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이노베이션(096770)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부대 행사인 ‘APEC CEO 서밋’에서 역내 액화천연가스(LNG) 산업 비전을 논의하는 글로벌 협력의 장을 마련한다.
SK이노베이션은 대한상공회의소 주최로 31일 ‘아시아 퍼시픽 LNG 커넥트’ 세션을 개최한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행사에는 최재원 SK그룹 수석부회장, 추형욱 SK이노베이션 대표이사 등이 참석해 그룹 차원의 글로벌 에너지 협력 의지를 다지고, 지속가능한 에너지 생태계 구축에 대한 청사진을 제시한다.
이밖에 6개국 10개 에너지 기업 리더들 역시 자리해 아태 지역의 에너지 안보, 가격 경쟁력, 에너지 공급 안정성 및 지속가능성 확보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추 대표는 “LNG는 아태 지역의 전력 수요 급증에 대응하는 동시에, 재생에너지의 간헐성을 보완하고 석탄 발전을 대체할 수 있는 핵심 에너지원으로 자리잡고 있다”며 “역내 에너지 안보, 공급망 안정성, 탈탄소 전환을 가속화하는 국가 간 협력 모델이 제시될 것”이라고 말했다.
세션1에서는 인공지능(AI) 혁신에 따른 전력 수요 급증 및 에너지 전환 과정에서 핵심 에너지원으로 부상한 LNG의 역할을 심도 있게 다룬다. 특히 SK이노베이션, 일본 제라와 호주 바로사 가스전을 공동 개발 중인 산토스의 션 피트 부사장은 고갈 가스전을 활용한 뭄바 이산화탄소 포집·저장(CCS) 허브 구축 사례를 소개한다.
아울러 야오 유미코 도쿄가스(일본) 전무이사, 자투룽 워라윗수라와타하나 PTT(태국) 수석부사장, 샴사이리 M 이브라힘 페트로나스(말레이시아) 부사장 등 패널들은 역내 기업 간 협력을 통한 글로벌 LNG 시장 확대 방안을 모색하고, CCS를 연계한 저탄소 LNG 밸류체인 확대 등 탈탄소 전략의 구체적 실행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세션2에서는 추 대표가 미 LNG의 가격 경쟁력과 계약 유연성을 기반으로 안정적인 LNG 포트폴리오를 구축할 수 있었던 경험을 소개한다. 또 미국 ‘셰일가스 산업의 개척자’로 알려진 해롤드 햄 콘티넨탈 리소시스 명예회장이 참석해 미국의 혁신 기술력과 정책적 지원, 인프라 투자 등을 알릴 계획이다.
이밖에 에리얼 핸들러 넥스트데케이드(미국) 수석부사장, 네이선 윌 프리포트LNG(미국) 최고사업책임자(CCO), 오카모토 스나오 오사카가스(일본) LNG 글로벌 총괄, 주영준 한화퓨처프루프(한국) 사업담당 사장 등 패널들은 AI 데이터센터 확대로 급증하는 전력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LNG의 전략적 활용 방안을 제시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sunset@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