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정KPMG가 한미 정상회담에 따라 조선업을 비롯해 원전·방산·핵심광물 공급망 등 주요 분야를 중심으로 투자·수출 전략이 새롭게 재편될 것으로 분석했다. 산업 대부분 한미 협력으로 기회가 생길 수 있으나 자동차 등 일부 업종은 돌파구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는 진단이다.
27일 삼정KPMG는 ‘한미 정상회담에 따른 국내 산업별 영향’ 보고서를 발표하고 이번 회담의 핵심 키워드로 ‘안보·방위 협력’, ‘경제·산업 협력’, ‘한미 관세협상 원안 유지’ 등을 꼽았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돌발 요구 없이 7월 30일 합의된 한미 무역협상안이 그대로 유지됐다. 양국 정상은 조선·항공·원자력·액화천연가스(LNG)·핵심광물 등 주요 분야에서 한국 기업의 1500억 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 계획을 공식화했다.
먼저 조선업은 ‘미국 조선업 재건 전략(MASGA)’과 이재명 대통령의 ‘조선·제조업 르네상승’ 전략이 맞물리면서 공동 건조와 유지·보수·운영(MRO) 조선소 현대화 등 다방면에서 협력을 확대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 기업은 현지 합작 거점 확대와 친환경 선박 투자 등으로 시장 주도권을 확보해야 한다는 조언이다.
에너지 산업은 2028년까지 LNG 등 1000억 달러 규모의 미국산 에너지 구매 확대와 소형모듈원자로(SMR) 등 분야에서 협력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방산 역시 단기적으론 전략광물 공급, 미국 첨단 무기 도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이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반도체는 대미 투자 확약 기업에 대한 관세 면제와 한미 최혜국 대우 합의로 품목별 관세 영향은 크지 않을 수 있으나 세부 규정을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는 진단이다. 현지 생산 설비 관련 전략을 수립해 관세나 보조금 정책에 대해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한다.
자동차는 대미 수출 의존도가 높은 만큼 관세 15%는 최소한의 수출 경쟁력을 확보한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이에 적극적인 대미 투자로 돌파구를 모색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의견을 냈다. 의약품도 고율 관세 등으로 글로벌 제조사를 압박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한국 기업들은 리스크를 해소하기 위해 대미 투자를 적극 검토하고 추진할 필요성이 있다.
삼정KPMG 경제연구원 관계자는 “이번 한미 정상회담으로 불안 요인들이 완화하고 조선·에너지·방산 등 전략 산업의 협력 기회 마련 등 긍정적 영향이 확대됐다”며 “1500억 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 실행 과정에 대한 후속 모니터링과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 발굴이 필요하다”고 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