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미국 증시가 눈에 띄는 주도 섹터 없이 ‘밈’ 주식만 급등락하는 장세가 이어지고 있다. 기업 펀더멘털과 무관하게 증시가 움직이는 투기적 거래가 늘어나는 만큼 미국 증시의 변동성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28일 금융투자 업계에 따르면 미국 증시에서 대표적인 밈 주식으로 꼽히는 부동산 플랫폼 기업 오픈도어(티커명 OPEN)의 한 달 주가 상승률은 379.3%를 기록했다. 오픈도어와 함께 ‘DORK’로 불리는 크리스피크림(DNUT)·로켓컴퍼니스(RKT)·콜스(KSS) 등도 5.8~51.9% 오르면서 시장 상승률을 크게 상회했다.
밈 주식은 기업 펀더멘털과 무관하게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을 통해 매수가 이뤄지는 종목을 말한다. ‘DORK’도 ‘얼간이’라는 뜻을 가진 미국 속어로 온라인 주식 커뮤니티 등에서 밈으로 활용되자 주가 변동성이 확대됐다.
SNS에서 화제가 된 주식만 골라 운용하는 ‘반에크 벡터 소셜 센티멘트 상장지수펀드(BUZZ ETF)’도 최근 한 달 상승률이 7.03%로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상승률(2.96%)을 두 배 웃돌았다. 올해 4월 저점 이후로는 66% 급등한 상태다.
DORK로 대표되는 밈 주식들은 인공지능(AI) 등 미래 성장 산업과 무관할 뿐만 아니라 시장 주목도가 높지 않다는 공통점을 가진다. 실적이 좋지 않고 공매도 비중이 높은 종목을 중심으로 개인투자자들의 매수세가 집중되면서 주가가 큰 폭으로 올랐다가 하락하는 등 변동성이 크게 나타나는 것이다.
투자 업계에서는 미국 증시가 꾸준히 상승하면서 고평가 부담이 커지자 엔비디아 등 M7과 같은 대형 종목이 아닌 주가 변동성이 큰 종목에 대한 투기적 수요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 있다. 밈 주식이 유행하는 현상 자체가 증시 고점을 가리키는 신호라는 것이다. 2021년 게임스톱 사태 당시에는 밈 주식이 일부 종목에 한정됐으나 최근에는 대상이 넓어지면서 시장 분위기를 주도하고 있다.
골드만삭스에 따르면 ‘투기적 거래 지표’도 1998~2001년 닷컴 버블, 2020~2021년 팬데믹 버블을 제외하고 가장 높은 수준이다. 해당 지표는 동전주와 수익이 나지 않는 기업 등의 거래량을 측정해 산출하는 지수다. 금융투자 업계의 한 관계자는 “밈 주식이 재등장한 것은 미 증시가 평균 이상의 수익률을 기록하다가 큰 조정을 겪는 사이클이 반복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라며 “출구 전략을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