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정훈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 사장이 23일 “새도약기금(배드뱅크) 요건에 맞지 않는 보유 자산에 대해선 새도약기금과 동일한 수준 이상으로 자체 채무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정 사장은 이날 부산 부산국제금융센터(BIFC)에서 열린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 출석해 ‘캠코의 장기 연체채권을 새도약기금에 떠넘기는 것 아니냐’는 지적에 대해 이같이 답했다.
캠코는 요건에 맞는 채권은 새도약기금에 넘기되 나머지는 자체적으로 처리하겠다는 방침이다. 정 사장은 “캠코가 자체적으로 갖고 있는 채권은 운영 프로그램에 맞으면 더 적극적으로 채권 소멸시효를 완성하거나 소각할 계획”이라고 했다.
대부업계의 새도약기금 참여 여부에 대해선 “대부업협회(한국대부금융협회)는 협약에 가입했다”며 “대부업계에서 최대한 많이 가입할 수 있도록 독려하고 인센티브도 논의하겠다”고 말했다.
외환 위기 당시 캠코가 인수한 부실채권 2만 1433건(1조 7704억 원) 일부도 새도약기금에 포함된다. 이중 개인채무는 1만 8010건(3662억 원)이고 법인은 3423건(1조 4042억 원)이다. 정 사장은 ‘IMF 때 인수한 장기 연체채권도 새도약기금으로 조정될 수 있느냐’는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의원 질문에 대해 “당연히 가능하다”며 “이달 처음으로 새도약기금 채권을 1차 매각할 예정”이라고 답했다.
빠르게 증가하는 캠코의 부채비율도 도마 위에 올랐다. 김상훈 국민의힘 의원은 2026년도 캠코 부채비율 전망치가 204.1%에서 235.6%로 가파르게 상승됐다면서 건전성 문제를 지적했다. 정 사장은 이에 “사업이 실패한 탓에 부채비율이 올라간 것은 아니다”라며 “기금이 회수되고 사업이 정상화되면 부채비율이 정상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정부 출자 노력도 지속하겠다”고 답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