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인공지능(AI) 도입으로 청년층 고용이 급격히 줄어든 업종을 분석한 결과 AI에 노출도가 높은 분야를 중심으로 일자리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출판사의 교열 업무도 AI로 대체되면서 청년 고용이 줄어든 사례에 포함됐다. 반면 같은 업종 내 50대 이상 관리자급 고용은 오히려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 연구는 미국에서 관련 연구가 발표된 이후 한은 보고서를 통해 국내 사례가 처음으로 확인된 것이다.
한은이 30일 발표한 ‘AI 확산과 청년고용 위축’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11월 챗GPT 출시 전후 올해 7월까지 최근 3년간 15~29세 청년층 일자리는 21만 1000개 줄었다. 이 가운데 98.6%는 AI 노출도가 높은 상위 3·4분위 업종에서 발생했으며 감소세가 두드러진 업종은 △컴퓨터 프로그래밍·시스템 통합 및 관리업(-11.2%) △출판업(-20.4%) △전문서비스업(-8.8%) △정보 서비스업(-23.8%) 등이었다.
보고서를 작성한 오삼일 한은 고용연구팀장은 “AI가 대체하기 어려운 저노출 업종에서는 청년 고용이 거의 변화가 없었고 청년층 인구 감소를 고려하면 일부 업종에서는 고용이 늘었다고 볼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2022년 7월부터 지난 7월까지 국민연금 가입자 1600만 명 데이터를 연령별로 분해해 이같은 결과를 냈다.
반면 이 기간 50대 이상 고용은 20만 9000개 늘었으며 이 중 69.9%가 AI 고노출 업종에서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챗GPT 등장 이후 청년층은 AI로 타격을 받은 반면 관리자급 50대 직장인들은 오히려 수혜를 본 것으로 분석된다. 이에 대해 오 팀장은 "주니어는 AI로 대체하기 쉬운 정형화되고 교과서적인 지식 업무를 하는 반면 시니어는 업무 맥락 이해, 대인관계, 조직관리 등 AI가 현재로서 대체하기 어려운 암묵적 지식과 사회적 기술이 필요한 업무를 주로 담당하기 때문"이라며 “연공 편향 기술 변화(seniority-biased technological change)’ 현상이 한국에서도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이는 올해 미국 스탠퍼드대·하버드대 연구 결과와 유사한 패턴이다.
실제로 저연차 근로자일수록 AI를 활용해 업무시간을 줄이는 경우가 많아 대체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나왔다. 학력별로는 석사(7.6시간)와 4년제 대졸자(5.0시간)의 업무시간 감소율이 가장 컸다.
다만 한은과 미국 연구진 모두 AI 확산 초기 청년 고용 위축이 지속될지는 불확실하다고 판단했다. AI로 인한 생산성 증가가 중장기적으로 노동수요 확대 요인으로 작용하면 그 수혜가 청년층을 중심으로 나타날 가능성도 있어서다. 오 팀장은 “AI로 인한 고용조정은 임금 삭감보다는 채용 축소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며 “기업들은 불확실성과 비용 절감 요인 속 신규 채용을 줄이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장기적으로 기업들은 AI와 협업 가능한 인재 양성, 직무 재설계, 스타트업 창업 지원 등 새로운 전략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hr@sedaily.com
                                                                khr@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