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픽처리장치(GPU) 3만 장 규모의 국가 인공지능(AI) 인프라가 제역할을 하려면 해외 빅테크보다 저렴하게 공급하는 게 관건이라는 전문가 제언이 나왔다. 정부가 국산 인프라를 통해 국내 AI 기업들의 빅테크 의존도를 낮춘다는 취지를 살리려면 실질적으로 기업들이 부담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재정 지원을 병행해야 한다는 것이다.
구현모 한국과학기술원(KAIST) 겸임교수(전 KT 대표)는 14일 서울 영등포구 국회에서 열린 한국공학한림원·국회미래연구원 정책토론회에 참석해 “지금도 국내 기업들이 아마존웹서비스(AWS) 같은 민간 인프라를 쓸 수 있는데 정부가 ‘국가AI컴퓨팅센터’의 이용료를 높게 받으면 의미가 없다”며 “GPU를 구축하는 게 다가 아니고 이용 접근성을 높여 실제로 민간이 쓸 수 있게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용료를 낮추기 위해 정부의 재정 지원이 필요하다”고 했다.
정부는 국내 AI 모델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2030년까지 GPU 3만 장 규모의 국가AI컴퓨팅센터를 구축할 계획이다. 하지만 AWS·오픈AI 같은 빅테크 주도로 민간 AI 인프라가 확대되고 있어 공공 인프라인 국가AI컴퓨팅센터는 이용료 할인 등 정부의 추가 지원책으로 가격 경쟁을 따라가지 못하면 무용지물이 될 수 있다는 게 구 전 대표의 생각이다.
빅테크는 전 세계 다수의 고객사를 바탕으로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고 있기 때문이다. 일례로 오픈AI는 올해 20조 원으로 기대되는 매출 성장에도 챗GPT 무료 제공 등으로 2029년까지 적자를 이어갈 전망이다. 구 전 대표는 “국내에서 이를 감당할 수 있는 기업은 없다”며 “정부와 민간이 협력하지 않으면 (가격 경쟁력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정부의 GPU 확보가 전 세계적 수요 급증으로 가격이 오른 이후 비교적 늦게 시작된 것도 국가AI컴퓨팅센터의 경쟁력을 떨어뜨리는 요인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