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벽배송 금지 반대 청원이 2만 5000명을 넘어섰다. 청원은 다음달 13일까지 총 5만 명을 채우면 국회 상임위가 공식 검토에 들어가게 된다.
27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새벽배송 금지 반대’ 청원은 이날 오후 기준 2만 5000명을 돌파했다. 청원을 올린 이는 자신을 맞벌이 워킹맘이라고 소개하며 “맞벌이 가정에선 늦은 밤 생필품을 사는 게 새벽배송 덕분”이라고 호소했다. 그는 “국회와 정부가 특정 단체 주장만 듣지 말고 현실적 대안을 마련해달라”고 강조했다.
새벽배송 제한은 최근 민주노총 산하 전국택배노조가 ‘택배 사회적 대화기구’에서 제한 필요성을 강하게 제기하면서 커졌다. 28일 예정된 3차 회의에는 국토교통부, 민주당 을지로위원회, 민주노총·한국노총, 쿠팡 등 주요 택배 업계가 참여할 예정이라 결과에 관심이 집중된다.
노동계는 여전히 단호하다. 새벽 시간대 근무가 장시간 노동과 피로 누적을 불러 과로사와 직결될 수 있다며 “노동자 건강권 보장이 우선”이라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반면 이커머스 업계와 소비자들은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한 유통업계 관계자는 “새벽배송은 이미 생활패턴에 깊숙이 들어온 서비스다. 이를 막으면 소비자 불편은 물론 산업 구조에도 큰 충격이 온다”고 경고했다.
한동훈 국민의힘 전 대표도 가세했다. 그는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해당 청원 링크를 직접 공유하며 동참을 독려했다. 그는 최근까지 여러 방송과 토론에서 “새벽배송 금지는 소비자 선택권을 침해하는 조치”라고 비판해 왔다. 이달 3일에는 CBS라디오에서 장혜영 정의당 전 의원과 관련 논쟁을 벌이기도 했다.
한편, 쿠팡 위탁배송 기사 1만 명이 소속된 쿠팡파트너스연합회(CPA)는 “주 논의가 새벽 배송인 만큼 실제 운영 당사자의 경험이 빠지면 논의가 왜곡될 수 있다”며 “CPA가 단순 배석이 아닌 공식 논의 주체로 참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업계 다른 관계자는 “플랫폼형 배송은 기존 택배 구조와 근본적으로 다르다”며 “과거 택배 체계만 놓고 논의하면 현장의 현실을 반영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hihilinn@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