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부동산R114 자료에 따르면 1분기 전국에 분양한 일반분양 물량은 총 1만 2358가구로 3만 5215가구를 기록한 전년 동기에 비해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이는 2009년(5682가구) 이후 16년 만에 가장 적은 수준이다.
올해 1월 전국에서 5947가구가 분양되며 전월(1만 2316가구) 대비 절반 이하로 줄어든 아파트 분양 물량은 2월에 2371가구 분양되며 다시 절반 넘게 줄었다. 3월에는 4040가구로 소폭 증가했지만, 이조차도 2월을 제외하면 2023년 2월 이후 약 2년 새 최저치다.
경기도도 올해 1월에는 388가구 분양에 그쳐 전월(4829가구) 대비 10분의 1에도 미치지 못했다. 2월에도 726가구만이 분양된 가운데 3월에는 65가구까지 감소하며 약 13년 만에 가장 적은 물량을 기록했다. 경기도의 1분기 총 분양 물량은 1179가구로 1000가구를 간신히 넘겼다.
서울은 2월에 482가구를 분양한 것이 1분기 분양물량의 전부다. 경남, 전남, 제주는 같은 기간 단 한 가구도 공급되지 않았다. 충남이 전국 1분기 전체 물량의 약 27%에 달하는 3330가구로 가장 많이 공급됐고, 1703가구를 분양한 전북이 그 뒤를 이었다. 1000가구 이상 물량을 공급한 것은 충남, 전북, 경기 3곳뿐이다.
‘역대급’ 공급 감소에 전월세 시장이 크게 요동칠 전망이다. 특히 수도권 물량이 대폭 감소하면서 새 아파트 품귀 현상에 전세 가격 상승세가 예상된다. 앞서 전날 KB 통계에 따르면 올해 3월 서울 아파트 면적 3.3㎡당 전세 평균 가격은 2519만 원으로 집계됐다. 1년 전(2348만 원)보다 171만 원 오른 가격으로, 2022년 11월 관련 통계 개편 이후 최고치다. 이는 경기 지역의 평당 매매 평균 가격인 2260만 원을 웃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