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
野 '지역화폐법' 행안위 강행 처리…與 "세금 살포법"
정치국회·정당·정책 2024.09.05 14:10:13국회 행정안전위원회가 5일 더불어민주당의 당론 법안인 ‘지역화폐법(지역사랑상품권 이용 활성화법 일부개정안)’을 의결했다. 국민의힘 의원들은 법안 처리에 반대했지만 야당 의원들의 찬성으로 과반을 넘겨 법안은 법제사법위원회에 회부됐다. 행안위는 이날 전체회의에서 출석 위원 20명 중 찬성 12명, 반대 8명으로 ‘지역화폐법’을 의결했다. 민주당은 법사위 심사를 거쳐 추석 연휴 전에 본회의에서 처리하겠다는 방침이다. 개정안은 지역사랑상품권에 대한 재정적 지원을 국가의 책무로 신설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5년 단위의 지역사랑상품권 활성화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1년 단위로 실태조사를 해 국가 차원에서 적정 수준의 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내용도 담겼다. 국민의힘은 지역화폐법이 ‘세금 살포법’이라고 비판했다. 행안위 여당 간사인 조은희 국민의힘 의원은 “과도한 재정 부담에 따른 국가채무의 급증으로 민생은 파탄이 나고 국가신인도는 추락할 것”이라며 “‘이재명 하명법’이라는 이유로 이렇게 일방적으로 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배준영 국민의힘 의원도 “엄밀히 말하면 세금 살포법”이라며 “상품권을 많이 발행할 수 있는 부자 지자체는 지원해 주고 가난한 지자체는 지원하지 않는 지역 차별 상품권법”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개정안을 대표발의한 박정현 민주당 의원은 “지역화폐는 지역 골목 경제를 살리는 절실한 정책”이라고 반박했다. 박 의원은 “국민의힘이 대표적인 민생법안을 정쟁 법안으로 활용하는 것 같아서 안타깝고 유감”이라며 “실제로 지방 재정이 어려우니 국가가 투자해서 어려운 지방 정부 재정을 보완하고 지역경제를 살리자는 취지”라고 강조했다. 민주당은 윤석열 대통령이 거부권(재의요구권)을 행사해 국회로 돌아온 ‘전국민 25만 원 민생지원금법(민생회복지원금지급 특별조치법)’은 오는 26일 본회의에서 재표결을 추진할 예정이다. 강유정 민주당 원내대변인은 3일 기자들을 만나 “(지역화폐법을) 추석 연휴 전에 안건으로 올려 통과시키는 걸 목표로 하고 있다”며 “민생회복지원금법 재의결도 오는 26일 정도로 예상하고 있다”고 밝혔다. -
<코>동성화인텍, 장중 신저가 기록.. 11,070→11,060(▼10)
증권News봇 2024.09.05 14:09:20오후 2시 9분 현재 동성화인텍(033500)이 4.24% 내린 11,060원(▼490)을 기록하며, 52주 신저가를 -10원 경신했다. 기존 52주 최저가는 2024년 06월 27일 기록한 11,070원이다. 체결강도는 34%로 강세 반전했다. 총매수체결량은 71,187주, 총매도체결량은 209,827주를 각각 기록했다. (※ 체결강도(%) = (총매수체결량/총매도체결량)*100)이 시각 현재 거래대금은 31억8,694만, 거래량은 28만1,102주를 기록하고 있으며, 수급측면으로는 75(매도):25(매수)의 매도우위를 보이고 있다.거래일을 기준으로 최근 3일간 평균 거래량은 1십6만1천주, 60일 평균 거래량 2십7만9천주로 최근 거래량이 큰 폭으로 감소하는 추세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코>에스티아이, 장중 신저가 기록.. 20,000→19,990(▼10)
증권News봇 2024.09.05 14:07:07오후 2시 7분 현재 에스티아이(039440)가 3.20% 내린 19,990원(▼660)을 기록하며, 52주 신저가를 -10원 경신했다. 기존 52주 최저가는 2024년 06월 27일 기록한 20,000원이다. 체결강도는 60%로 강세 반전했다. 총매수체결량은 87,834주, 총매도체결량은 146,820주를 각각 기록했다. (※ 체결강도(%) = (총매수체결량/총매도체결량)*100)이 시각 현재 거래대금은 48억6,355만, 거래량은 23만6,153주를 기록하고 있으며, 수급측면으로는 63(매도):37(매수)의 매도우위를 보이고 있다.거래일을 기준으로 최근 3일간 평균 거래량은 3십2만7천주, 60일 평균 거래량 4십4만1천주로 최근 거래량이 큰 폭으로 감소하는 추세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후 시황] 코스피, 2600선 붕괴…외국인 매도에 내림세 전환
증권국내증시 2024.09.05 14:06:51오전 중 1% 이상 상승한 코스피지수가 2600선 밑으로 곤두박질 쳤다. 증시 전문가들은 이같은 반등이 지속될지는 미지수라고 진단했다. 통상 9월에는 장이 부진한 상황에서 미국발 경기침체 우려가 상존하고 있는 만큼 당분간 지수 흐름은 지지부진할 수 있다는 것이다. 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0.46포인트(0.41%) 오른 2570.31포인트를 기록하고 있다. 유가증권시장에서는 외국인투자가가 3556억 원을 순매도하고 있는 가운데 개인과 기관이 각각 2853억 원, 720억 원을 순매수하고 있다. 이날 증시에서 코스피지수는 오전 중 소폭 반등에 성공했다. 다만 오후 중 지수는 내림세로 전환하며 재차 2600선 밑으로 내렸다.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8월 초 폭락에 대한 내성과 학습 효과를 생각해보면 어제의 폭락은 과도했다는 의견이 맞는다고 생각한다”며 “아직 침체가 온다고 보기에는 지표들이 이전 침체기 때와는 상이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고 분석했다. 코스피 시가총액 상위종목은 삼성전자(005930)(0.86%),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2.01%), 현대차(005380)(2.15%), 셀트리온(068270)(2.26%)은 내림세인 반면 SK하이닉스(000660)(1.87%), LG에너지솔루션(373220)(2.13%), KB금융(105560)(0.12%), 신한지주(1.08%)는 오름세다. 삼성전자는 오전 중 ‘7만전자’를 회복했다가 다시 6만 원 선 밑으로 내려왔다. LG에너지솔루션의 강세는 연말께 실적 회복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LG에너지솔루션의 주가는 2분기 실적 발표 이후 악재가 반영되면서 반등을 이어가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 고객사들의 재고 조정이 끝나가고 있어 가장 빨리 반등이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정용진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5일 보고서를 통해 “하반기에는 재고조정이 일단락되며 정상화의 첫걸음이 시작되는 시기”라며 “11월 시작될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관세 부과와 25년 이산화탄소 규제 강화를 감안하면 수주 확대도 가능하다”고 분석했다. 이날 증시에서는 카지노 관련 종목이 급등 중이다. 강원랜드(035250)는 7% 이상 급등하고 있으며 GKL(114090), 코텍(052330), 파라다이스(034230) 모두 5% 이상 강세다. 강원랜드가 영업장 및 게임기구 대수 확대 변경 허가를 받으면서 카지노 관련주가 강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강원랜드는 이날 일반영업장 허가 면적은 1만 4512.68㎡에서 2만 260.68㎡로 5748㎡ 늘어나고 게임기구는 1560대에서 1860대로 증가한다고 공시했다. 코스닥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0.87포인트(1.49%) 오른 720.88포인트를 기록하고 있다. 코스닥 시장에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727억 원, 258억 원을 매도하고 있다. 개인은 936억 원을 순매수 중이다. 코스닥 시가총액 상위 종목은 오후 중 일제히 내림세를 보이고 있다. 에코프로비엠(247540)(2.11%), 알테오젠(196170)(4.55%), HLB(028300)(0.12%), 에코프로(086520)(2.22%), 엔켐(348370)(6.35%), 삼천당제약(000250)(0.42%), 리가켐바이오(141080)(4.16%), 클래시스(214150)(0.39%), 휴젤(145020)(1.91%), 셀트리온제약(068760)(2.24%) 등이다. -
<유>동방, 현재가 7.21% 급락
증권News봇 2024.09.05 14:06:21오후 2시 6분 현재 동방(004140)의 현재가는 2,765원으로 1분전 2,980원 대비 7.21% 급락했다. 수급측면으로는 48(매도):52(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하고 있다.지난 1개월간 동방은 12.78% 하락했으며, 표준편차는 5.98%를 기록했다. 이 기간 '운수창고업' 업종 평균 주가수익률은 -2.35% 로 나타났으며, 변동성은 1.87%를 기록했다. 이 시각 현재 '운수창고업'은 1.39% 상승 중이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코>에프앤가이드, 장중 신고가 돌파.. 11,500→12,180(▲680)
증권News봇 2024.09.05 14:05:00오후 2시 5분 현재 에프앤가이드(064850)가 9.93% 오른 12,180원(▲1,100)을 기록하며, 52주 신고가를 +680원 경신했다. 기존 52주 최고가는 2024년 09월 03일 기록한 11,500원이다. 체결강도는 210%로 강세를 유지했다. 총매수체결량은 98,752주, 총매도체결량은 46,986주를 각각 기록했다. (※ 체결강도(%) = (총매수체결량/총매도체결량)*100)이 시각 현재 거래대금은 17억3,293만, 거래량은 14만6,714주를 기록하고 있으며, 수급측면으로는 32(매도):68(매수)의 매수우위를 보이고 있다.거래일을 기준으로 최근 3일간 평균 거래량은 1십7만5천주, 60일 평균 거래량 4만주로 최근 거래량이 큰 폭으로 증가하는 추세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이승기·태민 유튜브에 '일론 머스크'가 왜 나와? 소속사 "해킹 문제 해결 중"
서경스타TV·방송 2024.09.05 14:04:33가수 겸 배우 이승기와 샤이니의 태민 등이 속한 소속사 빅플래닛메이드엔터의 유튜브 계정이 해킹 피해를 입었다. 5일 빅플래닛메이드엔터의 공식 유튜브 채널의 로고와 배경이 테슬라 관련 이미지로 변경됐다. 홈 화면을 차지한 메인 영상 또한 미국 공화당 대선 후보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과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의 모습이 담긴 섬네일의 영상이었다. 빅플래닛메이드엔터의 공식 채널 외에도 이승기, 태민, 배드빌런 등 소속 가수들의 공식 유튜브 채널도 마찬가지 현상을 겪었다. 이에 빅플래닛메이드엔터는 "오늘 새벽 빅플래닛메이드 아티스트 공식 유튜브 채널이 해킹됐음을 인지했다"라며 "문제 해결을 위해 유튜브 측과 해결 방법을 강구하고 있으며 전체 콘텐츠의 빠른 복구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
SH공사, 반포 한강공원 '어린이 그림그리기 대회' 개최
부동산부동산일반 2024.09.05 14:02:18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는 오는 29일 서울 서초구 반포 한강공원 예빛섬에서 ‘제26회 SH 어린이 그림 그리기 대회’를 개최한다고 5일 일밝혔다. SH 어린이 그림 그리기 대회는 공사의 대표적인 어린이 대상 사회 공헌 활동 중 하나다. 어린이들이 꿈꾸는 세상을 그림으로 나타내며 상상력을 키우고 즐거운 추억을 만들 수 있도록 지원하는 활동으로, 올해 26회째를 맞이했다. 대회 참가 자격은 서울시에 거주하는 5세(2020년생) 이상 13세(2012년생) 이하 어린이다. 접수는 9월 5일 오후 2시부터 13일 오후 2시까지 SH공사 누리집에서 선착순으로 진행한다. 참가자 200명이 모이면 조기에 마감될 수 있다. 대회 당일 현장에서는 △참가자 등록(오전 11시~11시 30분) △체험 프로그램(오전 11시~) △개회식(오전 11시 30분~오후 12시) △그림 그리기 대회(오후 12시~4시) △작품 제출 및 기념품 배부(오후 2시 30분~4시) 순으로 프로그램이 진행될 예정이다. 체험 프로그램은 대회 참가자가 아니어도 반포 한강공원 예빛섬을 찾은 어린이라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공사는 미술 전문가로 구성된 심사위원회의 심의를 통해 우수작 45개를 선정할 계획이다. 특히 올해 최우수상 부문 수상자는 작년(3명)보다 늘어난 6명이다. 우수작 수상자들에게는 상장과 대상 3명 50만 원, 최우수상 6명 30만 원, 우수상 6명 10만 원, 장려상 10명 5만 원, 입선 20명 3만 원 등 문화상품권과 본인 작품이 새겨진 액자를 증정한다. 2018년부터 대회를 후원해 온 우리은행은 올해도 후원사로 참여한다. 수상자에게 지급하는 문화상품권과 부상, 기념품을 비롯해 대회 운영 전반을 지원할 예정이다. 김헌동 SH공사 사장은 "이번 대회를 통해 어린이들이 서울의 상징인 한강을 바라보며 예술적 감수성을 자유롭게 표현하고, 가족과 특별한 추억을 쌓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
대우건설, 투르크메니스탄 신도시 사절단 면담
부동산주택 2024.09.05 14:01:57대우건설(047040)은 백정완 사장이 한국을 찾은 투르크메니스탄 신도시 사절단을 면담했다고 5일 밝혔다. 백 사장은 전날 서울 삼성동 써밋갤러리에서 데리야겔디 오라조프 아르카닥 신도시 건설위원장(부총리급)과 라힘베드리 제프바롭 대외경제은행장(장관급), 베겐치 두르디예프 주한 투르크메니스탄 대사 등을 면담했다. 이 자리에서 현재 입찰 중인 비료공장 등 주요 현안에 대해 논의했다. 백 사장은 “현재 대우건설이 참여하고 있는 2개의 비료공장 프로젝트 입찰에 대해서 많은 관심과 지원을 부탁 드린다"며 "대우건설은 뛰어난 기술력과 시공경험으로 신도시 개발 및 다수의 초고층 빌딩 등을 성공적으로 준공한 바 있어 향후 투르크메니스탄의 상징적인 건축물 공사에도 당사가 참여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이에 오라조프 위원장은 “양측이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로서 지속적인 협의를 희망한다”고 화답했다. 대우건설은 투르크메니스탄 시장 개척을 통한 중앙아시아 지역 지출을 추진하고 있다. 이를 위해 정원주 대우건설 회장이 여러 차례 투르크메니스탄을 방문했다. 지난해 10월에는 수도 아슈하바트에 지사도 개소했다. 현재 비료공장 2개 프로젝트에 대한 입찰에 참여해 진행하고 있으며, 추가 신규 사업 발굴 및 참여도 타진 중이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투르크메니스탄은 중앙아시아의 대표적인 자원 강국으로 관련 인프라 및 신도시 개발사업과 같이 경제 발전을 위한 투자가 활발한 지역”이라며 “대우건설이 가지고 있는 뛰어난 사업경쟁력과 시공기술을 기반으로 투르크메니스탄 시장 개척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
서울 아파트 가격 24주 연속 상승…상승폭은 3주째 둔화
부동산정책·제도 2024.09.05 14:01:56서울 아파트 가격이 24주 연속 상승했지만 상승 폭은 3주째 둔화됐다. 주택담보대출 금리 인상, 스트레스 2단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등 대출 규제로 매수 심리가 한풀 꺾인 영향이다. 5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9월 1주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가격은 전주 대비 0.21% 상승했다. 상승 폭은 8월 3주 이후부터 떨어지고 있다. 8월 3주는 0.28%, 8월 4주는 0.26%를 기록한 바 있다. 한국부동산원의 한 관계자는 “선호 지역·단지에 대한 국지적 상승 거래는 지속적으로 포착된다”며 “대출 여건 관망, 단기 급등 단지에 대한 피로감 등으로 상대적인 매물 소진 속도가 느려지면서 상승 폭은 전주대비 축소됐다”고 설명했다. 서울 25개 구 중 중구(0.10%→0.11%)만 상승 폭이 확대됐다. 서울 지역 상승세는 강남 3구와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 지역이 주도했다. 성동구가 가장 크게 올랐다. 성동구는 금호·행당동 선호단지 위주로 올라 전주 대비 0.43% 상승했다. 강남 3구가 뒤를 이었다. 서초구(0.41%)는 반포·잠원동 위주로, 송파구(0.31%)는 신천·잠실동 대단지 위주로, 강남구(0.30%)는 개포·압구정동 준신축·재건축 단지 위주로 상승했다. 광진구(0.32%)와 마포구(0.30%)·용산구(0.26%)도 큰 폭으로 상승했다. 인천(0.14%→0.13%)과 경기(0.12%→0.10%) 역시 오름폭이 줄면서 수도권 가격 상승률은 지난주 0.17%에서 이번 주 0.14%로 떨어졌다. 경기 지역에서는 과천시(0.37%), 수원 영통구(0.29%), 하남시(0.29%), 안양 동안구(0.26%) 등의 오름폭이 상대적으로 컸다. 지방(-0.01%→-0.02%)의 경우 하락 폭이 다소 커지면서 전국 평균 상승 폭은 0.08%에서 0.06%로 축소됐다. 이번 주 서울 전셋값은 전주 대비 0.15% 오르며 68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다만 상승 폭은 전주(0.17%)에 비해 줄어들었다. 한국부동산원의 또 다른 관계자는 “매물부족이 지속되고 임차수요가 꾸준한 상황에서 상승거래가 이어지고 있다"며 “일부 지속적인 가격상승에 대한 부담감 등으로 상승 폭이 축소했다”고 설명했다. -
'쿨한' 김예지, 일론 머스크 찬사에 "그냥 돈 많은 아저씨…광고 20개 들어와"
서경스타TV·방송 2024.09.05 14:01:242024 파리 올림픽 사격 은메달리스트인 김예지가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의 '샤라웃(특정인을 언급하거나 칭찬한다는 뜻)'에 소감을 밝혔다. 4일 방송된 tvN 예능프로그램 '유 퀴즈 온 더 블럭'에는 김예지가 출연해 파리올림픽 이후 달라진 일상을 공개했다. 김예지는 "인기 실감을 못 하는데, 휴게소나 카페, 밥을 먹으러 갈 때 사람들이 알아볼 때 실감한다"고 말했다. "머스크 댓글을 보고 기분이 어땠냐"는 조세호의 질문에는 "그냥 그랬다"고 답했다. 이어 머스크에 대해 "그냥 돈 많은 아저씨"라고 말하면서도 "화제가 된 점에 대해서는 정말 감사하다"고 말했다. 김예지는 이날 방송된 MBC 예능프로그램 '라디오스타'에서도 머스크를 언급했다. 그는 "주변 외국 선수들이 자꾸 알아보고 사진 찍어달라고 하더라"며 "'저 사람들이 왜 같은 사격 선수끼리 사진 찍어달라고 하지’ 싶었는데 알고 보니까 머스크가 나를 '샤라웃'했다고 하더라"고 떠올렸다. 김예지는 지난 7월 28일 2024 파리 올림픽 사격 공기권총 10m 결선에서 은메달을 목에 걸었다. 이후 엑스(X·옛 트위터)에서 지난 5월 국제사격연맹(ISSF) 바쿠 사격 월드컵 25m 권총 결선에서 세계 신기록을 세운 영상도 덩달아 화제가 됐다. 당시 엑스의 소유주인 머스크는 "따로 연기할 필요 없다. 액션 영화에 캐스팅하자"고 댓글을 남겨 눈길을 끌었다. 이로 인해 김예지는 국내에서 수많은 광고 러브콜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 김예지는 "20개 이상 광고 제의가 왔다. 아직 시합이 남아 있어서 일정은 뒤로 미뤄뒀다"고 말했다. -
<코>미래생명자원, 장중 신저가 기록.. 3,910→3,880(▼30)
증권News봇 2024.09.05 14:01:12오후 2시 1분 현재 미래생명자원(218150)이 2.39% 내린 3,880원(▼95)을 기록하며, 52주 신저가를 -30원 경신했다. 기존 52주 최저가는 2024년 06월 27일 기록한 3,910원이다. 체결강도는 38%로 강세 반전했다. 총매수체결량은 27,298주, 총매도체결량은 72,385주를 각각 기록했다. (※ 체결강도(%) = (총매수체결량/총매도체결량)*100)이 시각 현재 거래대금은 4억573만, 거래량은 10만3,218주를 기록하고 있으며, 수급측면으로는 73(매도):27(매수)의 매도우위를 보이고 있다.거래일을 기준으로 최근 3일간 평균 거래량은 1십2만주, 60일 평균 거래량 6십7만주로 최근 거래량이 큰 폭으로 감소하는 추세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호기심 때문에? '딥페이크 온상' 텔레그램 이용자 한 달 동안 31만명 ‘급증’
사회사회일반 2024.09.05 14:00:44‘딥페이크(인공지능 기반 이미지 합성)’ 성 착취물 유포의 온상이 된 메신저 텔레그램의 국내 이용자가 지난 한 달 동안에만 31만 명 늘면서 역대 최대 폭으로 급증했다. 이 중 3분의 1인 10만 명이 10대 이하로 집계돼 피해 방지 등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 5일 애플리케이션(앱) 분석 서비스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지난달 텔레그램의 월간 활성 이용자(MAU)는 347만1421명으로 전월보다 31만1130명 증가했다. 이 MAU 증가 폭은 2021년 3월 집계가 시작된 이후 역대 최대 규모다. 연령별로는 10대 MAU가 7월 41만1754명에서 8월 51만1734명으로 9만9980명 급증하면서 전체 증가 폭의 32.1%를 차지했다. 이는 50대 증가 폭(2만8420명)의 3.5배, 60대 이상(4290명)의 23배를 웃도는 수치다. 특정 인물의 얼굴 등을 영상에 합성한 딥페이크 논란이 확산하면서 호기심에 텔레그램에 접속한 10대가 급증한 영향으로 추정된다. 국내 딥페이크 성 착취 사건의 가해자와 피해자 모두에서 10대 비중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경찰청에 따르면 딥페이크 음란물 집중단속이 이뤄진 지난달 26~30일 나흘간 범죄 신고는 총 118건이 접수됐고 특정된 피의자 33명 중 31명, 검거된 7명 중 6명이 10대로 파악됐다. 또 여성가족부 산하 한국여성인권진흥원에 따르면 올해 1월 1일부터 8월 25일까지 디지털성범죄피해자지원센터에 딥페이크 피해 지원을 요청한 781명 가운데 36.9%(288명)는 10대 이하였다. 이와 관련해 위정현 중앙대 가상융합대학장은 연합뉴스에 “(텔레그램 MAU 중) 10대 미성년자가 많이 늘어난 점은 우려스럽다”며 “일종의 '‘노이즈 마케팅’ 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볼 수 있는데 딥페이크 피해자가 늘어나는 역효과가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텔레그램과 같은 글로벌 사회관계망서비스(SNS)는 국내에서 당국의 협조 요청 등 조치가 쉽지 않다”며 “제도 개선을 추진하면서 청소년 스스로 딥페이크의 심각성을 인식할 수 있게 하는 교육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
오후 2:00 현재 코스닥은 39:61으로 매수우위, 매수강세 업종은 비금속업(1.99%↓)
증권News봇 2024.09.05 14:00:415일 오후 2시 0분 현재 코스닥은 전일 대비 11.93p(-1.63%) 하락한 719.82로, 39(매도):61(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약세업종은 기타서비스업(-2.69%), 금속업(-2.59%), 화학업(-2.56%)이며, 강세업종은 오락·문화업(+1.30%), 운송업(+0.35%), 출판·매체복제업(+0.29%)이다. 수급측면으로는 비금속업이 18:82의 강한 매수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종이·목재업은 54:46의 매도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매도세를 보이며 지수 하락을 부추기고 있는 가운데, 개인이 홀로 '사자'에 힘을 실어 지수 하락을 방어하는 모양새다. 개인은 940억을 순매수 하는 데 반해, 외국인은 694억, 기관은 259억을 각각 순매도하고 있다. 종목별로는 한컴위드(054920)가 30.00% 오른 2,990원을 기록 중이고, 인포뱅크(039290)(+29.97%), 모니터랩(434480)(+29.88%)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에스비비테크(389500)(-17.34%), 코퍼스코리아(322780)(-16.20%), 에코프로에이치엔(383310)(-14.90%)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하락종목은 1159개, 상승종목은 상한가 2개 종목을 포함해 427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후 2:00 현재 코스피는 36:64으로 매수우위, 매수강세 업종은 의약품업(2.49%↓)
증권News봇 2024.09.05 14:00:145일 오후 2시 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13.42p(-0.52%) 하락한 2567.38로, 36(매도):64(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약세업종은 의약품업(-2.49%), 기계업(-2.17%), 의료정밀업(-2.16%)이며, 강세업종은 통신업(+2.07%), 운수창고업(+1.70%), 섬유의복업(+0.83%)이다. 수급측면으로는 의약품업이 16:84의 강한 매수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통신업은 71:29의 강한 매도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개인과 기관 동반 매수세를 보이고 있으나, 외국인의 '팔자' 기조에 밀리고 있다. 개인은 3,047억, 기관은 633억을 순매수 중이며, 외국인은 3,690억을 순매도하고 있다.종목별로는 한세엠케이(069640)가 29.82% 오른 2,155원을 기록 중이고, KCTC(009070)(+19.44%), 동방(004140)(+15.00%)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SK증권우(001515)(-15.76%), 한전산업(130660)(-9.79%), 유한양행우(000105)(-9.77%)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하락종목은 606개, 상승종목은 상한가 1개 종목을 포함해 289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