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쏘시오홀딩스의 자회사 에스티팜이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자체개발 중인 대장암치료제 신약의 임상 1상 계획을 신청했다. 에스티팜은 대장암 환자 외에도 비소세포성폐암, 유방암 등의 환자를 대상으로도 임상시험을 진행해 적응증을 확장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28일 에스티팜에 따르면 신약 ‘STP1002’는 텐키라제(Tankyrase) 효소를 저해함으로써 암세포의 성장을 막는 혁신신약(first-in-class) 대장암치료제다. 기존 대장암치료제인 얼비툭스(Erbitux)에 치료효과를 보이지 않고, 전체 대장암 중 약 65%를 차지하는 대장암유발유전자(KRAS) 돌연변이 대장암을 치료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STP1002는 대장암환자 유래 암세포를 이식한 동물시험 모델을 활용해 실시한 4주 반복 전임상 독성시험에서 유의한 독성과 부작용이 나타나지 않았다고 에스티팜은 전했다. 유효성 평가에서는 49~70%의 TGI(암세포성장억제)가 나타나 탁월한 효과가 확인됐다. 이밖에 경구제로 개발돼 복용 편의성이 높다고 회사는 덧붙였다. 현재 얼비툭스나 아바스틴(Avastin) 등 기존 항암제는 주사제 형태다.
관련기사
에스티팜은 허정녕 한국화학연구원 박사팀과 2014년부터 2년간의 공동연구를 통해 신약후보물질 STP1002를 도출했으며, 지난 2015년에는 범부처신약개발사업단의 연구과제로 선정돼 전임상 연구에 대한 지원을 받았다.
한편 에스티팜은 대장암치료제 STP1002 외에 에이즈치료제 STP0404, 비알콜성지방간염(NASH)치료제, 염증성장질환치료제, 인플루엔자바이러스치료제 등 8개의 First-in-class신약 파이프라인을 보유 중이며, 올해 말까지 에이즈치료제 STP0404의 유럽 임상1상 IND(임상계획승인) 신청도 진행할 예정이다.
/박홍용기자 prodigy@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