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H농협은행이 인공지능(AI) 관련 부행장급 부서 신설을 뼈대로 하는 조직 쇄신안을 단행한다. 중소기업 담당 부서를 개편해 생산적 금융 추진에도 방점을 찍었다. 강태영 농협은행장 취임 이후 처음으로 단행되는 조직 개편으로 디지털 전환과 생산적 금융에 힘을 싣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농협은행은 27일 이사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조직 개편안을 의결했다.
이번 개편안의 뼈대는 크게 AI 전환과 생산적 금융 강화로 요약된다. 먼저 부행장급 부서로 AI 데이터부문을 신설한다. AI 데이터부문에서는 AI 전략과 데이터 분석 및 로봇 프로세스 자동화(RPA) 관련 업무를 총괄하게 된다.
정보기술(IT) 부문도 확대 개편해 테크사업부문과 테크솔루션부문으로 분리한다. 테크사업부문장은 최고정보책임자(CIO)를 역임하고 테크솔루션부문장은 최고기술책임자(CTO)를 맡게 된다. 또한 디지털부문을 둬 농협은행의 비대면 거래 플랫폼인 NH올원뱅크 사업 확대에 힘을 싣기로 했다. 아울러 블록체인팀을 디지털자산팀(가칭)으로 확대해 스테이블코인과 같은 디지털 자산 전략을 전담하도록 했다.
생산적 금융에도 방점을 찍었다. 기업금융부문 산하 중소기업고객부를 기업성장지원부로 재편해 산하에 생산적금융국을 설치한다. 여신심사부 밑에는 전략산업심사국을 둬 국내 첨단 전략 산업 부문 여신 심사 역량을 강화할 방침이다. 농식품성장투자단 내에 투자운용팀을 확대해 유망 농식품기업 발굴에도 나선다.
자산관리(WM) 업무도 확대한다. 기존 WM사업부를 WM사업부와 투자상품부로 분리한다. 기업고객 영업도 강화한다. 대기업고객부에 전담팀을 신설해 여수신과 외환 및 퇴직연금 업무를 맡길 방침이다. 본점영업1부를 새로 꾸린다. 아울러 소비자보호지원국을 금융사기대응국으로 개편해 금융사기 대응을 전담하게 할 계획이다.
이번 개편안은 2026년 1월 1일부로 시행된다. 강 행장은 “이번 조직개편은 AI와 생산적 금융 대전환을 본격화하고 고객 중심의 종합 금융을 구현하는 데에 초점을 맞췄다”며 “농협은행은 미래 금융환경 변화에 선제 대응해 고객과 사회에 더 큰 가치를 제공하는 은행으로 도약할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vita@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