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 확산으로 인간의 일자리가 대폭 줄어들 것이라는 공포가 잇따르고 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이같은 우려가 지나치다는 분석도 나온다. AI가 일자리를 새롭게 만들어내는 속도가 일자리를 없애는 속도를 압도한다는 설명이다.
글로벌 IT 시장조사 기관 가트너는 최근 ‘2025 AI 일자리 영향 분석’ 보고서를 통해 “2028년~2029년을 기점으로 순일자리 효과가 감소에서 증가로 전환될 것”이라며 이같이 내다봤다.
보고서에 따르면 AI는 단순히 일자리를 줄이는 것이 아니라 직무 재편도 함께 진행하고 있다. 단순·반복 업무를 수행해야 하는 일자리는 사라지고 있지만 AI를 검증·관리하고 윤리적인 책임을 검토하는 새로운 직업이 등장하는 것이다. 가트너는 이러한 현상으로 인해 매년 약 3200만 개의 직무가 재편되고, 평균 15만 명이 매일 직무 재교육을 받게될 것으로 내다봤다. 또한 AI 도입으로 인한 감원은 전체 인력 변동의 1% 미만에 불과하다고 분석했다.
가트너는 “231개 기업, 24만여 개 일자리 변동을 분석한 결과 감원의 79%는 경기나 비용 구조조정, 인수합병(M&A) 등 기존 요인 때문”이라며 “17%는 재배치나 신규 채용 지연 등 비AI 요인”이라고 말했다. 또한 “제조·자원 산업도 AI 자동화와 데이터 기반 공정 최적화를 통해 생산성이 커질 것”이라며 중장기 일자리 증가를 전망했다.
다만 금융과 공공 부문에서는 여전히 일자리 감축 우려가 있다. 해당 분야는 규제 비중이 높고 기술 도입 속도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순고용 감소를 피해가기 어렵다는 설명이다. 가트너는 “공공부문에서는 행정·교육 업무 전반에 AI를 적용하려는 움직임이 많지만 정규직 감축 압력과 제도 제약이 병존하면서 조직 내 공석이 확대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wise@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