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단체관광객 무비자 입국 제도가 시행 두 달째를 맞으면서 관광업계가 정부에 제도 연장을 건의했다. 실제로 제도 시행 이후 중국 관광객 방문이 급증하며 현장의 체감 효과가 상당하다는 이유에서다.
대한상공회의소는 28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문화관광산업위원회 제26차 회의를 열고 업계 의견을 수렴했다고 밝혔다. 회의에는 김대현 문화체육관광부 제2차관과 항공·호텔·여행·콘텐츠·식품 분야 대표 20여 명이 참석해 정책 현안을 논의했다.
업계는 이날 회의에서 지난 9월 29일부터 내년 6월 30일까지 한시 운영 중인 중국 단체관광객 무비자 입국 정책이 실질적인 수요 확대를 이끌어냈다며 지속 연장을 건의했다. 특히 신세계면세점 명동점은 제도 시행 후 한 달간 중국인 방문객이 전년 대비 90% 증가했으며 매출은 40% 가까이 뛰었다고 설명했다.
중국이 한국인에 대한 무비자 입국 혜택을 1년 연장하기로 한 만큼 외교적 상호주의 차원에서도 한국 역시 제도를 이어가야 한다는 주장도 이어졌다.
업계는 비자 정책뿐 아니라 입국 편의 제고를 위해 ‘공항 패스트트랙’ 서비스 도입도 필요하다고 밝혔다. 세계 주요 공항 30곳 중 인천국제공항만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 점을 지적하며 “대기 시간을 줄여 관광객 만족도를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관광 소비력에 대한 근거도 제시됐다. 문체부가 발표한 ‘2024 외래관광객조사’에 따르면 중국 관광객 1인당 평균 지출(국제교통비 제외)은 1622달러(한화 약 238만 원)로, 일본(806달러·한화 약 118만 원), 대만(1266달러·한화 약 185만 원), 말레이시아(1377달러·한화 약 201만 원), 홍콩(1435달러·한화 약 210만 원) 등 인접국 관광객보다 모두 높은 수준이다. 업계 관계자는 “소비력이 확실한 고객층을 붙잡기 위해선 지속적인 제도 유지가 핵심”이라고 말했다.
우기홍 문화관광위 위원장(대한항공 부회장)은 "K-컬처 열풍 속 올해 방한 관광객이 사상 처음으로 2000만명을 돌파할 전망"이라며 "문화·관광산업을 국가 경제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육성하기 위해 업계와 정부가 긴밀한 협력과 소통을 이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hihilinn@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