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김장철을 앞두고 김장 재료의 생산·공급 안정을 위해 총력 대응에 나섰다.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26일 김장 배추 주산지인 충북 괴산군의 배추밭을 찾아 작황을 직접 점검했다.
최근까지 이어진 가을장마 때문에 일찍 심은 밭이나 배수가 잘 안되는 지역을 중심으로 무름병 등 병해가 발생하자 현지 상황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다만 올해 가을배추 재배면적이 지난해보다 2.5% 증가했으며 최근 기상 여건이 호전되고 있어 11월 중순부터 12월까지 김장 성수기의 배추 공급에 큰 차질이 없을 것으로 보인다.
농식품부는 김장철 배추와 무 등 주요 채소류의 안정적 생산을 위해 농촌진흥청, 지자체, 농협 등과 함께 생육 모니터링 및 재배기술 지도를 강화하고, 병해충 방제를 위한 약제와 영양제 공급을 확대하고 있다.
또한 이상기상에 따른 수급 불안에 대비해 계약재배를 확대하고 정부 수매비축 등 출하조절용 물량을 최대한 확보해 공급 부족 시 도매시장과 대형 유통업체 등에 공급할 계획이다.
송 장관은 “다음 주부터는 기온이 급격히 떨어질 것으로 보여 대비가 필요하다”며 “관계기관은 저온 등 이상기상에 따른 생육관리 지원을 강화하고 농업인이 김장배추를 안정적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적극 협조해 달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shin@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