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쌀 수급 안정을 위해 2025년산 예상 초과생산량 16만 5000톤 가운데 10만 톤을 시장격리하기로 했다. 소비자 장바구니 부담을 덜기 위해 소비자 쌀 할인 행사는 10월까지로 연장하고, 할인액은 20㎏ 당 5000원에서 7000원으로 확대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13일 양곡수급안정위원회를 열고 이런 내용의 수확기 쌀 수급 안정 대책을 발표했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올해 쌀 예상 수요량이 340만 9000톤으로, 2025년산 예상 초과생산량은 약 16만 5000톤 수준이다. 정부는 이 가운데 10만 톤을 우선 격리하고 향후 쌀 최종 생산량과 소비량을 감안해 상황에 맞는 수급 대책을 보다 정교하게 추진하는 것으로 의견을 모았다고 밝혔다.
정부가 매입하기로 한 10만 톤에는 올해 8월 말부터 정부가 산지 유통업체에 대여 방식으로 공급한 5만 5000톤의 반납 물량이 포함된다. 이밖에 4만 5000톤은 용도를 가공용으로 제한해 밥쌀 시장에서 격리하는 사전격리 물량이다.
정부는 최근 확산하고 있는 깨씨무늬병 등 피해벼에 대해 농가희망 물량 전량을 매입하겠다고도 밝혔다. 전국 깨씨무늬병 발생 면적은 10월 1일 기준 3만 6000㏊에 달한다. 지난해 피해 면적이 1만 5000㏊였던 점을 고려하면 10월임에도 불구하고 이미 전년도의 2배 이상 피해 규모가 커지고 있는 셈이다. 농식품부는 “2024년 벼멸구 피해의 경우 수확이 완료된 농가도 수량감소 등 증빙을 거쳐 복구비를 지원했다”며 “피해벼의 농가희망물량 전량을 매입해 농가 소득 안정을 도모하고 시중 쌀의 품위 저하를 방지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정부는 쌀 초과 생산량이 12만 8000톤일 것으로 예상하고, 쌀값 하락에 대응하기 위해 이보다 많은 26만 톤의 쌀을 시장격리했다. 그러나 벼멸구와 침수 피해 등으로 초과 생산량이 5만 6000톤으로 줄었다. 최근에는 민간 재고 부족으로 인한 쌀값 인상세가 지속되는 등 구곡 물량이 평년보다 적은 상황이다. 수확기 이후 기상여건까지 고려해 수급 대책을 정교하게 추진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한편 정부는 소비자 장바구니 부담 완화를 위해 소비자 쌀 할인 행사를 연장할 방침이다. 기존에 9월 말까지 추진하기로 한 행사를 10월 말까지로 연장하고, 할인 폭은 20㎏ 당 7000원으로 현재(5000원)보다 2000원 더 확대할 계획이다. 최근 일본 쌀값 상승세를 고려해 우리쌀 수출을 늘리기 위한 지원책도 강구해나가기로 했다.
강형석 농식품부 차관은 “수확기 이후에도 쌀 수급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시장 전반에 대한 동향 파악을 면밀히 실시하겠다”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