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성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후보자가 중소기업 인공지능(AI) 생태계 조성과 소상공인의 디지털 전환을 최우선 과제로 제시했다.
한 후보자는 15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인사청문회에서 "중소기업이 인공지능(AI) 생태계의 주역이 되도록 하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한 후보자는 “민간에서 쌓아온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중소·벤처·소상공인의 성장 기반 조성에 최선을 다하겠다”며 "많은 스타트업들이 제조 AI 사업에 도전해 제조 기업에 필요한 솔루션과 데이터를 제공하는 스마트 제조 혁신 생태계 조성에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제조기업의 스마트화, 제조 솔루션기업 육성, 제조데이터 기반 인프라 구축 근거를 담은 '스마트 제조산업 혁신법'을 제정하겠다는 계획이다.
소상공인의 경영 부담 완화과 디지털 전환도 약속했다. 내수를 활성화하는 한편 폐업한 소상공인들을 위한 사업 정리, 재취업 교육 등 회복 지원 프로그램을 마련하겠다는 구상이다. 한 후보자는 "온라인·모바일 플랫폼 등 디지털 환경을 적극 활용해 성장할 수 있도록 돕겠다"며 "비용 효율화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사업 데이터를 확보하고 해석해 새로운 성장의 기회를 찾아내는 수준까지 데이터 활용력을 올리겠다"고 말했다.
공정한 시장 질서 확립도 약속했다. 불공정 거래나 기술 탈취로 피해 받은 기업들을 구제하고 납품대금 연동제가 안착할 수 있도록 정부와 민간의 협력을 강화하겠다는 것이다.
국내 벤처 투자 시장에 대해서는 "스케일업 된 상태에서 한 1조원의 가치가 있는 회사가 됐을 때 국내에서 투자를 받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해외 투자자들의 투자를 받고, 엑시트할 만한 툴도 없다"고 진단했다.
이어 한 후보자는 "AI 스타트업의 경우 규제가 풀린다면 지방에 가서도 창업을 할 의사가 있다는 얘기를 한다"며 "AI기본법이 제정됐지만 데이터 확보도 어려운 상황이고, 지역 펀드 조성이나 인재 확보 등의 부분을 어떻게 보강할 것인지 검토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인수합병(M&A) 활성화에 대한 의지도 밝혔다. 한 후보자는 "집안에 아이가 생기면 새로운 활력이 생기는 것처럼 새로운 기업들이 많이 나와야 사회에 활력이 나타난다"며 "젊은이들이나 퇴직자들의 열정을 지지하고 성장하도록 지켜봐 주는 게 중요하다. 정부는 그들이 움직이고 놀 수 있도록 행정·정책 지원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한 후보자는 티메프 사태와 관련해 "정산 주기를 단축해야 하는 부분들이 보인다"며 "전자지급결제대행업자(PG)의 재정건전성 관련 부분은 관계부처들과 챙기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