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00년이 넘는 역사에서 한국과 일본은 호혜와 협력 관계일 때 경제적 번영을 지속했습니다.”
김인호(사진) 한국무역협회장이 18일 일본 와세다대에서 학생과 교직원 200여명을 대상으로 ‘21세기 한일 공동번영을 위한 양국 젊은 지식인의 인식과 역할’이라는 주제로 강연하며 한일 양국의 협력을 강조했다. 김 회장은 “한국의 삼국시대에 백제는 일본과의 활발한 인적·물적 교류를 바탕으로 전성기를 누렸고 통일신라도 청해진을 중심으로 무역과 상업이 매우 발전했다”며 “당시 헤이안시대였던 일본 역시 경제적으로 번영했다”고 전했다. 그는 이어 “조선시대에는 통신사가 17세기 초부터 열두 차례나 일본에 파견돼 단절된 양국 관계에 물꼬가 트이고 양국의 상업과 경제도 크게 발전했다”며 양국의 교류와 협력을 통한 공동 번영 사례를 소개했다.
이번 강연은 지난해 말부터 과거사 문제 등으로 도전을 받고 있는 양국 관계를 재조명하고 미래지향적인 협력 관계를 향해 젊은 지식인들 간에 역사에 대한 인식과 역할을 공유하기 위해 마련됐다.
김 회장은 “미국의 보호무역주의,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Brexit), 중국의 패권주의적 경향 강화 등 변화하는 세계에서 일본과의 멀어진 거리를 좁히고 새로운 협력 관계를 추구해야 할 필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양국은 민주주의와 시장경제·국제협력의 이상을 공유하고 있다”며 “동아시아 경제권 형성이라는 시대적 요청에 따라 한일 공동체의 비전을 향해 협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중국의 경제적 부상이라는 현실을 긍정적으로 수용하면서 중국과 적절한 관계를 유지하고 동아시아 경제 발전에 최대의 걸림돌인 북한의 존재에 적절히 대응하기 위해서는 궁극적으로 한일이 단일 경제권 형성을 지향하는 획기적인 관계 증진 노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한일 공동번영을 위한 방안으로는 한일 자유무역협정(FTA) 협상 타결, 한일 경제각료 회담 부활 등 정기적인 정책 대화 채널 구축과 민간 교류의 확대를 꼽았다. 또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첨단소재, 바이오 제약이나 사물인터넷(IoT)·클라우드컴퓨팅·빅데이터·모바일(ICBM)을 기반으로 한 의료·헬스케어 분야의 협력을 강조했다.
김 회장은 “경제 외적 갈등요인들을 압도할 수 있을 정도로 경제협력을 강화해 양국의 경제 활성화를 이뤄가는 것이 한일 관계를 발전적으로 개선하는 바람직한 길”이라며 “평화와 번영으로 나아가는 진정한 21세기 한일 파트너십은 양국의 젊은이들이 만들어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현진기자 stari@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