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인공지능(AI)과 바이오기술을 신약개발 시간과 비용을 절반으로 줄이고 2030년까지 신약 후보물질을 4건 이상 발굴하기로 했다. 민간투자와 유치와 혁신 선도 지구 지정을 통해 현재 24% 수준인 스마트농업 도입률도 35%로 확대한다.
기획재정부는 20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성장전략 태스크포스(TF) 및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초혁신경제 15대 선도 프로젝트의 두 번째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이번 대책은 지난 8월 정부가 발표한 새정부 경제성장전략의 후속조치다. 정부는 당시 AI 대전환 15대 선도프로젝트와 함께 초혁신경제 15대 선도 프로젝트를 제시했다. 이어 지난 9월엔 초혁신경제 15대 선도 프로젝트 가운데 △차세대(SiC 등) 전력반도체 △액화천연가스(LNG)화물창 △그래핀 △특수탄소강 △K-식품 등 5개 프로젝트의 첫 번째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이번에 발표된 두 번째 대책은 첫 번째 추진계획과 마찬가지로 새정부 경제성장전략의 초혁신경제 15대 프로젝트를 2026년도 정부예산안 반영 내용을 포함해 구체화한 것이다. 정부는 기후·에너지·미래대응 분야와 K-붐업 분야를 중심으로 한 5개 프로젝트를 공개했다.
먼저 기후위기와 식량안보에 대응하기 위해 AI 기반 스마트농업 체제로의 전환을 추진한다. 민간투자를 유치하고 스마트농업 육성지구 중 1곳을 혁신 선도지구로 지정해 AI솔루션 기반 영농 최적화 모델을 구축한다. 이를 통해 지난해말 기준 16% 수준인 우리나라의 스마트농업 도입률을 2030년까지 35%까지 끌어올릴 방침이다. 이를 위해 내년도 예산에 △국가농업 AX플랫폼 출자(신규 705억원) △AX 기반 지능형 기술개발(신규 70억원) △스마트농업 데이터․솔류션 공유․거래 (신규 9억원)△ 스마트팜 종합자금(1500억원) 등의 사업을 반영했다.
세계적인 수산종자 생산기술과 정보통신기술(ICT)을 결합해 스마트수산업도 지원한다. 현재 2.7%수준인 스마트수산업 보급률을 2030년까지 10%로 확대하고 수산 최초의 AI 기반 스마트수산업 상업화 및 밸류체인 구축을 추진한다. AI기반 스마트수산업으로 전환을 위해 스마트수산업 혁신 선도지구 1개를 지정하고, 테스트베드 구축과 함께 기업육성, 인력 양성 등 전주기 혁신을 지원할 계획이다.
국가 안보와 경제의 핵심으로 국가간 이전·협력이 어려운 초고해상도 광학위성의 핵심기술 개발도 추진한다. 한반도 기후 환경에 적합한 감시·예측 정보를 생산·활용하기 위해 범부처 협업 기반의 고해상도 위성을 활용한 AI 기반 기후예측모델을 개발한다. 산업·공공 수요를 반영한 초고해상도 위성 관련 기술개발을 개발하고 인력양성과 금융지원 등을 패키지로 지원할 예정이다.
AI 바이오 오픈 생태계 구축에도 힘쓴다. 세계적 수준의 의료데이터와 바이오 분야 연구개발 역량이 유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AI 바이오 기술축적부터 인재양성, 산업확산까지 연결되는 생태계를 조성한다. 이를 위해 AI가 실험을 설계·수행하는 자율실험실과 AI 바이오 모델을 구착하고 연구개발(R&D), 인프라, 데이터 등 종합 지원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현재 신약 개발에 드는 시간(10~15년)과 비용(1~3조)을 50% 이상 절감하고, 2030년까지 신약 후보물질을 4건 이상 발굴할 계획이다.
글로벌 3강으로 성장한 K-뷰태 산업의 지속가능한 성정과 고부가가치화도 돕는다. 외국인 관광객 대상 체험·홍보가 구매로 이어질 수 있도록 수출전략 다각화를 추진하고 K-뷰티 관련 체험·문화·관광·산업이 융합된 K-뷰티 통합 클러스터를 조성한다. 세부추진계획을 조속히 마련해 내년 초 1개 거점을 선정할 예정이다.
구윤철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은 “정부는 초혁신경제 프로젝트에 국가의 모든 역량과 재원을 총동원해 재정·세제·금융·인재양성·규제개선 등 패키지 지원을 제공할 계획”이라며 “향후 5년간을 우리 경제의 골든타임으로 삼아 가시적 성과 창출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