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 프리즘* 맞춤형 경제 브리핑
* 편집자 주: ‘AI PRISM’(Personalized Report & Insight Summarizing Media)은 한국언론진흥재단의 지원을 받아 개발한 ‘인공지능(AI) 기반 맞춤형 뉴스 추천 및 요약 서비스’입니다. 독자 유형별 맞춤 뉴스 4개를 선별해 제공합니다
[주요 이슈 브리핑]
■ 규제혁신: 경영계가 로봇 산업 육성을 위해 정부 내 전담 컨트롤타워 신설과 복잡한 인증 절차 간소화를 촉구하며, AI 분야 특별연장근로 허용 등 238건의 규제개혁 과제를 발굴해 정부에 건의했다. 신입 직장인들은 첨단 산업 분야에서 기업의 기술 혁신 속도가 규제 개선 여부에 따라 달라지는 만큼, 변화하는 산업 환경을 주시하며 관련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
■ 시니어 전략: 서울시가 주요 기업 200여 곳과 머리를 맞대고 시니어 인재를 단순 재교육 대상이 아닌 'AI 활용 독립형 전문가'로 육성하는 전략을 논의하며, 연령 포용적 조직문화의 중요성을 부각시켰다. 신입 직장인들은 다양한 세대가 공존하는 조직 환경에서 시니어의 경험 자산을 활용하는 협업 역량을 키우고, 멘토링 관계를 적극적으로 구축해야 한다.
■ 기술 인재: 삼성전자가 '안정'과 '기술 중시'를 키워드로 사장단 인사를 단행하며, 뉴로모픽 반도체 분야 석학을 영입해 차세대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신입 직장인들은 HBM을 넘어서는 미래 선행 기술 확보 경쟁이 치열해지는 상황에서, AI와 반도체 분야의 최신 기술 트렌드를 이해하고 전문성을 선제적으로 개발해야 한다.
[신입 직장인 관심 뉴스]
1. “로봇 전담 컨트롤타워 세우고 AI 특별연장근로 허용해야”
- 핵심 요약: 한국경영자총협회가 로봇 산업 육성을 위해 정부 내 전담 컨트롤타워 신설과 행정편의·노동·기업경영·환경 및 안전·현장 애로 등 5대 분야 238건의 규제혁신 과제를 발굴해 국무조정실과 산업통상부 등에 건의했다. 집중 연구가 필요한 인공지능(AI) 분야에도 특별연장근로를 허용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AI 핵심 인력이 부족한 상황에서 대규모 AI 모델 훈련·버그 수정·서비스 안정화 등을 이루기 위해선 집중적인 연구 몰입이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2. 시니어 인재가 기업성장 좌우…서울시 ‘리:액트 시니어 컨퍼런스’ 성료
- 핵심 요약: 서울시가 애플코리아, GS리테일, 유한킴벌리 등 200여 개 기업 및 기관과 함께 시니어 인재 육성전략을 논의하는 ‘2025 지속가능 인재 전략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조성준 서울대 빅데이터 AI센터장은 시니어를 단순 재교육 대상이 아닌 ‘AI 활용 독립형 전문가’로 육성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아울러 애플코리아는 애플 리테일의 시니어 채용 사례를, 법무법인 율촌은 시니어 직원이 팬데믹 후 청년 직원의 대인관계 회복에 기여한 사례를 소개하며 포용적 조직문화를 제시했다.
3. 안정 속 ‘기술 인재’ 전진 배치…HBM 넘어 AI 혁신 속도낸다
- 핵심 요약: 삼성전자가 2026년 사장단 인사를 단행하며 전영현 DS 부문장과 노태문 DX 부문장의 2인 대표이사 체제를 유지하고, 기술 인재를 전면에 배치하는 ‘안정’과 ‘기술 중시’ 방향을 명확히 했다. 노태문 사장은 '갤럭시 AI' 성공 경험을 바탕으로 AI 기반 혁신 기업으로의 전환을 이끌고 전영현 부회장은 HBM3E 12단 제품의 엔비디아 공급 확정 등 메모리사업부 실적 개선을 견인했다.
4. “업계 최초 AI 불완전판매 모니터링…금융소비자 보호 패러다임 바꾸죠”
- 핵심 요약: 신영증권이 업계 최초로 AI 에이전트 기반 불완전판매 모니터링을 도입하며, 도입 열흘 만에 대형 증권사와 은행 등 6~7곳에서 공동 개발을 타진받는 등 금융권 전반으로 확산세를 타고 있다. 기존 ‘원금 보장’ 등 특정 키워드 중심 방식과 달리 AI가 대화 맥락을 파악해 위험 발화 패턴을 사전에 발견하는 예방형 모니터링으로 전환한 것이 핵심이다. 신영증권은 공공 음성 데이터와 자체 금융 상담 합성 데이터 1만 4000시간을 AI에 학습시켰으며 금융 도메인 파인튜닝 역량을 갖춘 AI 스타트업 젠티와 협력했다.
▶기사 바로가기: 이틀마다 100P씩 널뛰는 증시…“12월 FOMC까지 변동성 불가피”
▶기사 바로가기: “로봇 전담 컨트롤타워 세우고 AI 특별연장근로 허용해야”
▶기사 바로가기: ETF 호황 속…테마·중소형은 ‘상폐 행렬’





derrida@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