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책 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우리나라의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0.8%에서 0.9%로 소폭 올려잡았다. 한미 간 통상협정 세부 사항이 담긴 팩트시트가 마무리되지 않는 등 여전히 불확실성이 남아 있음에도 소비 회복에 따라 경기가 완만하게 개선될 것으로 전망했다.
KDI는 11일 ‘2025년 하반기 경제전망’을 통해 올해 GDP 성장률을 0.9%로 8월 전망(0.8%) 대비 0.1%포인트 높였다. KDI는 당초 5월 상반기 경제전망에서는 올해 성장률을 0.8%로 제시한 뒤 8월 경제전망에서도 이를 유지한 바 있다.
세부적으로 올해 총소비는 1.6% 증가하고 총수출은 4.1% 늘어날 것으로 봤다. 설비투자는 2.5% 증가하지만 건설투자가 9.1% 감소해 여전히 부진한 모습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최근 경제 상황에 대해 KDI는 “성장세가 확대되며 경기가 완만하게 개선되는 모습”이라며 “내수는 건설투자가 위축돼 있으나 소비가 개선되면서 부진이 완화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앞서 올해 3분기 실질 GDP 성장률은 전 분기 대비 1.2% 증가했다. 전년 동기 대비로도 직전 분기(0.6%)보다 높은 1.7%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아울러 KDI는 내년도 성장률로 1.8%를 제시해 8월 전망치인 1.6%에서 0.2%포인트를 높였다. KDI는 “내년 우리 경제는 수출이 둔화되겠으나, 내수가 회복세를 나타내며 1.8% 정도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설명했다.
구체적으로 내년 설비투자는 2.0% 증가해 올해(2.5%)에 이어 완만한 증가 흐름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건설투자는 올해 -9.1%로 크게 감소하지만 내년엔 2.2% 증가로 전환하며 일부 완화될 전망이다. 수출은 미국 관세 인상의 영향이 본격적으로 나타나면서 올해(4.1%)보다 낮은 1.3%의 증가율을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소비자물가는 올해 2.1%, 내년 2.0%로 전망된다. 식료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물가는 내수 회복에 따라 올해(1.9%)보다 높은 2.2% 가량 상승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KDI는 “한미 무역협정 진전과 미중 무역 긴장 완화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주요 수출 품목에 적용되는 관세율과 적용 시기에 대한 불확실성이 잔존한다”고 진단했다. 미국 연방대법원이 자국 내 중소기업들이 제기한 트럼프의 관세 부과에 대한 소송 심리를 시작한 만큼 법원의 결정에 따라 통상 불확실성이 확대될 가능성도 남아있다. 환율도 변수다. KDI는 “9월 말 이후 지속되고 있는 환율 상승의 영향이 추가되면 물가상승률이 물가안정목표인 2%를 다소 상회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shin@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