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의 희토류 수출 통제를 비판하며 대규모 관세 인상을 예고하자 뉴욕 증시가 일제히 하락 마감했다. 테슬라, 아마존 등 거대 기술 기업(빅테크) 주가가 나란히 하락한 가운데 인공지능(AI) 반도체 대장주 엔비디아 주가는 이날 하루에만 5% 가까이 급락했다.
간밤인 10일(현지 시간) 뉴욕 증시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878.82포인트(1.90%) 하락한 4만 5479.60에 장을 마쳤다. 미국 대표 지수인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는 182.60포인트(2.71%) 내린 6552.51에 거래를 마쳤으며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820.20포인트(3.56%) 하락한 2만 2204.43에 거래를 마감했다. S&P500과 나스닥 지수의 경우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정책을 발표한 직후였던 올 4월 10일 이후 6개월 만에 최대 낙폭을 기록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이 투자자 불안을 키우며 뉴욕 증시를 끌어내렸다. 트럼프 대통령은 간밤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을 통해 중국의 희토류 수출 통제에 대해 비판하며 “2주 뒤 한국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회의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만날 예정이었으나 이제는 그럴 이유가 없어 보인다”고 전했다. 그는 이어 “우리는 미국으로 들어오는 중국산 제품에 대해 대규모 관세 인상을 검토하고 있다”며 "다른 대응책들도 진지하게 논의 중"이라고 덧붙이며 고강도 보복 조치를 예고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으로 최근 주가 상승세가 가팔랐던 빅테크를 중심으로 차익 실현 매물이 쏟아졌다. 특히 반도체 업종의 주가가 큰 폭으로 하락했다. 테슬라(-5.06%), 아마존(-4.99%), 애플(-3.44%), 메타(-3.83%) 등 빅테크 업종이 줄줄이 하락한 가운데 반도체 기업인 AMD(-7.8%), 브로드컴(-5.91%) 등도 급락했다. AI 반도체 대장주 엔비디아 주가 역시 이날 하루 동안 4.95% 추락했다.
미국 연방정부의 일시적 업무정지(셧다운) 사태가 10일째로 접어들며 장기화하고 있다는 점도 투자자 우려를 키웠다. 정치적 불안과 더불어 러셀 보트 백악관 예산관리국 국장이 “인력 감축이 시작됐다”고 밝힌 점 역시 시장 불안을 자극했다. 여러 불안 요인 겹치며 이른바 ‘공포지수’로 불리는 시카고옵션거래(CBOE)의 변동성지수(VIX)는 22.44로 급등하며 올 6월 19일 이후 4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라이언 데트릭 카슨그룹 최고시장전략가는 “세계 경제 대국들이 다시 충돌을 시작하면서 '팔고 보자'는 분위기가 확산했다”며 “트럼프의 발언이 시장의 변동성을 급격하게 키웠다”고 분석했다.
변동성 확대에 안전자산 수요가 커지며 금 선물 가격은 다시 온스당 4000달러를 넘겼다. 뉴욕상업거래소에서 12월 인도분 금 선물은 0.7% 상승한 온스당 4000.40달러로 마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