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오션(042660)이 해양수산부에서 추진하는 차세대 쇄빙연구선 건조 사업에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고 1일 밝혔다.
차세대 쇄빙연구선은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부설 극지연구소에서 극지항해와 연구를 위해 사용된다. 오는 7월 본 계약 체결 뒤 설계에 들어가 2029년 12월까지 건조한다. 총 톤수 1만6560톤으로 기존 국내 유일 쇄빙선인 아라온호(7507톤)의 두 배가 넘는다. LNG 이중연료 전기추진체계를 탑재하고, 1.5m 두께의 얼음을 깨고 나아갈 수 있는 PC(폴라 클래스) 3급의 양방향 쇄빙 능력을 갖췄다. 영하 45도를 견딜 수 있게 설계해 극한의 조건에서도 연구와 휴식이 가능하다.
우리나라는 첫 쇄빙연구선 아라온호를 2009년 건조해 독자적으로 남·북극해 연구를 수행해왔다. 하지만 극지방 환경 변화로 연구 범위가 확대되고 친환경 규제가 강화되면서 후속 쇄빙연구선에 대한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됐다.
한화오션은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쇄빙 LNG운반선을 건조 실적을 가지고 있다. 2008년부터 북극항로에 대한 가능성을 내다보고 극지용 선박 개발을 시작하는 등 쇄빙선 건조 기술력을 쌓아왔다. 2014년 15척, 2020년 6척 등 총 21척의 쇄빙 LNG운반선을 수주해 성공적으로 건조했다. 한화오션 관계자는 “차세대 쇄빙연구선은 아라온호와는 차별화된 ‘완전히 새로운 쇄빙 연구 플랫폼’을 지향한다”며 “글로벌 톱티어 조선소인 한화오션의 핵심역량을 집중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화오션은 차세대 쇄빙연구선 건조 사업을 계기로 향후 쇄빙선 분야를 미래 성장동력의 하나로 키워나간다는 방침이다. 북극 해빙이 예상보다 빠르게 진행되면서 북극은 단순히 새로운 뱃길이 아닌 자원, 물류, 기술 경쟁의 장이 되고 있다. 한화오션 제품전략기술원은 최근 산업통상자원부 국책과제인 ‘북극 고위도 연중 운항이 가능한 세계 최고 수준의 PC 2급 쇄빙선 개발’ 과제도 수주했다.
김호중 한화오션 특수선사업부 상무는 “검증된 세계 최고 쇄빙 기술력으로 이번 차세대 쇄빙연구선 건조 사업에 전력을 다할 것”이라며 “쇄빙선 수요가 커지고 있는 미국 측에도 한화오션의 쇄빙선 건조 역량을 확실히 보여줄 수 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