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고독사 사망자 수가 4000명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 사망자 수가 여성에 비해 5배 이상 많았고, 5060 중장년층이 특히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보건복지부는 이런 내용을 담은 ‘2024년 고독사 발생 실태조사’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앞서 2017~2021년 5개년 현황에 대해 이뤄진 첫 번째 조사와 2022·2023년 2개년 현황에 대한 두 번째 조사에 이어 세 번째로 진행됐다.
조사 결과 지난해 고독사 사망자는 3924명으로 전년(3661명) 대비 263명(7.2%) 증가했다. 인구 10만 명당 고독사 사망자 수는 2023년 7.2명에서 2024년 7.7명으로 늘었다. 전체 사망자 100명 당 고독사 사망자 수도 같은 기간 1.04명에서 1.09명으로 증가했다.
상대적으로 고독사에 취약할 수밖에 없는 1인 가구가 늘면서 고독사 사망자 수도 함께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전국 1인 가구 비율은 2023년 35.5%에서 2024년 36.1%로 확대됐다.
복지부는 사회적 고립상태에 있는 인구가 증가한 영향도 있다고 밝혔다. 사회적 고립상태는 집안일을 부탁해야 하거나, 대화가 필요한 경우 둘 중 하나라도 도움받을 곳이 없는 상태를 뜻한다. 2023년 국가데이터처의 사회적 고립도 조사에 따르면 19세 이상 국민의 33%가 사회적 고립상태에 있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독사 사망자 현황을 성별 기준으로 보면 남성이 3205명으로 전체 사망자의 81.7%를 차지했다. 여성은 15.4%(605명), 성별 미상은 2.9%(114명)다. 연령대별로는 60대가 32.4%(1271명), 50대가 30.5%(1197명)로 가장 많았다. 뒤이어 40대 13.0%(509명), 70대 12.7%(497명) 순으로 나타났다.
성별과 연령대별 사망자 현황을 함께 볼 경우 5060 중장년층 남성이 고독사에 가장 취약했다. 60대 남성의 고독자 사망자가 1089명(27.8%)으로 가장 많았고, 50대 남성이 1028명(26.2%)로 뒤를 이었다.
복지부는 고독사 사망자 증가에는 1인 가구 증가와 고령화 외에도 △디지털 기술 발달로 인한 대면 관계의 질 악화 △단절된 주거 환경 △지역 공동체 의식 약화 △코로나19 이후 발생한 배달 노동·플랫폼 노동 위주의 일자리 구조 변화 등이 종합적으로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정부는 내년부터 고독사 예방 및 관리사업 대상을 사회적 고립 위험군으로 확대한다. 특히 5060 중장년층의 실업과 사회적 관계 단절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취업 지원과 사회관계망 형성 프로그램 운영 등의 맞춤형 서비스도 제공할 계획이다. 상담과 위험군 판정, 사례관리 등 업무를 지원하는 고독사 위기 대응시스템도 내년부터 운영된다.
복지부 관계자는 “내년부터 사회적 고립까지 정책 대상을 확대해 위험군을 조기 발굴하고 생애주기별 맞춤형 지원을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shin@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