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의 인공지능(AI) 검색 요약 서비스가 독도를 일본 영토로 표기해 논란이 일었다. ‘독도 지킴이’로 알려진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가 강하게 시정을 요구했고, 네이버는 즉시 조치에 나섰다.
30일 서경덕 교수는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국내 최대 포털사이트 네이버 검색창에 ‘일본영토’ 또는 ‘일본 영토’를 입력하면, AI 답변에서 독도를 일본 영토로 간주한다”고 밝혔다.
서 교수에 따르면 네이버 검색창에 ‘일본영토’를 검색했을 때 AI 브리핑 서비스는 ‘일본의 영토는 독도(다케시마), 북방영토, 센카쿠 열도 등으로 구성돼 있습니다’라고 답변했다. 또 ‘일본 영토’로 검색하면 ‘독도(다케시마)’를 일본 주요 영토 구성에 포함시키며 ‘한국과 영유권 분쟁 중’이라고 표시했다는 것이다.
서 교수는 "챗GPT 등 해외에서 개발된 AI에서는 대부분 독도를 분쟁지역으로 표현하고 있어 지금까지 꾸준히 항의를 해 왔다"며 "국내 대표 포털에서 국가적으로 중요한 사안에 이런 결과를 확인하지 않았다는 건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네이버는 하루 빨리 시정해 특히 해외 누리꾼들의 독도에 관한 오해가 없도록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논란이 커지자 네이버는 즉시 해당 내용을 수정했다. 현재는 ‘일본영토’나 ‘일본 영토’를 검색해도 AI 브리핑 결과가 표시되지 않는다.
네이버 관계자는 "질의 내용에 더욱 적합한 검색 결과가 생성될 수 있도록 면밀히 살피며 서비스를 개선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네이버의 AI 브리핑은 사용자의 검색 의도를 분석해 요약된 답변을 제공하는 서비스로, 지난 3월부터 검색 영역에 적용됐다. 네이버는 현재 이 기능을 쇼핑·지도 등 다른 분야로 확대 중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doremi@sedaily.com
                                                                doremi@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