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공적인 누리호 4차 발사를 계기로 민간 중심의 우주산업 정착을 위한 향후 과제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스페이스X가 재사용 발사체를 앞세워 전 세계 우주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만큼 한국도 이러한 흐름에 발맞춰 재사용 기술 상용화에 속도를 내야 한다는 목소리가 크다. 미국을 따라잡기 위한 주요국 간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는 만큼 우리 정부도 우주산업에 대한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27일 우주항공계에 따르면 누리호 4차 발사는 3차 발사 이후 2년 6개월 만이다. 성공적인 임무 완수에도 불구하고 발사 공백이 길었다는 지적이 뒤따랐다.
이와 달리 미국은 양적 성과에서 다른 국가들과 격차를 벌리고 있다. 지난해 전 세계에서 진행된 총 259회 발사 중 미국이 156회로 60%의 비중을 차지했다. 특히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세운 스페이스X가 전년 대비 40% 늘어난 136회를 기록했다. 민간 우주기업이 전체 발사 건수에서 절반 이상을 점유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안재명 한국과학기술원(KAIST) 항공우주공학과 교수는 “한국 우주산업에 대한 신뢰성을 쌓으려면 무엇보다도 여러 차례 발사하는 게 중요하다”면서 “발사 공백이 있으면 우주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는 만큼 언제든지 쏠 수 있는 발사체를 확보할 수 있도록 발사체 사업이 진행됐으면 한다”고 밝혔다.
발사 횟수를 늘리기 위한 재사용 발사체 개발이 시급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로켓 재사용은 발사 비용을 크게 줄이는 효과가 있는데 스페이스X 팰컨9의 발사 비용은 1㎏당 300만 원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스페이스X는 8월 한 로켓을 30번째 발사하는 대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반면 누리호의 발사 비용은 1㎏당 약 3200만 원으로 10배 수준에 육박한다. 다시 말해 재사용 발사체 상용화 없이는 우주 발사의 경제성 확보가 어렵다는 얘기다.
이와 관련해 최근 열린 제4차 국가우주위원회에서 차세대 발사체를 재사용 발사체로 개발하는 안이 확정됐다. 엔진은 메탄 기반으로 정해졌다. 메탄은 현재 누리호가 연료로 쓰고 있는 케로신보다 10% 높은 추진력을 내고 추력을 조절하거나 재점화를 하는 데 유리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를 통해 1kg당 350만 원 수준까지 발사 비용을 낮춘다는 목표다. 다만 차세대 발사체 모델을 당초 일회용에서 재사용으로 바꾸기로 한 데 따른 행정 절차 문턱을 아직 넘지 못한 상태다. 현재 우주항공청이 계획 변경을 위해 기획재정부에 사업 계획 적정성 재검토를 요청해 심사가 진행 중이다.
전문가들은 이번 4차 발사 성공을 계기로 국내 기업이 우주 시장에 빠르게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을 민관 합동으로 모색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민성희 KDB미래전략연구소 선임연구원은 ‘우주산업 현황 및 시사점’ 보고서에서 “미국 중심의 상업우주 전환은 2004년부터 20년 이상 지속돼 나타난 결실로 미국을 제외한 다른 국가에서는 여전히 정부의 영향력이 크다”면서 “미국·중국·일본·유럽 등 각국 정부는 우주 분야 예산을 늘려 개발 계획을 진행하는 동시에 민간기업도 시장에서 도태되지 않도록 지원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민간 단위에서 추진하기 어려운 국제 협력 분야에서 정부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진단이다. 민 연구원은 “우주 개발은 자본을 앞세운 미중 경쟁이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 기업은 주요국 글로벌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게 효과적인 전략”이라며 “특히 미국은 정부 예산도 크고 다양한 분야의 우주 개발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기 때문에 국내 민간기업의 미국 진출을 지원하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ldmetal@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