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노인일자리가 역대 최대인 115만 2000개 제공된다. 사업별로 60세 또는 65세 이상이면 신청이 가능하다.
보건복지부는 이달 28일부터 12월 26일까지 2026년 노인 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 참여자를 모집한다고 27일 밝혔다. 내년도 노인 일자리 사업에서는 올해(109만 8000개)보다 5만 4000개 늘어난 115만 2000개의 일자리가 된다.
국민 복지 증진을 위해 우선 실시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로당 배식 지원, 지역사회 통합돌봄 지원, 노노(老老)케어 등은 ‘노인 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라 ‘우선 지정 일자리’로 운영한다. 우선 지정 일자리는 일자리 참여 인력을 우선적으로 배치하는 항목으로, 주로 사회적 약자를 지원하는 업무 위주로 선정된다.
특히 올해는 안전 전담인력 613명을 사업장에 배치해 낙상 등 노인 안전사고를 줄이고, 사업장 특성을 반영한 점검리스트도 활용하는 등 안전관리를 강화한다.
일자리 사업은 △노인공익활동사업 △노인역량활용사업 △공동체사업단 등으로 나뉘어 진행된다. 노인공익활동사업은 기초연금을 수급하는 65세 이상 어르신이면 신청할 수 있고, 노인역량활용사업과 공동체사업단은 60세 이상이면 신청 가능하다.
신청은 이달 28일부터 방문 또는 온라인으로 진행된다. 참여 희망자가 노인 일자리 상담 대표 전화로 문의하면 발신자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수행기관으로 전화가 연결돼 상세한 안내를 받을 수 있다.
참여자는 소득 수준, 활동 역량과 경력 등 선발기준에 따라 선발되며 최종 선발 여부는 접수한 기관에서 올해 12월 중순부터 내년 1월 초까지 개별적으로 통보한다.
정은경 복지부 장관은 “노인 일자리는 노년기 소득에 보탬이 되고 삶의 만족도 증가, 우울감 개선, 의료비 절감 효과가 있다”며 “역대 최대로 확대된 115만 2000개의 일자리를 제공할 계획이므로 많이 참여해달라”고 전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shin@sedaily.com








