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세 이상 성인 10%는 이 병이라는데…
당뇨병학회 “성인 10명 중 1명이 당뇨병”30~44세 46%는 자신이 당뇨병인지도 몰라
위 사진은 기사 내용과 상관 없음
우리나라 30세 이상 성인 10명 중 1명은 당뇨병 환자라는 통계가 나왔다. 대한당뇨병학회가 8일 내놓은 ‘2012 한국인 당뇨병 연구 보고서’를 보면 2010년 기준으로 국내 만 30세 이상 성인 인구의 당뇨병 유병률은 10.1%였으며, 당뇨병 전단계인 공복혈당장애 유병률은 19.9%에 달했다.
성인 10명 중 1명은 현재 당뇨병 상태이고, 10명 중 2명은 ‘잠재적 당뇨병’ 단계로 볼 수 있는 셈이다. 당뇨병에 공복혈당장애 유병률을 합산하면 한국인 10명 중 3명이 고혈당 위협에 노출됐다는 분석도 가능하다.
연령별로는 비교적 젊은 30~44세에서 당뇨병과 공복혈당장애 유병률이 18.4%로 가장 낮았으며 중년층(45~64세) 34.7%, 장년층(65세 이상) 47.4% 등으로 나이가 많아질수록 유병률이 높아지는 특징을 보였다.
문제는 이런 당뇨병이 향후 폭발적으로 더 늘어날 수 있다는 점이다. 학회는 보고서에서 연도별 당뇨병 유병률이 2001년 8.6%에서 2010년 10.1%로 증가한 추세를 볼 때 2050년에는 당뇨병 환자가 591만명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현재 대비 약 2배로 증가(183%)한 수치다.
당뇨병 대란이 이처럼 현실화하고 있지만 본인이 당뇨병 환자라는 사실을 알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당뇨병 인지율’이 아주 낮은 점도 문제로 지적됐다. 학회의 조사 결과 본인이 환자임에도 그 사실을 모르는 비율이 27%에 달했는데, 특히 30~44세 사이에서는 이 같은 비율이 46%나 됐다.
이번 보고서에는 당뇨병 환자의 75%가 과체중 또는 비만이라는 분석도 담겼다. 특히 당뇨환자의 복부비만율은 여성이 56%, 남성 41%로 조사됐다. 이는 1980~90년대 당뇨병 환자가 이른바 마른 당뇨로 알려진 ‘非비만형’이 많았던 데 비해 점차 서구형인 ‘비만형 당뇨병’으로 변해가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온라인뉴스부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