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은퇴와 투자] 유족연금에 대해 궁금한 3가지

김동엽 미래에셋은퇴연구소 상무

①자식 사망시, 유족연금은 누가 받나

②재혼한 배우자가 사망시, 유족연금은?

③본인 연금과 유족연금을 모두 받을 수 있을까

배우자 사망하면 국민연금 60% 받을 수 있으나

본인 연금 포기해야…더 많은 쪽 선택이 유리

김동엽 미래에셋은퇴연구소 상무




얼마전 소방관으로 일하다 순직한 딸의 유족연금 수급권을 두고 소송이 발생했다. 이혼하고 32년만에 나타난 친모가 딸의 유족연금 수급권을 가져갔기 때문이다. 그러자 화가 난 유족이 친모에게 양육비 반환소송을 제기한 것이다. 이번 일을 계기로 유족연금을 받을 권리가 누구에게 있느냐고 묻는 사람이 늘어났다.

자식이 사망하면 유족연금 누가 받나?
공무원연금을 받을 권리가 있는 사람이 사망하면 연금의 60%에해당하는 금액을 유족연금으로 지급한다. 문제는 유족연금을 누가 받느냐 하는 점이다. 유족의 범위에는 배우자, 자녀, 부모, 손자녀, 조부모가 해당되는데, 이들 중 민법상 상속 순위가 빠른 사람이 유족연금을 받는다. 따라서 1순위는 자녀, 2순위는 부모에게 수급권이 돌아간다. 배우자는 자녀 또는 부모와 같은 순위 수급권자가 된다. 사망한 공무원에게 배우자와 자녀가 없으면, 부모가 유족연금을 수령하게 된다. 부모가 이혼을 했더라도 마찬가지다.



유족 중에 같은 순위인 사람이 2명 이상이면 유족연금을 똑같이 나누어 받는다. 다만 자녀는 19세까지만 유족연금을 받을 수 있다. 배우자가 재혼해도 유족연금 수급권이 상실된다. 이렇게 상실된 수급권은 동순위자에게 이전되고, 같은 순위자가 없으면 다음 순위자에게 넘어간다. 예를 하나 들어보자. 사망한 공무원 A씨의 유족에게 매달 120만원씩 유족연금이 지급된다고 해 보자. A씨에게는 부모와 배우자, 자녀가 2명(17세, 15세) 있었다. 이때 1순위 수급권자는 배우자와 자녀 2명이다. 이들 셋이 120만원을 똑 같이 나눠 40만원씩 나눠 받는다. 첫째 자녀가 19세가 되면, 배우자와 둘째 자녀가 첫째 몫을 나눠 받고, 둘째도 19세가 되면 배우자가 둘째 몫도 받는다.

국민연금은 어떨까? 국민연금은 사망자의 기본연금의 40~60%에 해당하는 금액을 유족연금으로 지급한다. 수급 순위는 공무원연금과 차이가 난다. 일단 사망자에게 배우자가 있으면 배우자가 단독으로 유족연금을 수령한다. 배우자가 없으면 25세 미만 자녀, 60세 이상 부모, 19세 미만 손자녀, 60세 이상 조부모 순으로 유족연금이 지급된다. 다만 (손)자녀와 (조)부모가 장애등급 2급이상이면 나이와 상관없이 유족연금을 받을 수 있다.

재혼한 배우자가 사망시, 유족연금은?
황혼 재혼이 늘어나면서, 재혼한 배우자가 사망했을 때 유족연금 수급 자격에 대한 질문도 많다. 국민연금은 재혼 시기에 상관없이 사망 당시 혼인관계에 있던 배우자에게 유족연금을 지급한다. 이때 사실혼 관계의 배우자도 유족연금을 수령할 수 있다.



공무원연금도 사실혼관계를 포함해 사망 당시 혼인관계에 있는 배우자에게 유족연금을 지급한다. 여기까지는 국민연금과 같다. 차이점은 ‘혼인 시기’다. 국민연금과 달리 공무원연금에서는 재직 당시에 혼인한 배우자만 유족으로 인정한다. 퇴직하고 결혼한 배우자는 유족연금을 받을 수 없다. 다만 1995년 12월 31일 이전에 혼인했다면, 퇴직하고 결혼했더라도 유족으로 인정 받을 수 있다. 사학연금도 같은 방법으로 유족연금 지급하지만, 군인연금은 다르다. 퇴직한 다음이라도 60세 이전에 혼인했다면 배우자(사실혼 포함)를 유족으로 인정한다. 혼인 시기가 1995년 12월 31일 이전이면, 61세 이후에 결혼했더라도 유족으로 인정 받을 수 있다.

본인 연금과 유족연금 모두 받을 수 있나?
요즘은 은퇴자들 중에 부부가 함께 공적연금을 받는 사례가 많다. 그런데 부부 중 한 사람이 먼저 사망하면 어떻게 될까? 유족연금과 본인 연금을 함께 받을 수 있을까? 연금수령 방법과 금액은 부부가 가입한 연금 종류에 따라 다르다.



먼저 부부가 모두 국민연금에 가입한 경우부터 살펴보자. 이 경우에는 사망한 배우자의 유족연금을 선택하면 본인의 노령연금은 받을 수 없다. 반대로 유족연금을 포기하면, 포기한 유족연금액의 30%를 본인 노령연금에 더해 수령하게 된다.

예를 들어 노령연금으로 남편이 150만원, 아내가 50만원을 받고 있던 부부가 있다고 치자. 부부가 모두 국민연금에 가입해 20년 이상 보험료를 납부했다. 남편이 사망하면 유족연금으로 90만원(150만원의 60%)이 나온다. 이때 아내는 자기 노령연금보다 많은 유족연금을 선택할 것이다. 반대로 아내가 먼저 사망하면, 남편이 받을 수 있는 유족연금은 30만원(50만원의 60%)이다. 남편은 자신의 노령연금에 한참 못 미치는 유족연금을 포기할 것이다. 이 경우 포기한 유족연금액의 30%(9만원)를 자기 노령연금에 보태서 매달 159만원의 연금을 수령하게 된다.

본인은 국민연금, 배우자는 공무원연금에 가입하고 있다면, 어떻게 될까? 이 경우 배우자가 먼저 사망하면 본인 노령연금과 배우자 유족연금을 모두 받을 수 있다. 본인 먼저 사망해도 마찬가지다. 이번에는 본인과 배우자가 모두 공무원연금 또는 사학 연금에 가입한 경우를 살펴보자. 이 경우 배우자가 사망하면, 본인 연금은 그대로 받고 배우자의 유족연금은 절반만 받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경 마켓시그널

헬로홈즈

미미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