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일부 저비용항공사(LCC) 국내선을 예매했다면 공항 카운터에서 탑승권을 발급받을 때 별도의 수수료를 지불해야 한다. 취지는 대기 시간을 줄이고 셀프·온라인 체크인을 확대하겠다는 것이지만, 승객 입장에서는 추가 비용이 발생하는 셈이다.
11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이스타항공은 오는 13일부터 김포·청주·제주·김해(부산) 공항 국내선 카운터에서 탑승권을 발급받는 승객에게 1인당 3000원의 수수료를 부과한다.
다만 △항공권의 변경이 필요한 승객(변경 수수료 별도) △신분할인 적용 승객(제주도민, 복지카드 소지자 등) △직원 확인이 필요한 서비스를 신청한 승객(반려동물 동반, 휠체어 신청, 비상구 좌석, 임산부) △항공권 현장 구매 승객(현장 발권 수수료 별도) △앞 좌석 및 비상구 좌석 구매 희망 승객 △만 2세 미만의 유아 동반 승객 △셀프체크인(KIOSK) 및 온라인 체크인 이용 승객은 추가 비용을 내지 않아도 된다.
이 정책은 이미 여러 LCC에서 시행 중이다. 제주항공은 2019년부터 공항 발권 카운터를 유료화하고 ‘셀프 수속’ 체제로 전환했다. 에어부산과 에어서울도 잇따라 같은 방식을 도입했다.
대형항공사(FSC)도 카운터를 유료화하진 않았지만 셀프 체크인을 강화하고 있다. 대한항공은 인천국제공항을 포함한 전 국내 공항의 일반석 카운터를 ‘셀프 체크인 전용 수하물 위탁 카운터’로 전환해, 승객이 키오스크나 모바일로 탑승권을 받아야 수하물을 부칠 수 있도록 했다. 아시아나항공도 국내선 취항 공항 전체에서 셀프 체크인 시스템을 도입해 수하물 전용 카운터를 운영 중이다.
이 같은 변화는 장기적으로 인건비 절감을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항공사는 유류비·정비비·리스료 등 고정비 부담이 커, 무인 시스템을 확충해 불필요한 인력을 줄이는 방향으로 나아가겠다는 것이다.
그러나 디지털 기기에 익숙하지 않은 중장년층은 불편을 겪을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모바일이나 키오스크를 이용하지 않으면 수수료를 내야 하는 만큼, ‘디지털 소외층’을 배려하지 않은 조치라는 비판이 제기된다.
일부 누리꾼은 "노년층의 대부분이 스마트폰을 잘 쓰지 못하는데 키오스크로 티켓을 발급 받으라고 하는 것은 비행기를 타지 말라는 말 아니냐", "키오스크를 이용하지 않는다고 수수료를 내라는 건 과한 처사" 등의 반응을 보였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