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 앱러빈·로빈후드, S&P500 입성…밈주식 열기 달아오른다
    앱러빈·로빈후드, S&P500 입성…밈주식 열기 달아오른다
    정책 2025.09.08 18:25:49
    미국 젊은 투자자를 중심으로 뜨거운 관심을 받는 앱러빈과 로빈후드 등 신규 테마주들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편입이 확정됐다. 팰런티어·앱러빈·로빈후드·코인베이스 등 차세대 테마주로 구성된 ‘파크(PARC)’가 떠오른다는 분석에도 힘이 실리고 있다. 8일 S&P 다우존스 인덱스는 분기별 리밸런싱 결과 앱러빈(티커명 APP), 로빈후드(HOOD), 엠코그룹(EME) 등이 이달 22일부터 S&P500에 편입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대신 마켓액세스홀딩스(MKTX), 시저스엔터테인먼트(CZR
  • 금투업계 만난 이찬진 “먹튀 없게 해야” 경고…투자자 보호 거듭 강조
    금투업계 만난 이찬진 “먹튀 없게 해야” 경고…투자자 보호 거듭 강조
    정책 2025.09.08 18:07:29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취임 후 처음으로 금융투자회사 최고경영자(CEO)들을 만나 내부통제 강화에 기반한 투자자 보호와 모험자본 공급을 통한 생산적 금융 활성화를 당부했다. 이 원장은 8일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국내 26개 증권사·자산운용사 CEO들과 간담회를 열고 “소위 ‘먹튀(먹고 튀다)’가 없도록 해주면 좋겠다”고 경고했다. 해당 발언은 이날 이 원장의 메시지 중 유일하게 모두발언 원고에 없었던 내용으로 금융투자자 보호를 위해 금융투자회사들이 내부통제와 성과 보상 체계를 근본적으로 혁신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 [투자의 창] 흔들리는 장기금리와 주식시장
    [투자의 창] 흔들리는 장기금리와 주식시장
    정책 2025.09.08 17:58:52
    선진국 장기금리가 가파르게 오르고 있다. 영국 30년물은 27년 만에, 프랑스는 2011년 이후 최고치이며 일본은 발행 이래 최고다. 이들 국가는 일본 205%, 프랑스 107%, 미국 106% 등 국내총생산(GDP) 대비 부채 비율이 100%대를 넘고, 인플레와 정치 불안이 맞물리며 재정 우려가 커지고 있다. 사실 일본과 유럽의 재정 우려는 어제 오늘 일이 아니나 올해 더 부각되는 것은 물가와 정치 때문이다. 영국과 일본 인플레는 코로나19 이후 떨어지지 않고 있다. 여기에 정치적 혼란도 가중되고 있다. 일본은 참의원 선거 패배
  • 한국거래소, '기업가치 제고계획 공시 활성화' 실무 간담회 개최
    한국거래소, '기업가치 제고계획 공시 활성화' 실무 간담회 개최
    정책 2025.09.08 17:05:22
    한국거래소가 8일 기업가치 제고(밸류업) 계획 공시 활성화를 지원하기 위해 이날부터 4차례에 걸쳐 실무 간담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거래소에 따르면 지난해 5월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시행 후 현재까지 총 162개사가 기업가치 제고 계획 공시에 참여했다. 코스피 시가총액 절반에 가까운 기업이 공시에 참여(49.8%)하고 있지만, 자본시장 활성화를 위해서는 중견·중소기업을 포함한 전체 상장사의 적극적인 참여 확대가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상장기업, 해외 투자자 등과 밀접하게 소통하는 회계·컨설팅법인, 법무법인,
  • 이찬진 “CEO가 투자자 보호 챙겨야…모험자본 공급은 선택 아닌 존재 이유”
    이찬진 “CEO가 투자자 보호 챙겨야…모험자본 공급은 선택 아닌 존재 이유”
    정책 2025.09.08 13:46:00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국내 증권사와 자산운용사 최고경영자(CEO)들에게 금융투자자 보호를 주도하고 모험자본 공급에 힘써달라고 요청했다. 이 원장은 8일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26개 증권사·자산운용사 CEO들과 간담회를 열고 “그간 금융투자산업은 도전적이고 생산적인 투자보다 상대적으로 안전하고 비생산적 영역 투자에 치중한 측면이 있다”며 다섯 가지 사안을 당부했다. 우선 이 원장은 앞서 은행장, 보험사 CEO들과 만났을 때와 마찬가지로 증권·운용사 CEO들에게도 가장 먼저 금융투자자 보호를 최우선에 둬
  • 금감원 노조 “금소원 신설로 소비자 보호 훼손…자리 나누기식 개편”
    금감원 노조 “금소원 신설로 소비자 보호 훼손…자리 나누기식 개편”
    정책 2025.09.08 11:00:33
    금융감독원 노동조합이 금감원 내 금융소비자보호처를 금융소비자보호원으로 분리·신설하고 금감원과 금소원을 공공기관으로 지정하기로 한 금융감독 체계 개편안에 대해 “소비자 보호에 역행하는 조치”라고 반대 입장을 냈다. 금감원 노조는 8일 성명서를 통해 금소원 신설과 관련해 “소비자 보호는 강화되기는 커녕 오히려 심각히 훼손될 것”이라며 “소비자는 제도 개편의 피해자가 되고 실질적 권익은 약화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금융회사 건전성 감독과 소비자보호 기능을 기계적으로 분리하면 감독 기능 간 충돌, 감독·검사와 소비
  • 이찬진 “금융감독 개편 매우 안타까워…직원 처우 개선 노력할 것”
    이찬진 “금융감독 개편 매우 안타까워…직원 처우 개선 노력할 것”
    정책 2025.09.08 10:31:47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금감원 내 금융소비자보호처를 금융소비자보호원으로 분리·신설하고 금감원과 금소원을 공공기관으로 지정하기로 한 정부조직 개편안에 대해 “결과적으로 매우 안타깝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 원장은 8일 금감원 직원들에게 내부 공지를 통해 “금감원 임직원이 그간 금융소비자 보호 등을 위해 헌신적으로 일해왔던 만큼 동(同) 개편 방안에 대해 걱정과 우려가 매우 클 것이라 생각한다”며 이같이 알렸다. 이 원장은 “저를 포함한 경영진과 금감원 대다수 임직원은 감독체계 개편이 합리적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다방면으로
  • 딜로이트 “코스피200 기업 중 ‘이사회 역량 진단표’ 체계 활용은 26%뿐”
    딜로이트 “코스피200 기업 중 ‘이사회 역량 진단표’ 체계 활용은 26%뿐”
    정책 2025.09.08 09:34:45
    국내 주요 기업들이 이사회 구성의 적정성을 평가하는 ‘이사회 역량 진단표(BSM)’를 공시하는 기업들이 늘어나고 있으나 체계적으로 활용하는 곳은 4곳 중 1곳에 불과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8일 한국 딜로이트 그룹 기업지배기구발전센터(CCG)가 발표한 ‘기업지배기구 인사이트’에 따르면 지난해 회계연도 기준으로 ‘코스피 200’ 기업 가운데 BSM을 공시한 기업은 141개사로 집계됐다. BSM은 이사회 구성, 역량, 다양성 정보를 시각화해 이사회 운영 적정성을 진단할 수 있는 도구다. 법적 의무사항은 아니지만 이사회 역량을 한 눈에 파
  • 한투운용, AA- 이상 우량 회사채 투자하는 액티브 ETF 출시
    한투운용, AA- 이상 우량 회사채 투자하는 액티브 ETF 출시
    정책 2025.09.08 09:14:43
    한국투자신탁운용이 ‘ACE 우량회사채(AA-이상) 액티브’ 상장지수펀드(ETF)를 9일 신규 상장한다고 8일 밝혔다. 해당 상품은 신용등급 AA- 이상 회사채와 중단기 기타금융채 등에 투자하는 상품이다. KIS자산평가가 산출하는 ‘KIS 1~3년 우량크레딧(AA-이상) 총수익지수’를 비교지수로 활용한다. 발행잔액 500억 원 이상, 신용등급 AA- 이상, 잔존만기 1년 초과 3년 이하 여전채·회사채 종목으로 구성했다. ‘한국투자크레딧포커스ESG 펀드’의 ETF 버전이라는 설명이다. 2008년 최초 설정된 한국투자신탁운용
  • 장애인 비과세종합저축, 비대면 가입도 가능해집니다
    장애인 비과세종합저축, 비대면 가입도 가능해집니다
    정책 2025.09.08 06:00:00
    장애인을 위한 비과세종합저축계좌의 비대면 가입이 확대될 전망이다. 금융감독원은 영업점 방문 가입에 어려움을 겪는 장애인을 대상으로 비과세종합저축계좌 비대면 가입을 우선 허용하되, 단계적으로 적용 대상을 확대하기로 했다고 8일 밝혔다. 현재는 비과세종합저축을 취급하고 있는 증권사 중 삼성증권, 우리투자증권, 키움증권 등 3개사에서만 비대면 가입이 가능하다. 이에 금감원이 금융투자협회, 증권업권과 적극 논의를 진행한 끝에 증권사가 비과세종합저축에 대한 비대면 가입절차를 마련하기로 했다. 비대면 가입은 올 4분기부터 준비된 증권사 중심으
  • [ETF 줌인] AI 반도체 밸류체인 투자…6개월 수익률 29%
    [ETF 줌인] AI 반도체 밸류체인 투자…6개월 수익률 29%
    정책 2025.09.05 18:03:49
    세계 최대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가 올해 2분기 실적 발표에서 역대 최고치를 갈아 치우면서 관련 상장지수펀드(ETF)도 관심을 끌고 있다. 특히 엔비디아와 함께 글로벌 인공지능(AI) 반도체 밸류체인 전반에 분산 투자할 수 있는 한국투자신탁운용의 ‘ACE 엔비디아밸류체인액티브’가 우수한 성과로 주목 받고 있다. 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전일 기준 ACE 엔비디아밸류체인액티브의 최근 3개월, 6개월 수익률은 각각 23.19%, 29.06%로 집계됐다. 최근 AI 반도체 열풍 속에서 생태계를 독점하는 엔비디아가 두드러진 성과를 내며 투자
  • 은행, 퇴직연금 ETF 늘리지만…투자자 선택권 여전히 '좁은문'
    은행, 퇴직연금 ETF 늘리지만…투자자 선택권 여전히 '좁은문'
    정책 2025.09.05 18:02:40
    국내 은행들이 퇴직연금 계좌에서 거래할 수 있는 상장지수펀드(ETF) 상품 수를 빠르게 늘리고 있다. 하지만 대형 운용사 상품 위주 편중과 까다로운 내부 심의 절차 탓에 투자자 선택권은 여전히 제한적이어서 증권사에 비해 구조적으로 경쟁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5일 금융투자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도입된 퇴직연금 실물이전 제도가 증권사 쏠림을 심화시키면서 은행들도 ETF 경쟁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 퇴직연금 실물이전이란 보유 중인 상품을 매도하지 않고 다른 금융기관 계좌로 그대로 옮길 수 있는 제도로 가입자의 이전
  • 한국거래소, AI 테마지수 3종 발표 "반도체·전력 인프라 투자"
    한국거래소, AI 테마지수 3종 발표 "반도체·전력 인프라 투자"
    정책 2025.09.05 16:09:38
    한국거래소가 인공지능(AI) 분야에 대한 투자 수요를 반영해 신규 테마 지수 3종을 이달 8일 발표한다고 5일 밝혔다. 새로운 AI 테마 지수 3종은 ‘KRX 코리아 소버린 AI 지수’, ‘KRX-Akros AI 전력 인프라 지수’, ‘KRX AI 반도체 지수’다. KRX 코리아 소버린 AI 지수는 소버린(주권) AI와 밀접히 연계된 AI 인프라·소프트웨어·반도체·에너지와 관련한 27개 종목으로 구성됐다. NAVER(035420), LG씨엔에스(064400), 엔씨소프트(036570), NHN(
  • 신한證, 신용이자 연 3.6% 이벤트 실시
    신한證, 신용이자 연 3.6% 이벤트 실시
    정책 2025.09.05 12:03:22
    신한투자증권은 오는 11월 말까지 신용이자 연 3.6% 이벤트를 실시한다고 5일 밝혔다. 이번 이벤트는 신한투자증권이 고객에게 실질적인 금리 혜택을 제공하는 취지로 진행됐다. ‘신용이자 연 3.6% 이벤트’는 신용서비스 미이용 고객 및 기존 등록 고객 중 올해 3월 1일 이후 신용 무거래 고객 대상으로 진행된다. 이벤트 신청 고객은 신청일 기준으로 신청 후 90일 간 이자율 연 3.6%가 고정 적용된다. 신청 후 신규 매수 건에 적용되며 이벤트 적용기간(90일) 종료 후에는 별도 통보 없이 정상 이자율을 산정해 이자가 부과된다. 또
  • "AI '소프트웨어' 주도주로 부상할 것"…미래에셋운용, ‘TIGER 미국AI소프트웨어TOP4Plus’ 출시
    "AI '소프트웨어' 주도주로 부상할 것"…미래에셋운용, ‘TIGER 미국AI소프트웨어TOP4Plus’ 출시
    정책 2025.09.05 11:41:37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인공지능(AI) 소프트웨어 대표 기업에 집중 투자하는 ‘TIGER 미국AI소프트웨어TOP4Plus’ 상장지수펀드(ETF)를 출시한다고 5일 밝혔다. 김남호 미래에셋자산운용 글로벌ETF운용본부장은 이날 유튜브 라이브 웹 세미나에서 “지난해는 AI 하드웨어 기업들에 비해 AI 소프트웨어 기업들의 실적 호조세가 두드러졌다”며 “1990년대 PC 보급 초기에 제조업체가 수혜를 본 뒤 점차 소프트웨어 기업이 주도권을 가져간 것과 같은 흐름이 나타날 것”이라고 말했다. 김 본부장은 “현재 빅테크 중심으로 AI 하드웨어 수요가
서경스페셜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