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3분기 한국 경제가 2분기보다 0.1% 성장하는 데 그쳤다. 수출이 역성장하면서 반등 폭이 시장의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건설투자 부문은 지난달 발표한 속보치보다 0.8%포인트 이상 줄며 성장률 개선에 발목을 잡았다.
한국은행은 3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잠정치)이 0.1%로 집계됐다고 5일 밝혔다. 지난달 발표한 속보치와 같으며 2분기 역성장 이후 플러스 성장세를 나타냈다. 분기 성장률은 2023년 1분기부터 올해 1분기까지 다섯 분기 연속 플러스 성장 기조를 유지하다 2분기 -0.2%로 고꾸라졌다.
3분기 성장률을 부문별로 살펴보면 수출과 건설투자의 역성장이 두드러진다. 수출은 자동차·화학제품 등을 중심으로 0.2% 감소세를 나타냈다. 건설투자도 건물 건설 중심으로 3.6% 줄었다. 지난해 4분기(-3.8%)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수입은 기계·장비 등을 위주로 1.6% 증가했고, 민간 소비도 재화와 서비스 부문에서 모두 늘면서 0.5% 성장했다. 설비투자 역시 반도체 제조용 장비 등 기계류와 항공기 등 운송 장비 중심으로 6.5% 증가했다. 정부 소비도 건강보험 급여비 등 사회보장 현물 수혜 등의 영향으로 0.6% 늘었다. 지난달 내놓은 속보치와 비교하면 건설투자(-0.8%포인트)와 설비투자(-0.4%포인트)는 하향 조정됐다. 반면 수출(+0.2%포인트)과 수입(+0.1%포인트)은 상향됐다. 이는 속보치 추계 시 포함하지 못한 분기 최종월의 일부 실적치 자료가 반영된 영향이다.
3분기 성장률에 대한 기여도를 보면 순수출(수출-수입)이 -0.8%포인트를 나타냈다. 1%포인트 가까이 성장률을 깎아내린 셈이다. 내수는 성장률을 0.8%포인트 끌어올렸는데 설비투자(+0.6%포인트)와 민간 소비(+0.3%포인트)가 개선된 영향 덕분이다. 반면 건설투자는 경제성장률을 0.5%포인트 위축시켰다.
실질 국민총소득(GNI)은 2분기보다 1.4% 증가했다. 2분기 GNI가 1.4% 감소한 것을 고려하면 국민소득은 사실상 제자리걸음인 셈이다. 3분기 실질 GNI가 증가한 것은 실질무역손실이 교역 조건 개선으로 줄었기 때문이다. 3분기 실질무역손실은 14조 2000억 원으로 2분기(16조 6000억 원)보다 2조 4000억 원 줄었다.
3분기 성장률이 0.1%로 잠정 집계되면서 올해 성장률 목표를 달성하려면 4분기 0.5% 이상의 성장이 필요하게 됐다. 수출 불확실성이 커졌고 계엄 선포·해제에 따른 단기 영향도 무시하기 어렵지만 충분히 달성 가능하다는 평가다. 강창구 한은 경제통계국 국민계정부장은 “3분기는 자동차 수출이 파업 등의 영향으로 감소했고 화학 부문이 중국 수요 부진의 영향을 받았다”며 “10월 반도체 물량 수출이 플러스로 전환했지만 구조적 문제가 해결된 것이 아니어서 조금 더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어 “올해 3분기까지 누적 성장률이 2.3%인 만큼 4분기 성장률이 0.5% 이상이면 연간 성장률 2.2% 성장률 달성은 가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