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 중립 정책 시행이 가속화할 수록 홍수·태풍 등 기후변화 리스크에 대한 금융사의 대손충당금이 최대 42% 가까이 줄어들 것이라는 예측이 나왔다.
24일 금융계에 따르면 하나금융그룹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4 지속 가능성 KSSB 보고서’를 발표했다.
해당 보고서는 한국회계기준원의 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Korea Sustainability Standards Board·KSSB)가 공개한 한국 지속 가능성 공시기준서를 바탕으로 하나금융그룹 계열사의 지속 가능성 및 리스크 대응을 위해 작성됐다. 금융권에서 KSSB 보고서를 내놓은 것은 하나금융이 최초다.
보고서는 지난해 7개 관계사(하나은행·증권·카드·캐피탈·생명·손해보험·저축은행)의 자산 포트폴리오를 대상으로 △무정책 △지연 전환 △탄소 중립 등 세 가지 시나리오별 재무 영향을 분석했다. 무정책은 탄소 감축을 위한 별다른 대응책을 내놓지 않는 것으로 지구 온도가 지금보다 3도 더 올라간다는 가정 아래 계산됐다. 지연 전환은 2도, 탄소 중립 시에는 1.5도가 증가할 것이라는 가정이 적용됐다.
홍수·태풍 등 주요한 물리적 리스크를 분석한 결과 탄소 감축은 금융사가 부담할 충당금을 낮추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탄소 배출이 줄어들면 자연재해 피해 가능성이 낮아지게 되고 이는 곧 영업중단 위험이나 담보가치 하락을 막는 역할을 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는 무정책시 2040년 물리적 위험 대손충당금은 2조 9387억 원에 달했지만 지연 전환 때는 2조 8921억 원, 탄소 중립 시에는 2조 2325억 원 순으로 크게 줄었다. 탄소 순배출을 0으로 만드는 2050년에 도달했을 때 충당금은 1조 8596억 원으로 무정책(3조 2355억 원) 대비 42%나 급감할 것으로 예상됐다. 보고서는 “탄소 중립 시 2050년까지 충당금은 200%로 최소 증가율을 보였지만 무정책시에는 최대 347%까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높은 자산 집중도와 기후변화 취약성으로 인해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 지역의 충당금 영향이 가장 클 것으로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탄소 중립 정책의 시행 속도가 빨라질수록 금융사의 새로운 기회 요인, 즉 자원 효율성 향상에 따른 운영 비용 절감과 저탄소 상품·서비스 제공에 따른 매출 상승, 기업 이미지 제고 및 신규 시장 확대가 가능하다는 전망도 내놓았다. 다만 건전성 측면에서는 규제 강화로 인한 전환 리스크가 발생해 속도 조절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하나금융은 이 같은 위험을 줄이기 위해 고탄소 산업에 대한 여신과 탄소집약도 모니터링을 고도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보고서에는 금융 소비자 보호에 대한 내용도 담겼다. 현재 하나금융은 △소비자 연령과 재산 상황을 고려해 부적합한 계약 권유 금지 △소비자가 반드시 알아야 할 주요 내용 설명 △불공정 영업행위 금지 △허위·과장광고 금지 등의 판매 원칙을 세웠다. 하나금융은 지난해 1393건의 민원이 접수됐는데 이 중 96건은 금전적 구제, 828건은 비금전적 구제가 이뤄졌다. 보고서는 “지난해까지 금융 소비자 보호 체계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도록 관련 인프라를 구축했다”며 “앞으로 소비자 권익 강화에 적극 나설 것”이라고 강조했다.
하나금융은 또 보고서를 통해 글로벌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기후 관련 전환 계획도 소개했다. 2030년까지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금융(여신·채권·투자) 규모를 확대해 60조 원을 달성하는 ‘2030&60’ 계획과 함께 2050년까지 사업장 온실가스 배출량(Scope 1,2) 넷제로와 포트폴리오 금융 배출량 탄소 중립 등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jseop@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