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가계대출이 9000억 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내외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주택 거래가 둔화하자 은행권과 2금융권 등 업권 전반적으로 가계대출이 줄어든 영향이다.
금융위원회는 12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가계대출 동향’을 발표했다. 1월 가계대출은 9000억 원 줄어 전달(2조 원 증가) 대비 감소세로 전환했다. 금융권 가계대출이 감소세로 돌아선 것은 지난해 3월 이후 10개월 만에 처음이다.
2금융권 대출 증감액이 12월 +2조 4000억 원에서 1월 - 5000억 원으로 급감한 영향이 컸다. 업권 별로 보면 상호금융권(2000억 원), 보험사(5000억 원)가 전월 대비 감소세로 전환했다. 여신전문금융회사(100억 원)는 감소폭이 축소됐고 저축은행(2000억 원)은 증가폭이 확대됐다.
1월 은행권 가계대출은 4000억 원 감소해 전달(4000억 원)과 유사한 감소폭을 유지했다. 은행권 주택담보대출은 크게 은행 자체 상품과 디딤돌 버팀목 등 정책대출 상품으로 구분하는데 은행 자체 대출만 보면 1월 6000억 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며 감소폭이 전달(1조 7000억 원) 보다 축소했다.
신용대출을 포함한 기타대출이 4조 2000억 원 줄어들며 주택담보대출 증가폭을 상쇄했다. 주담대는 전달보다 3조 3000억 원 증가했다.
금융위는 “본격 영업개시와 이사수요 등으로 2월부터 가계부채가 증가세로 전환할 가능성이 높다"며 "분양 주택 증가, 건설투자 감소세 등 지방 자금 공급도 면밀히 살펴볼 것”이라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