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와의 초대형 공급계약으로 반전의 계기를 마련한 삼성전자(005930) 파운드리(반도체 위탁 생산)가 “대형 고객 추가 수주가 기대된다”며 자신감을 드러냈다. 고전하던 고대역폭메모리(HBM)는 차세대 HBM4(6세대) 공정 개발을 마친 뒤 샘플을 고객사에 보내며 순항을 알렸다. 올해 2분기 삼성전자 반도체 영업이익은 6분기 만에 최저 수준을 기록했지만 곳곳에서 드러난 ‘바닥’ 신호는 하반기 이후 본격적인 회복을 예고했다.
삼성전자는 연결 기준 올해 2분기 매출 74조 5663억 원, 영업이익 4조 6761억 원을 기록했다고 31일 공시했다. 매출은 전년 동기보다 0.67%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55.23% 감소했다.
반도체 사업을 담당하는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은 매출 27조 9000억 원, 영업이익 4000억 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2023년 4분기 2조 원대 적자를 기록한 이후 최저치다. 메모리 사업에서 대규모 재고 자산 평가 충당금이 발생하고 비메모리 사업도 미국의 대중 제재 영향으로 부진한 탓이다.
스마트폰과 가전 사업 등을 담당하는 디바이스경험(DX) 부문은 매출 43조 6000억 원, 영업이익 3조 3000억 원을 기록했다. 스마트폰 비수기에 TV 사업 부진으로 전 분기 대비 매출이 16% 감소했고 영업이익도 1조 4000억 원 줄었다. 다만 모바일경험(MX) 및 네트워크사업부의 매출은 29조 2000억 원, 영업이익은 3조 1000억 원을 기록했는데 1월 출시된 갤럭시 S25의 인기가 2분기에도 지속됐기 때문이다.
TV를 담당하는 영상디스플레이(VD)사업부는 글로벌 경쟁 심화로 실적이 하락했고 디스플레이는 스마트폰 신제품 수요와 정보기술(IT), 자동차에 공급되는 중소형 패널 판매 확대로 전 분기 대비 매출이 개선됐다.
2분기 실적은 기대 이하였지만 삼성전자는 하반기 회복에 대한 자신감을 드러냈다. 불안한 무역 환경과 글로벌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수요 부진은 악재지만 인공지능(AI)과 로봇 혁명이 촉발한 IT 시황 개선이 성장을 이끈다는 것이다. 박순철 삼성전자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이날 실적 설명회에서 “2분기를 저점으로 하반기 반등하는 ‘상저하고’ 모습을 예상한다”고 밝혔다.
특히 전사 실적을 좌우하는 반도체 부문에서 기대해볼 만하다는 평가가 안팎에서 나온다. AI 서버 투자가 확대되고 기기에 탑재하는 온디바이스 AI 확산 흐름에 발맞춰 삼성전자는 HBM과 서버향 저전력더블데이터레이트5X(LPDDR5X) 등 고용량·고성능 제품 공급에 집중할 계획이다.
1분기 주춤했던 HBM도 하반기 확실한 성장 모멘텀이 예상된다. 김재준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 부사장은 “2분기 HBM 판매량은 전 분기 대비 비트 기준 30% 수준 증가했으며 전체 HBM 수량 중 HBM3E가 차지하는 비중은 80%까지 확대됐다”며 “하반기에는 HBM 사업 정상화를 목표로 상반기보다 HBM3E 판매량을 상당 수준 증대시킬 것”이라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하반기 HBM3E 비중이 90% 후반을 웃돌 것으로 전망했다.
최근 테슬라와 22조 8000억 원 규모의 대형 계약을 맺으며 분위기를 탄 파운드리 사업부도 하반기 대형 고객사 확보에 매진하고 갤럭시 S26 탑재를 노리는 엑시노스 2600 생산 안정성 확대에 역량을 쏟아 턴어라운드를 노린다는 계획이다. 노미정 삼성전자 파운드리사업부 상무는 “테슬라 계약은 당사의 선단 경쟁력을 입증한 계기”라고 강조했다. 대형 고객 수주 등 실적 개선세가 뚜렷해지면서 내년 가동 예정인 미국 테일러 신규 공장에 대한 투자도 속도를 낸다. 노 상무는 “내년 설비투자(CAPEX) 규모가 늘어날 것”이라고 설명했다.
초슬림 폴더블폰 갤럭시 Z폴드와 플립7도 선전하고 있다. 외신에 따르면 미국 시장에서 갤럭시 Z폴드7 판매량이 전작 대비 1.5배 높은 수치를 기록하며 뜨거운 반응을 얻고 있다. 블룸버그는 이에 대해 “이 카테고리(폴더블 폰)가 소비자들 사이에서 모멘텀을 구축하고 있다는 신호”라고 평했다. 다니엘 아라우조 삼성전자 MX사업부 상무는 “시장에서 강력한 반응을 얻고 있다”며 “확장현실(XR) 헤드셋과 트라이폴드를 연내 출시해 기술 리더십을 확대할 것”이라고 말했다.
AI와 헬스케어·로봇 등 급변하는 기술 흐름에 맞춘 성장 기반도 강화한다. 삼성전자는 올해 상반기 미래 기술 확보를 위해 약 40개 업체에 1억 2000만 달러 이상을 투자했다. 상반기 기준 역대 최대 벤처 투자 규모다. 인수합병(M&A)도 이어간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기존 사업의 경쟁력 강화뿐 아니라 급변하는 글로벌 기술 트렌드에 적극 대응해 AI·공조·로봇·전장·핀테크·부품 등 다양한 신성장 분야에서 기술 리더십을 확보하기 위해 다양한 후보 업체들을 검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