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테슬라·美테크지수 동시 투자…3개월 수익률 11.76%[ETF 줌인]
국내증시2025.08.1517:59:58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감이 커지면서 나스닥 등 미국 증시가 사상 최고 기록을 연일 경신하고 있다. 증시 고점 부담이 커진 만큼 시장지수 전반에 골고루 투자해 안정성을 갖추면서도 미국 주요 기술주들의 높은 수익률까지 노릴 수 있는 상장지수펀드(ETF)에도 관심이 쏠린다. 15일 금융 정보 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14일 기준 KB자산운용의 ‘RISE 테슬라고정테크100 ETF’의 최근 3개월 수익률은 11.76%로 같은 기간 테슬라 주가 상승률(-0.58%)을 크게 앞지른다. 해당 상품은 테슬
주식 초고수는 지금
“떨어졌을 때 줍줍하자”…에이피알, 순매수 1위 [주식 초고수는 지금]
국내증시 2025.08.13 13:50:04
미래에셋증권에서 거래하는 고수익 투자자들이 13일 오전 가장 많이 순매수한 종목은 에이피알(278470), 펩트론(087010), JYP엔터테인먼트(JYP Ent.(035900)), 리노공업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이날 미래에셋증권에 따르면 미래에셋증권 주식 거래 고객 중 최근 1개월간 투자수익률 상위 1%에 해당하는 ‘주식 초고수’들이 오전 11시까지 가장 많이 사들인 종목은 에이피알이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에이피알은 이날 오전 1시 24
이런국장 저런주식
'子' 웹툰은 81% 폭등했는데…'母' 네이버는 지지부진
국내증시 2025.08.15 07:07:23
웹툰 엔터테인먼트가 월트 디즈니와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하며 주가가 폭등했지만 모회사 네이버(NAVER(035420)) 주가는 좀체 반등하지 못하고 있다. 중복상장 논란으로 투자자들 사이에서 원성이 쏟아지고 있는 가운데 증권가에서는 향후 네이버도 반사이익을 누릴 것이란 관측을 내놓았다. 15일 금융투자 업계에 따르면 13일(현지시간) 웹툰 엔터테인먼트 주가는 직전 거래일 대비 81.2% 오른 16.96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다음
  • 현대엘리베이터 2대 주주 쉰들러, 지분 1.12% 추가 매각 [시그널]
    IB&Deal 2025.07.01 18:11:14
    현대엘리베이터(017800) 2대 주주인 쉰들러가 지분을 또다시 팔았다. 1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쉰들러홀딩아게는 현대엘리베이터 주식 43만 7520주를 장내 매도했다고 공시했다. 이는 전체 발행 주식의 1.12%에 해당하는 규모다. 처분 금액은 약 378억 원에 달한다. 이번 매각으로 쉰들러의 현대엘리베이터 지분율은 기존 8.69%에서 7.57%로 낮아졌다. 쉰들러는 지난달부터 꾸준히 현대엘리베이터 지분을 매도하며 투자금 회수에 나서고 있다. 현재 현대엘리베이터의 최대 주주는 지분 19.3%를 보유한 현대홀딩스컴퍼니
  • 골드만삭스의 경고 “써클 인터넷 반토막 날수도”
    해외증시 2025.07.01 18:07:32
    미국 주식 서클인터넷이 ‘서학 개미’의 새로운 관심 종목으로 급부상한 가운데 향후 주가가 절반 가까이 폭락할 수 있다는 글로벌 투자은행(IB)의 분석이 나왔다. 최근 한 달 새 3배 넘게 치솟았던 서클인터넷의 주가가 이미 고점 대비 30% 넘게 하락한 상황에서 추가 하락 가능성까지 제기돼 투자자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1일 금융투자 업계에 따르면 골드만삭스는 지난달 30일(현지 시간) 보고서에서 서클인터넷에 대한 투자 의견을 ‘중립’으로 제시하고 12개월 목표주가를 83달러로 설정했다. 이는 6월 30일 종가(181.29달러)
  • 낮엔 카카오페이, 밤엔 美 서클…스테이블코인 24시간 '투자 광풍'
    정책 2025.07.01 18:05:45
    개인투자자들 사이에서 스테이블코인 관련 종목에 대한 투자 ‘광풍’이 불고 있다. 낮에는 한국 시장에서 카카오페이(377300)를, 밤에는 미국 시장에서 서클인터넷을 수천억 원씩 사들이고 있다. 스테이블코인은 디지털 경제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줄 것으로 기대되고 있지만 규제 문제가 남아 있고 코인런(인출 사태) 등 금융 리스크가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시장에서는 관련 종목에 대한 투자가 지나치게 과열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개인투자자들은 지난달부터 이날까지 카카오페이를 1841억 원어치 순매수한 것
  • 현대글로비스, ‘해운의 탑’ 수상
    국내증시 2025.07.01 18:01:56
    현대글로비스(086280)가 해양수산부로부터 우수 자동차 운반선사로 선정돼 ‘300만 CEU 해운의 탑’을 수상했다고 1일 밝혔다. 해운의 탑 시상은 2023년부터 해수부가 주관해 해운 산업의 중요성을 널리 알리고 해운 기업의 수출 의지를 고취하기 위해 마련됐다. 1CEU는 차량 1대를 운반할 수 있는 공간 단위를 뜻한다. 현대글로비스는 지난해 글로벌 시장에서 총 459만 CEU 규모의 완성차를 운송했다. 이 중 221만 CEU는 한국에서 수출된 물량으로 해수부와 해운협회는 현대글로비스가 우리나라 수출 물류의 중추적 역할을 수행했다
  • “어린이 공략하더니 주가 622% 뛰었다고?”…올 상반기 ‘초대박’ 친 종목 무엇
    국내증시 2025.07.01 17:39:59
    올해 상반기 국내 증시는 콘텐츠 지식재산권(IP)과 가상자산, 방산·원전 등 테마주가 주도한 급등 랠리가 연출됐다. 특히 전통적 가치주보다 성장세가 뚜렷한 종목들이 투자자들의 관심을 집중시켰다는 분석이다. 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코스닥 주가 상승률 1위는 ‘캐치! 티니핑’의 제작사 SAMG엔터로 621.92%를 기록했다. 어린이들을 중심으로 한 IP 성공은 단순한 캐릭터 사업을 넘어 종합 엔터테인먼트 생태계 구축의 가능성을 보여줬다는 평가다. 3년 연속 적자에서 흑자 전환한 실적 개선도 주목할 점이다.
  • [투자의 창] AI로 인한 불확실성의 시대
    재테크 2025.07.01 17:22:13
    인공지능(AI) 기술은 전례가 없을 정도로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가장 큰 문제였던 할루시네이션(Hallucination·AI 언어 모델이 그럴싸한 거짓 정보를 답변하는 현상)의 문제가 크게 해결됐다. 우리가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창의성을 비롯한 새로운 능력들이 발현되고 있으며, 이제는 데이터를 대량 학습 하지 않고도 추론 능력을 발전시키는 기술도 개발되고 있다. 다만 변화의 과정이나 결과가 우리가 상상하는 것과는 전혀 다를 수도 있다는 점을 생각해야 한다. 빌 게이츠와 같은 첨단 기술 분야의 구루들이 이러한 현상을 꼬
  • 기업·주주·투자자, 소통으로 잇다…'코스닥 커넥트' 개막
    국내증시 2025.07.01 17:21:55
    한국거래소는 한국IR협의회·코스닥협회와 공동으로 3일까지 ‘코스닥 커넥트 2025’를 개최한다고 1일 밝혔다. 코스닥 기업들은 행사 기간 동안 직접 주제별 공동 기업 설명회(IR) 등을 통해 투자자를 만나게 된다. 첫날엔 코스닥 시장의 발전과 성과·기업가치 제고(밸류업) 관련 주제 발표, 환경·사회·지배구조(ESG) 세미나 등이 열렸다. 둘째 날에는 상장·공시 제도 관련 발표와 라이징스타 아너스 어워드가, 마지막 날에는 인공지능(AI)·바이오 산업 동향과 전
  • KS인더스트리, 지연되는 자금 조달…살얼음판 M&A
    종목·투자전략 2025.07.01 17:21:30
    코스닥 상장사 KS인더스트리(101000)의 M&A(인수합병) 과정이 순탄치 않다. 대규모 자금 조달은 연거푸 지연되며 마지노선에 다다랐고, 여러 한계기업에서 활약한 인물이 등장하며 인수 측의 정체성과 신뢰도에도 의문 부호가 붙고 있다. 1일 금융감독원 및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KS인더스트리의 총 160억원 규모 유상증자가 재차 지연됐다. 최초 납입일은 지난 2월이었지만 수차례 이뤄지지 않고 변경됐다. 납입 예정일은 오는 10일이다. 회사로서는 마지노선에 다다른 상태다. 이 중 60억원 유증의 최초 납입일(올해 2월 3일)을 감안
  • 불장에도 인버스 러시…역베팅하는 개미들
    정책 2025.07.01 17:19:59
    이재명 대통령 취임 이후 국내 증시가 강세장을 이어가고 있지만 개인투자자는 추세를 거스르는 베팅을 이어간 것으로 나타났다. 대표적인 상승장 수혜 상품인 레버리지 상장지수펀드(ETF)를 팔고, 하락에 베팅하는 인버스 ETF를 대거 사들이는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 당분간 시장이 견조한 흐름을 지속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역방향 매매가 반복되며 손실 가능성도 커지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는 장 초반 3131.05를 기록하며 2021년 9월 28일(3134.46) 이후 약 3년 9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
  • [단독] “AI칩 급성장”…삼성전자 '평택 P5' 2년만에 재개 추진
    국내증시 2025.07.01 17:18:18
    삼성전자(005930)가 최첨단 반도체 생산 시설인 평택 5공장(P5) 건립을 2년 만에 재개할지 주목된다. 새 정부 출범과 함께 고전해온 고대역폭메모리(HBM)와 차세대 D램 기술력이 개선되는 데다 향후 수년간 인공지능(AI) 반도체 시장이 급성장해나갈 것이 확실해지자 국내 신규 설비투자를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1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 경영진은 P5 공사 및 투자 재개를 놓고 긴밀히 논의 중이다. 이미 P5 공사 현장에는 일부 인력이 투입돼 건설자재를 재정비하는 등 작업에 돌입했다. 업계에서는 이르면 10월쯤 각종 중장비
  • 기업공시[7월 1일]
    증권일반 2025.07.01 16:47:12
    <코스피 공시> ▲수산인더스트리(126720)=한수원, 새울 1·2호기 기전설비 정비공사 329억 원 수주, 신월성 1·2호기 기전설비 정비공사 524억 원 수주 ▲유한양행(000100)=주주가치 제고 위해 자사주 200억 원 취득 결정 ▲대우건설(047040)=과천주공5단지 주택건축정비사업 6382억 원 수주 ▲우리금융지주(316140)=동양생명(082640)보험·ABL생명보험 자회사 편입 ▲한국쉘석유(002960)=보통주 1주당 2000원(0.5%) 배당 결정 ▲한전KPS(051600)=원전
  • HD현대 건설기계 계열사 합병…“2030년 매출 14.8조 달성”
    국내증시 2025.07.01 16:41:34
    HD현대가 HD현대건설기계(267270)와 HD현대인프라코어(042670)의 합병을 추진한다. HD현대는 건설기계 양대 축인 두 회사를 합병하면서 글로벌 경쟁력을 끌어올려 2030년 매출 14조 8000억 원을 달성하겠다는 청사진을 내놓았다. HD현대건설기계와 HD현대인프라코어는 1일 이사회를 열고 양 사 간 합병에 대한 안건을 의결했다고 공시했다. 존속법인인 HD현대건설기계는 9월 16일 열리는 임시 주주총회와 기업결합 심사 등 후속 절차를 밟은 뒤 내년 1월 1일 합병 기일에 맞춰 ‘HD건설기계’로 출범한다. 양 사의 합병은 H
  • 내수는 선전, 수출은 글쎄…르노코리아, 6월 판매량 4.8% ↓
    증권일반 2025.07.01 16:04:09
    르노코리아가 지난달 글로벌 시장에서 전년 동기 대비 4.8% 하락한 8568대를 판매했다고 1일 밝혔다. 내수에서는 5013대가 판매돼 지난해 동기와 비교해 145.6% 성장했다. 한달 간 4098대가 판매된 중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그랑 콜레오스가 실적을 견인했다는 설명이다. 쿠페형 SUV 아르카나는 지난달 487대가 판매됐다. QM6 318대, SM6 79대, 상용차인 마스터 밴 21대 등도 내수 실적에 힘을 보탰다. 반면 수출은 3555대가 판매돼 48.9% 하락했다. 지난해 6월 6082대가 판매된 아르카나의 판매량이
  • [코스닥] 2.17포인트(0.28%) 오른 783.67 마감
    국내증시 2025.07.01 15:44:18
    [코스닥] 2.17포인트(0.28%) 오른 783.67 마감
  • [코스피] 17.95포인트(0.58%) 오른 3089.65 마감
    국내증시 2025.07.01 15:43:39
    [코스피] 17.95포인트(0.58%) 오른 3089.65 마감
서경스페셜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