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스바겐의 본사 소재지이자 독일 자동차 산업의 심장으로 통하는 볼프스부르크. 지난달 28일(현지 시간) 방문한 이곳에서는 독일 1위 자동차 도시다운 활기를 느끼기 어려웠다. 중심 상업지구인 포르쉐거리 곳곳에는 문을 닫은 상가들이 눈에 띄었고 시가 운영하는 연방고용지원센터 앞에는 일자리를 잃은 시민들이 길게 늘어서 있었다. 이곳에서 만난 에르판 자마니 씨는 “올해 초 폭스바겐에서 해고됐다”며 “월세 650유로(약 104만 원)를 내기도 힘들어 지금 할 수 있는 건 신에게 기도를 하는 것뿐”이라고 말했다.
한때 히든챔피언의 나라로 불렸던 독일의 제조업이 이처럼 후퇴한 배경에는 에너지 경쟁력 저하가 있다.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액화천연가스(LNG) 가격이 급등하며 전기요금이 뛰었고 2023년에는 마지막 원전까지 가동을 중단하며 고(高)비용 에너지 구조가 제조업 전체를 흔들었기 때문이다. 끝없는 경기 부진 속에 올해 2월 총선에서는 극우 ‘독일을위한대안(AfD)’이 원내 제2당으로 떠오르며 정치 판도까지 재편되고 있다.
독일의 실패를 지켜본 유럽의 주요 국가들은 탈(脫)원전 기조를 포기하고 잇달아 원전 확대를 선언하고 있다. 세계원자력협회(WNA)에 따르면 올 6월 기준 현재 유럽에서 건설 중이거나 추진 중인 원자력발전소는 총 36기에 달한다. 네덜란드 기후정책녹색성장부 관계자는 “유럽에서 원자력을 바라보는 시각이 상당히 많이 바뀌고 있다”며 “유럽에서는 이를 ‘핵 르네상스’라고 부른다”고 말했다.
실제 2023년 프랑스 주도로 결성된 원자력 동맹에는 체코·네덜란드·벨기에 등 EU 회원국 중 14개국이 참여하고 있다. 전체 회원국(27개국)의 절반 이상이 원자력을 탄소 중립 에너지의 핵심 수단으로 활용하자는 데 동의했다는 의미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