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경제·마켓최신순인기순

  • 트럼프 ‘25% 관세’로 韓 주력산업 정조준…산업계 초비상 [글로벌 모닝 브리핑]
    트럼프 ‘25% 관세’로 韓 주력산업 정조준…산업계 초비상 [글로벌 모닝 브리핑]
    경제·마켓 2025.06.28 05:00:00
    ※[글로벌 모닝 브리핑]은 서울경제가 전하는 글로벌 소식을 요약해 드립니다. 美 '25% 관세' 적용 車부품 등 확대 전망…국내 산업계 초비상 미국이 25% 관세를 적용받는 자동차 부품의 품목 수를 늘릴 것으로 전망됩니다. 앞서 부과된 자동차 부품 관세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우리 자동차 부품 업계에 추가 타격이 우려됩니다. 백악관은 다음 달 8일로 끝나는 상호관계 유예 시한이 연장될 수 있다고 밝혔지만 관세를 우선 부과한 뒤 협상하겠다는 상무장관의 언급이 나오면서 혼선이 커지는 양상입니다. 미 상무부 산하 국제무역
  • 트럼프, 캐나다와 무역협상 종료 선언…관세 유예종료 앞두고 강경 언행
    트럼프, 캐나다와 무역협상 종료 선언…관세 유예종료 앞두고 강경 언행
    경제·마켓 2025.06.28 04:00:15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캐나다와의 모든 뮤역 협상을 종료한다고 밝혔다. 다른 무역 상대국에도 협상기간을 연장하는 대신 일방적인 관세율을 통보할 가능성도 시사했다. 7월 8일 상호관세 유예 종료를 앞두고 막판 강경 행보다. 트럼프 대통령은 27일(현지 시간) 자신의 트루스소셜에 “캐나다가 미국 기술기업에 디지털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우리나라에 대한 직접적이고 노골적인 공격”이라며 “이같은 악랄한 세금 부과를 근거로 우리는 캐나다와의 무역 관련 논의를 즉시 종료한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러면서 “캐나다가 미국과
  • 미시간대 6월 美소비심리 반등…‘미·중 무역 최악 피했다’
    미시간대 6월 美소비심리 반등…‘미·중 무역 최악 피했다’
    경제·마켓 2025.06.27 23:47:57
    미국 소비자들의 경제 불안이 6월 들어 진정된 것으로 나타났다. 관세 정책으로 촉발될 무역 긴장이 더 이상 고조되지 않으면서 인플레이션 전망이 개선되고 경제에 대한 우려가 완화됐다. 13일(현지 시간) 미 미시간대가 발표한 소비자심리지수 6월 최종치는 60.7로 전월보다 8.6포인트 상승했다. 앞서 발표된 6월 예비치(60.5) 보다 개선됐으며, 시장 전망치(59.8)를 웃돌았다.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가 상승한 것은 6개월 만에 처음이다. 이 지수는 올 들어 지난 4월까지 4개월 연속 하락 흐름을 지속했다. 이후 5월 들어 미국과
  • 5월 PCE물가 2.3% ‘완만상승’…소비 꺾여 “스태그플레이션 그림자”
    5월 PCE물가 2.3% ‘완만상승’…소비 꺾여 “스태그플레이션 그림자”
    경제·마켓 2025.06.27 22:47:31
    지난달 들어 미국의 물가상승률은 오름폭이 소폭 커진 반면 오른 반면 소비자들의 지출과 소득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월가에서는 인플레이션의 오름폭을 고려할 때 아직 관세의 영향이 나타나진 않았다고 봤지만 예상했던 것보다 스태그플레이션(저성장 속 물가 상승) 같은 분위기가 짙어지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26일(현지 시간) 미국 상무부는 5월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가 전년대비 2.3% 상승했다고 발표했다. 블룸버그가 집계한 시장 전망치에는 부합했으며 전월 2.2% 보다는 오름폭이 커졌다. 전월 대비로는 0.1%올라 전망치,
  • 美 재무장관 “9월 1일까지 협상 마무리”…관세유예 연장되나
    美 재무장관 “9월 1일까지 협상 마무리”…관세유예 연장되나
    경제·마켓 2025.06.27 22:34:49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무역협상을 주도하는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이 오는 9월 1일(현지 시간)까지 협상을 마무리할 수 있을 것이라고 27일 밝혔다. 베선트 장관은 이날 폭스비즈니스에 출연해 “우리는 18개의 중요한 교역 파트너들이 있다”면서 “만약 이 중 10개 또는 12개 국가와 합의를 이룰 수 있다면 나머지 20여 개의 중요한 (교역) 관계도 이어질 수 있다. 그렇게 되면 노동절까지 무역협상을 마무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4월 2일 주요국을 대상으로 상호관세를 발표한 뒤 90일 간의
  • [속보] 美 5월 PCE 전년比 2.3%…블룸버그 전망 부합
  • 한국은 '지존파'가 마지막인데…日, 3년만에 또 사형 집행했다
    한국은 '지존파'가 마지막인데…日, 3년만에 또 사형 집행했다
    경제·마켓 2025.06.27 18:01:05
    일본이 연쇄살인범을 대상으로 3년 만에 사형을 집행했다. ‘실질적 사형제 폐지 국가’가 된 한국과 달리 일본 정부는 앞으로도 해당 제도를 계속 유지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27일 NHK와 교도통신, CNN에 따르면 2017년 9명을 연쇄 살인한 혐의로 붙잡혀 2021년 1월 사형을 확정받은 34세 시라이시 다카히로는 이날 오전 형을 집행받았다. 시라이시는 2017년 8월부터 두 달여 간 “죽고 싶다” 등의 글을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올린 10~20대의 남녀를 자기 집으로 유인해 성폭행하거나 돈을 빼앗은 뒤 숨지게 한 혐의로
  • 손정의 "소뱅, 초인공지능 1위 플랫폼 아니면 안한다"
    손정의 "소뱅, 초인공지능 1위 플랫폼 아니면 안한다"
    경제·마켓 2025.06.27 18:00:00
    손정의 소프트뱅크그룹 회장이 향후 10년 내 초인공지능(Artificial Super Intelligence·ASI)의 최대 플랫폼 제공 업체가 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손 회장은 27일 일본 도쿄에서 열린 소프트뱅크그룹 정기 주주총회에서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알파벳의 구글과 같은 지배적인 기술 플랫폼 제공 업체의 ‘승자 독식’ 역학 관계에서 이익을 얻는 것이 목표”라며 “궁극적으로는 인간의 능력을 1만 배 초과하는 인공지능(AI) 기술인 ASI의 최대 플랫폼 업체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시장 선두가 되겠다는 의
  • 트럼프 “중국과 협정 서명…인도와도 큰 합의 있을 것”
    트럼프 “중국과 협정 서명…인도와도 큰 합의 있을 것”
    경제·마켓 2025.06.27 17:47:20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과 희토류, 반도체 소프트웨어 등의 수출 규제를 철폐하기로 합의했다. 또 인도와 큰 무역 합의가 있을 것이라고 예고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26일(현지 시간) 백악관에서 감세 등 자신의 핵심 국정 의제를 반영한 이른바 ‘하나의 크고 아름다운 법안’ 입법을 촉구하기 위해 개최한 행사에서 “중국과 서명을 했다”고 밝혔다.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은 이날 블룸버그TV 인터뷰에서 “미중이 제네바에서의 무역협정을 마무리했다”며 “이틀 전에 협정을체결하고 서명했다”고 전했다. 중국 상무부도 27일 “이달 (영국
  • 美 '25% 관세' 적용 車부품 등 확대 전망…국내 중소업체 비상
    美 '25% 관세' 적용 車부품 등 확대 전망…국내 중소업체 비상
    경제·마켓 2025.06.27 17:41:56
    미국이 25% 관세를 적용받는 자동차 부품의 품목 수를 늘릴 것으로 전망된다. 앞서 부과된 자동차 부품 관세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우리 자동차 부품 업계에 추가 타격이 우려된다. 백악관은 다음 달 8일로 끝나는 상호관계 유예 시한이 연장될 수 있다고 밝혔지만 관세를 우선 부과한 뒤 협상하겠다는 상무장관의 언급이 나오면서 혼선이 커지는 양상이다. 26일(현지 시간) 주요 외신에 따르면 미 상무부 산하 국제무역청(ITA)은 24일 ‘무역확장법 232조’에 근거해 25% 관세를 부과하는 자동차 부품 범주에 새 품목을 추가하는 절차에 착수
  • 샤오미 '첫 SUV 전기차' 3분만에 20만대 팔렸다…머스크는 최측근 부사장 해고
    샤오미 '첫 SUV 전기차' 3분만에 20만대 팔렸다…머스크는 최측근 부사장 해고
    경제·마켓 2025.06.27 17:38:06
    중국의 정보기술(IT) 기업 샤오미가 미국 테슬라를 겨냥한 첫 전기차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을 출시해 3분 만에 20만 대가량을 팔아 치우며 돌풍을 일으켰다. 전기차 시장이 비야디(BYD)를 비롯한 중국 기업의 독무대로 재편되는 가운데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최측근 임원을 경질하는 등 내부 단속에 나섰지만 상황은 나아질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26일(현지 시간) 블룸버그통신은 샤오미가 이날 중국 베이징에서 자사의 첫 SUV 모델인 ‘YU7’ 출시 행사를 열고 25만 3500위안(약 4733만 원)에 판매하기
  • 우버, 자율주행차 투자 재검토…中포니 인수 두고 전 CEO 손잡나
    우버, 자율주행차 투자 재검토…中포니 인수 두고 전 CEO 손잡나
    경제·마켓 2025.06.27 17:37:00
    미국 차량 공유 업체 우버가 자율주행차에 대한 투자를 다시 검토한다. 이를 위해 8년 전 쫓겨난 공동창업자 트래비스 캘러닉 전 최고경영자(CEO)와 손잡을 것으로 전망된다. 26일(현지 시간)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캘러닉 전 CEO가 중국 자율주행차 회사 포니닷에이아이(Pony.ai)의 미국 자회사 인수를 위해 투자자를 물색하는 가운데 우버가 지원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캘러닉은 2017년 사내 성희롱 논란 등으로 CEO직에서 내려왔다. 소식통들은 협상이 아직 예비 단계라며 이번 거래가 성사되면 캘러닉이 포니를 운영하게 될
  • 방망이 짧게 잡는 채권 투자자…美 장기채 펀드서 5년 만에 최대 자금 유출 [글로벌 인사이트]
    방망이 짧게 잡는 채권 투자자…美 장기채 펀드서 5년 만에 최대 자금 유출 [글로벌 인사이트]
    경제·마켓 2025.06.27 16:04:38
    미국 장기채권에 투자하는 펀드에서 투자자금이 썰물처럼 빠져나가고 있다. 올 2분기 장기채 펀드의 자금 유출 규모는 5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할 전망이다. 미국 정부재정 상황과 인플레이션 등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투자자들은 미국의 장기채 대신 단기채를 선호하는 현상이 뚜렷해지고 있다. 26일(현지 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는 금융정보업체 EPFR의 자료를 분석해 올 2분기 미국 장기채 펀드에서 110억 달러(약 15조 원)가 순유출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보도했다. 코로나19로 금융시장이 큰 혼란에 빠졌던 2020년 초 분기별 기준 최
  • 日, 반도체공장 사이버 방어 지침 도입
    日, 반도체공장 사이버 방어 지침 도입
    경제·마켓 2025.06.27 14:53:57
    일본 경제산업성이 이르면 올 가을께 반도체 공장에 대한 사이버 공격 대응 지침을 내놓는다. 27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보안 조직과 책임자 명확화, 비상 대응과 사업 연속성을 위한 체계 마련, 입출입 관리 및 물리적 접근 제한 등을 골자로 한 반도체 공장 사이버 공격 대응 지침을 준비하고 있다. 일본 내에서 생산되는 모든 반도체 제조업체가 대상으로, 세계 최대 파운드리 업체인 대만 TSMC의 구마모토현 공장과 첨단 반도체 국산화를 추진 중인 라피더스도 포함된다. 반도체 공장은 규모가 크고 범용 운영체제(OS
  • 日손정의 "10년 내 초인공지능 플랫폼 될 것…성격상 1위 아니면 싫어"
    日손정의 "10년 내 초인공지능 플랫폼 될 것…성격상 1위 아니면 싫어"
    경제·마켓 2025.06.27 14:46:40
    손정의 소프트뱅크그룹 회장이 향후 10년 내 초인공지능(Artificial Super Intelligence·ASI)의 최대 플랫폼 제공업체가 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손 회장은 27일 일본 도쿄에서 열린 소프트뱅크그룹 정기 주주총회에서 회사의 AI 생태계 투자 계획을 밝히며 이 같이 말했다. 소프트뱅크는 올해들어 미국 반도체 암페어를 65억 달러에 인수하고 대화형 AI의 시초 챗GPT를 만든 오픈AI에 최대 400억 달러를 신규 투자하는 등 대규모 AI 투자를 이어가고 있다. 오픈AI를 주축으로 미국의 AI인프라를 구
서경스페셜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