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NK금융그룹이 3일 해양수산부와 상호 포괄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해수부의 부산 이전을 계기로 해양산업 금융 수요확대에 대응하고 지역 주도형 해양금융 생태계 조성을 위한 것이라는 게 BNK의 설명이다. 구체적으로 두 기관은 △북극항로 시대 대비 해양수도권 육성 및 전·후방산업 지원 △스마트 친환경 해운항만 산업 육성 △어촌연안경제 활성화를 위한 해양산업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 지역금융의 핵심 축으로서 지방소멸 우려에 대응하고 지역 경제와 사회를 되살리기 위한 BNK만의 고민이 담겨 있는 셈이다.
이재명 정부가 지역 균형 발전을 전면에 내세우면서 BNK와 JB금융지주 등 지방금융그룹의 역할론이 커지고 있다. 시장에서는 새 정부의 생산적 금융 기조와 함께 지역금융이 제자리를 잡아야 지역 균형 발전도 가능하다는 조언이 흘러 나온다.
지방 금융그룹의 고위 관계자는 “지역에 변변한 기업이 없어 지방은행이 법인세 순위에서 상위권을 차지하는 상황이 정상은 아니다”라며 “은행 차원의 이익과 성장, 여신관리가 중요하지만 최근에 가장 큰 고민은 인구 소멸 지역이 늘어나고 있는 상황에서 지역사회가 살아남을 수 있겠는가 하는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 때문에 지방금융그룹은 지역 경제와 주민을 위해 안간힘을 쏟고 있다. 이미 BNK금융은 동남권 지역 특화산업인 해양·방산·에너지·항공 분야 지원에 나섰다. JB금융은 ‘JB 생산적 금융 협의체’를 중심으로 전북·광주·전남 지역 중소기업 대상 대출 및 지방자치단체·지역 유관기관과 협약 상품 확대를 준비 중이다. 시중은행으로의 전환에도 대구경북에 탄탄한 기반을 둔 iM금융도 생산적금융협의회를 발족하고 지역 스타트업과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각종 지원책을 제공하고 있다.
중요한 것은 이 같은 지원책이 지속되기 위해서는 은행 경영의 연속성과 안정적인 지배구조가 절실하다는 점이다. 하지만 현실은 반대다. 최근 차기 회장 선임 과정에서 논란이 있었던 BNK의 경우 금융 당국의 모범관행에 따라 관련 작업을 하고 있다. 현재 회장 선출 절차가 진행 중인 신한·우리와 같은 방식으로 진행 중이다. 이들 회사 모두 헤드헌팅사의 추천과 검증을 통해 상시 관리하고 있는 내·외부 후보군을 대상으로 하며 금융 당국 제재 이력이 있거나 책무구조도에 저촉되는 인사는 제외된다. 금융계의 한 관계자는 “모범관행에 따른 경영 승계 절차를 일반공모 방식으로 오해했거나 후보 추천을 받지 못한 이들이 의혹을 제기하고 있는 것 아니겠느냐”며 “윤종규 회장이 9년 동안 KB를 이끌면서 리딩금융그룹이 됐듯 금융그룹은 안정적인 지배구조가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jseop@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