직스의 투자부문이 분할돼 신설법인인 삼성에피스홀딩스가 설립될
  • '죽고 싶지만 떡볶이~' 작가 백세희, 장기기증으로 5명에 새 삶
    '죽고 싶지만 떡볶이~' 작가 백세희, 장기기증으로 5명에 새 삶
    바이오 2025.10.17 09:55:13
    책 '죽고 싶지만 떡볶이는 먹고 싶어'를 쓴 백세희 작가가 향년 35세 나이로 별세했다. 백씨는 장기기증으로 5명의 생명을 살리고 세상을 떠났다. 17일 한국장기조직기증원에 따르면 백 씨가 전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일산병원에서 뇌사 장기기증으로 심장, 폐, 간, 양측 신장(콩팥)을 기증하고 숨졌다. 기증원에 따르면 백 씨는 경기도 고양시에서 3녀 중 둘째로 태어났다. 어릴 적부터 책 읽기와 글 쓰기를 좋아해 대학에서 문예창작과를 졸업했고 출판사에서 5년 동안 근무했다. 당시 개인적 상처와 아픔을 극복하기 위해 상담센터와
  • 파마리서치, '성수기' 4분기 실적 모멘텀 주목 [Why 바이오]
    파마리서치, '성수기' 4분기 실적 모멘텀 주목 [Why 바이오]
    바이오 2025.10.17 09:18:32
    의정 갈등 정상화 과정에서 피부과 의료진이 충원되면서 파마리서치(214450)의 4분기 실적에 주목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강시온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17일 “파마리서치의 3분기 매출액은 1420억 원, 영업이익은 598억 원으로 컨센서스(620억 원)에 부합할 것이라 전망한다”며 “의료기기 내수는 581억 원으로 10개 분기 만에 처음으로 전분기 대비 감소가 예상된다”고 밝혔다. 강 연구원은 3분기 내수 감소 원인으로 △상반기 가파른 성장으로 인한 기저효과 △휴가철 피부과 방문 감소 △전공의 파업 종료로 일부 피부과 페이닥터
  • 리가켐바이오, 글로벌 임상 확대로 기업가치 상승 기대 [Why 바이오]
    리가켐바이오, 글로벌 임상 확대로 기업가치 상승 기대 [Why 바이오]
    바이오 2025.10.17 09:01:01
    글로벌 임상이 진전 및 확대되면서 리가켐바이오(141080)사이언스 기업가치가 상승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권해순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17일 “유럽종양학회(ESMO)에서 항체약물접합체(ADC) 치료제의 높아진 위상이 확인됐고, 리가켐바이오를 ADC 신약 개발 분야에서 글로벌 대표 바이오텍으로 평가한다”며 “임상 파이프라인 진전과 확대로 기업가치가 상승할 것”이라고 밝혔다. 권 연구원에 따르면 내년 ‘LCB84’의 임상 2상 본격화로 최대 2억 달러의 마일스톤(단계별 기술료) 유입을 기대할 수 있다. 권 연구원은 LCB84를 TR
  • “올해 독감 유행, 한 달 빨라졌다”… 인플루엔자 환자 급증에 '유행주의보' 발령 [헬시타임]
    “올해 독감 유행, 한 달 빨라졌다”… 인플루엔자 환자 급증에 '유행주의보' 발령 [헬시타임]
    바이오 2025.10.17 08:59:10
    초등학생을 중심으로 환자 비율이 급격히 늘면서 질병관리청이 17일 ‘2025~2026절기 인플루엔자 유행주의보’를 발령했다. 17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지난 9월 28일부터 이달 4일까지 의원급 의료기관에서 확인된 인플루엔자 의사환자 분율(외래환자 1000명당)은 12.1명으로 유행기준(9.1명)을 이미 넘어섰다. 최근 4주간 분율은 △38주차 8.0명 △39주차 9.0명 △40주차 12.1명 △41주차 14.5명으로 꾸준히 증가세를 보였다. 연령대별로는 7~12세가 24.3명, 1~6세가 19.0명으로 나타나 전체 연령군 중 발생
  • [속보] 정부 "보건의료위기 '심각' 단계, 20일 0시부로 해제… 의정갈등 불편 사과"
    [속보] 정부 "보건의료위기 '심각' 단계, 20일 0시부로 해제… 의정갈등 불편 사과"
    바이오 2025.10.17 08:43:50
    [속보] 정부 "보건의료위기 '심각' 단계, 20일 0시부로 해제… 의정갈등 불편 사과"
  • '신부전 환자 필수' 혈액투석, 분말형 제제 첫 국산화 성공
    '신부전 환자 필수' 혈액투석, 분말형 제제 첫 국산화 성공
    바이오 2025.10.17 08:31:15
    GC녹십자(006280) 계열 GC녹십자엠에스(142280)가 분말형 혈액투석제를 처음으로 국산화하는 데 성공했다. 만성 신부전증 환자의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혈액투석에 쓰이는 혈액투석제 중 분말형 제품은 그간 전량 수입에 의존해 왔다. 회사 측은 국내 유통 중인 수입산의 최대 40%를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환자들도 수입산보다 안정적인 수급이 가능해져 치료가 지연되는 일이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GC녹십자엠에스는 분말형 혈액투석제까지 보유하게 돼 현재 국내 병원에서 쓰이는 모든 라인업을 갖추게 됐다. GC녹십자엠
  • 뇌출혈·보행장애 생겼는데 MRI는 정상? 원인·증상 싹 잡은 비결
    뇌출혈·보행장애 생겼는데 MRI는 정상? 원인·증상 싹 잡은 비결
    바이오 2025.10.17 05:30:00
    명확한 원인을 찾지 못해 치료 전략을 짜기 어려웠던 뇌출혈 환자 4명이 모두 세브란스병원에서 회복했다. 세브란스병원이 국내 최초로 도입한 디지털 감산 척수조영술(Digital Subtraction Myelography·DSM)이 기존 진단법의 한계를 극복한 비결로 꼽힌다. 세브란스병원은 주민경·하우석 신경과 교수와 하윤 신경외과 교수가 국내 최초로 '뇌척수액 정맥 누공' 환자의 진단과 치료에 성공했다고 17일 밝혔다. 뇌척수액 정맥 누공은 자발성 두개내 저압증의 드문 형태 중 하나다. 뇌를
  • “흉한 화상흉터 빨리 낫는다” 소문 타고 2년새 1만건 넘긴 치료법
    “흉한 화상흉터 빨리 낫는다” 소문 타고 2년새 1만건 넘긴 치료법
    바이오 2025.10.17 05:30:00
    "수심 2m입니다. '이퀄라이징(두 손가락으로 코를 막은 채 숨을 강하게 쉬는 동작)'을 했는 데도 고막에 통증이 느껴지면 즉각 손을 들어 알려주셔야 합니다." 15일 취재진이 찾은 한림대 한강성심병원 고압산소치료센터. 12명이 나란히 앉을 수 있는 대형 챔버(고압산소치료 기기)에 들어가 자리를 잡자 무거운 철문이 닫혔다. 마치 잠수함 안에 갇힌 듯한 기분이었다. 기압이 오를수록 비행기 이착륙 때보다 훨씬 강한 압력이 귀를 짓눌렀다. 챔버 밖에서 실시간 모니터링 중인 의료진의 안내에 따라 기압 평
서경스페셜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